"황선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53번째 줄: 53번째 줄:
 
|[[일기 감추는 날]]||2003년||[[웅진주니어]]||단편 소설
 
|[[일기 감추는 날]]||2003년||[[웅진주니어]]||단편 소설
 
|-
 
|-
|[[들키고 싶은 비밀]]||2001년||[[창비]]||단편 소설
+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22740/ 들키고 싶은 비밀]]||2001년||[[창비]]||단편 소설
 
|-
 
|-
|[[소리없는 아이들]]||2001년||[두산동아]||창작 동화
+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03878/ 소리없는 아이들]]||2001년||[두산동아]||창작 동화
 
|-
 
|-
|[[꼭 한가지 소원]]||2002년||[[낮은산]]||창작 동화
+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68450/ 꼭 한가지 소원]]||2002년||[[낮은산]]||창작 동화
 
|-
 
|-
|[[막다른 골목집 친구]]||2003년||[[두산동아]]||단편 소설
+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434479/ 막다른 골목집 친구]]||2003년||[[두산동아]]||단편 소설
 
|-
 
|-
|[[푸른 개 장발]]||2005년||[웅진주니어]||장편 소설
+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573031/ 푸른 개 장발]]||2005년||[웅진주니어]||장편 소설
 
|-
 
|-
|[[나온의 숨어 있는 방]]||2006년||[[창비]]||장편 소설
+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685489/ 나온의 숨어 있는 방]]||2006년||[[창비]]||장편 소설
 
|-
 
|-
|[[주문에 걸린 마을]]||2008년||[[주니어RHK(주니어랜덤)]]||단편 소설
+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704163/ 주문에 걸린 마을]]||2008년||[[주니어RHK(주니어랜덤)]]||단편 소설
 
|-
 
|-
|[[일투성이 제아]]||2017년||[[이마주]]||장편 소설
+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11522915/ 일투성이 제아]]||2017년||[[이마주]]||장편 소설
 
|-
 
|-
|[[내가 김소연진아일 동안]]||2018년||[[위즈덤하우스]]||장편 소설
+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51607245/ 내가 김소연진아일 동안]]||2018년||[[위즈덤하우스]]||장편 소설
 
|-
 
|-
|[[할머니와 수상한 그림자]]||2018년||[[위즈덤하우스]]||장편 소설
+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30405145/ 할머니와 수상한 그림자]]||2018년||[[위즈덤하우스]]||장편 소설
 
|-
 
|-
|[[고작해야 364일]]||2015년||[[포북 차일드]]||단편 소설
+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52392724/ 고작해야 364일]]||2015년||[[포북 차일드]]||단편 소설
 
|}
 
|}
 
==수상내역==
 
==수상내역==

2020년 6월 20일 (토) 17:07 판


개요

생애

황선미는 1963년 충청남도 홍성에서 출생했고,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 광주대학교 문예창작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과를 졸업하였다. 그러고 난 뒤 1995년 「구슬아, 구슬아」로 아동문학평론 신인문학상, 중편 「마음에 심는 꽃」으로 농민문학상을 수상했다. 1997년 『앵초의 노란 집』으로 제1회 탐라문학상 동화 부문, 2003년 『과수원을 점령하라』로 세종아동문학상을 수상했다. 그 뒤로도 다양한 아동문학 작품을 개발하고 있다.

경력

2009년부터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를 담당하고 있다.

작품세계

황선미 작품들은 대부분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작품들이 대부분이고, 주로 아이들의 깊은 마음과 생각이 들어나는 작품들이 많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서 <나쁜 어린이 표>는 아이들이 한 잘못들에 대해서 물어보지도 않고 나쁜 어린이 표를 마구 주는 선생님의 모습이 싫어서 나쁜 선생님표를 자기도 노트에다가 그리는 건우의 모습, <초대받은 아이들>에서는 반에서 인기 있는 아이와 친해지고 싶은데 말을 걸 용기가 없어서 연습장에 인기 있는 아이의 모습을 그리는 민서 등을 통해서 아이들의 다양한 생각과 관점에 대해 자세하게 알 수 있다. 사람들간의 공존과 화합도 황선미가 중요시하는데, <과수원을 점령하라>에서는 과수원이라는 평화로운 공간에서 지내는 사람들과 동물들의 모습을 통해 현대화로 인하여 삭막해진 사람들이 과수원에 있는 존재들처럼 변했으면 좋겠다는 작가의 의미가 담겨 있고, <마당을 나온 암탉>은 동물들끼리의 화합과 생존을 위한 경쟁을 통해서 사람들끼리의 화합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작품목록

황선미의 작품

황선미의 주요 작품
제목 발행년도 출판사 형태
과수원을 점령하라 2003년 사계절 창작 동화
나쁜 어린이 표 1999년 웅진주니어 단편 소설
마당을 나온 암탉 2000년 사계절출판사 장편 소설
초대받은 아이들 2001년 웅진주니어 단편 소설
일기 감추는 날 2003년 웅진주니어 단편 소설
[들키고 싶은 비밀] 2001년 창비 단편 소설
[소리없는 아이들] 2001년 [두산동아] 창작 동화
[꼭 한가지 소원] 2002년 낮은산 창작 동화
[막다른 골목집 친구] 2003년 두산동아 단편 소설
[푸른 개 장발] 2005년 [웅진주니어] 장편 소설
[나온의 숨어 있는 방] 2006년 창비 장편 소설
[주문에 걸린 마을] 2008년 주니어RHK(주니어랜덤) 단편 소설
[일투성이 제아] 2017년 이마주 장편 소설
[내가 김소연진아일 동안] 2018년 위즈덤하우스 장편 소설
[할머니와 수상한 그림자] 2018년 위즈덤하우스 장편 소설
[고작해야 364일] 2015년 포북 차일드 단편 소설

수상내역

작가의 사상

작품 이외의 활동

방송 출현

인터뷰

평론 및 연구서

참고문헌

R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