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김규식2.jpg]]
+
<onlyinclude>
 
+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이육사'''
 +
|-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김규식2.jpg]]|150픽셀|섬네일|center|CC-BY]]
 +
|-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본명''' || 김규식
 +
|-
 +
| style="text-align:center;"|'''이명''' || 김서도
 +
|-
 +
| style="text-align:center;"|'''별명''' || 호장군
 +
|-
 +
| style="text-align:center;"|'''호''' || 노은
 +
|-
 +
| style="text-align:center;"|'''직업''' || [[독립운동가]]
 +
|-
 +
| style="text-align:center;"|'''소속''' || [[북로군정서]]
 +
|-
 +
| style="text-align:center;"|'''국적''' || 대한제국
 +
|-
 +
| style="text-align:center;"|'''활동기간''' || 1907-1930
 +
|-
 +
|}
 +
</onlyinclude>
  
 
돈암동의 독립운동가이다. 돈암동에 거주하던 김규식은 1907년 군대해산 후 연천 등지에서 허위 등과 함께 의병투쟁을 하다가 체포되어 유형 15년을 받았다.  
 
돈암동의 독립운동가이다. 돈암동에 거주하던 김규식은 1907년 군대해산 후 연천 등지에서 허위 등과 함께 의병투쟁을 하다가 체포되어 유형 15년을 받았다.  
 
이후 만주로 망명, 김좌진 등 독립운동가들과 북로군정서를 조직했다. 1920년 청산리 전투에 제2연대 제1대대장으로 참가해 전투를 승리로 이끄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이후 만주로 망명, 김좌진 등 독립운동가들과 북로군정서를 조직했다. 1920년 청산리 전투에 제2연대 제1대대장으로 참가해 전투를 승리로 이끄는 데 큰 역할을 했다.  
 
1931년 반대세력의 습격으로 피살되었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1931년 반대세력의 습격으로 피살되었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2021년 12월 16일 (목) 00:28 판


돈암동의 독립운동가이다. 돈암동에 거주하던 김규식은 1907년 군대해산 후 연천 등지에서 허위 등과 함께 의병투쟁을 하다가 체포되어 유형 15년을 받았다. 이후 만주로 망명, 김좌진 등 독립운동가들과 북로군정서를 조직했다. 1920년 청산리 전투에 제2연대 제1대대장으로 참가해 전투를 승리로 이끄는 데 큰 역할을 했다. 1931년 반대세력의 습격으로 피살되었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