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전의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반전의식 ==정의== 6.25전쟁 이후에 등장했던 문학. 전쟁을 불러일으켰던 이념과 체제에 대한 거부와 반항이 특징이며, 새로운 삶의 지표...)
 
 
3번째 줄: 3번째 줄:
 
==정의==
 
==정의==
  
6.25전쟁 이후에 등장했던 문학. 전쟁을 불러일으켰던 이념과 체제에 대한 거부와 반항이 특징이며, 새로운 삶의 지표와 가치의 정립을 위한 고찰이 드러나는 작품이 많다. <문예>, <문학예술> <현대문학>, <자유문학> 등 종합문예지의 등장과 ≪사상계≫(1953) 등의 종합지는 모두 전후문학활동의 기반이 되었다.
+
평화주의와 비슷한 것으로 전쟁과 폭력을 거부하려는 태도나 운동, 사상, 이념 등을 포함한다.
  
==전후문학의 경향==
+
==상세==
  
전후문학에서는 기성 세대의 윤리 의식과 사회 가치에 대한 반항 의식이 드러나는 작품들이 많다. 그리고 전쟁이 가져오는 상처 등을 인간의 부조리한 측면에서 탐구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었다. 전후문학 작가들은 한국전쟁이라는 주제를 자신의 생존을 위해 타인을 죽이는 인간 존재의 부조리함이라는 측면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즉, 전후세대 작가들은 전쟁을 자신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어쩔 수 없는 것으로 생각하지 않고, 전쟁이라는 폭력을 사용하여 이념을 구현하고자 하는 근대세계에 환멸을 내비쳤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그런 부조리한 질서에 저항하지 못하고, 오히려 순종해버렸던 인간 전체에 대해서도 근본적인 회의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
반전운동은 제국주의 시대 이후에 본격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처음에는 여호와의 증인 등이 종교적 이유를 들어 전쟁에 반대하고 군사훈련을 거부했다. 그 이후에는 제국주의에 반대하는 식민지 민족들을 위주로 반제, 반전 운동이 함께 전개되었다. 1차 세계대전이 시작됐을 무렵에는 양심적 병역거부 등의 행동도 나타나게 된다. 제 2차 세계대전 시기에는 1932년 8월 네덜란드에서 전쟁에 반대하는 국제반전대회가 열려 2000여 명의 반전주의자와 평화주의자들이 모여들었다. 2차 세계대전에서의 반전운동 경험들은 국제적 정세가 변한 뒤에도 이어져 세계의 평화 운동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23번째 줄: 23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6722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B%B0%98%EC%A0%84_%EC%9A%B4%EB%8F%99
 +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및 기여자==
  
 
[[분류:개념/용어]] [[분류:박진원]]  [[분류:기여자이름]]
 
[[분류:개념/용어]] [[분류:박진원]]  [[분류:기여자이름]]

2018년 6월 19일 (화) 01:53 기준 최신판

반전의식

정의

평화주의와 비슷한 것으로 전쟁과 폭력을 거부하려는 태도나 운동, 사상, 이념 등을 포함한다.

상세

반전운동은 제국주의 시대 이후에 본격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처음에는 여호와의 증인 등이 종교적 이유를 들어 전쟁에 반대하고 군사훈련을 거부했다. 그 이후에는 제국주의에 반대하는 식민지 민족들을 위주로 반제, 반전 운동이 함께 전개되었다. 1차 세계대전이 시작됐을 무렵에는 양심적 병역거부 등의 행동도 나타나게 된다. 제 2차 세계대전 시기에는 1932년 8월 네덜란드에서 전쟁에 반대하는 국제반전대회가 열려 2000여 명의 반전주의자와 평화주의자들이 모여들었다. 2차 세계대전에서의 반전운동 경험들은 국제적 정세가 변한 뒤에도 이어져 세계의 평화 운동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관련항목

차범석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주어(S) 목적어(O) A는 B를 ~하다(P)

참고문헌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B%B0%98%EC%A0%84_%EC%9A%B4%EB%8F%99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