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간의 야유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문서를 비움)
1번째 줄: 1번째 줄:
 +
<onlyinclude>
 +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30일간의 아유회'''
 +
|-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작품명''' || [[30일간의 야유회]]
 +
|-
 +
| style="text-align:center;"|'''저자''' || [[이근삼]]
 +
|-
 +
| style="text-align:center;"|'''창작년도''' || 1974
 +
|-
 +
|}
 +
</onlyinclude>
  
 +
 +
'''30일간의 아유회'''
 +
==개요==
 +
* 극 중 배경
 +
무인도
 +
 +
* 등장인물
 +
 +
죄수 100번
 +
 +
죄수 99번
 +
 +
죄수 5번
 +
 +
죄수 33번
 +
 +
죄수 18번(여자)
 +
 +
죄수 20번
 +
 +
소장(&설명역)
 +
 +
안중팔
 +
 +
오박사
 +
 +
고여사
 +
 +
김화자
 +
 +
신신옥
 +
 +
이운수
 +
 +
==줄거리==
 +
모범수 여섯명과 유명 인사 여섯명, 총 열두명은 행락도로 야유회를 떠나려다 폭풍에 휘말려 무인도에서 포류하게 된다. 이 곳에서 구조를 기다리며 생활하기 위해 사람들은 그들만의 규칙을 만들기로 하고 생활 방법을 가장 잘 아는 죄수 99번의 지시에 따라 다같이 행동한다. 지도자로 선출된 죄수 99번은 이기심을 버리고 다같이 살기 위해 노력한다. 이윽고 구조선이 오지만, 그 순간 인사들은 돌변하여 사회의 서열에 따라 죄수와 그들 사이의 신분적 거리를 강조한다.
 +
 +
==출판 및 공연 정보==
 +
 +
*공연
 +
극예술연구회(2013.3.2~3)
 +
 +
*영화
 +
30일간의 야유회_최하원 감독(1979)
 +
 +
==특징==
 +
*[[비판]]과 [[풍자]]의 대상
 +
지식인의 특권의식과 이기심, 무력함
 +
 +
 +
==작가 서문==
 +
 +
해당 작품은 TV에서도 방영되었고 영화화도 된 작품으로 죄수들과 사회명사들을 외딴섬에서 공존하게 할 때 일어날 수 있는 광경을 상상해 쓴 희곡이다.
 +
 +
==관련항목==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이근삼]] || [[30일간의 야유회]] || 이근삼은 30일간의 야유회를 집필했다 ||
 +
|-
 +
| [[30일간의 야유회]] || 지식인의 무력함 || 30일간의 야유회는 지식인의 무력함을 풍자한다 ||
 +
|-
 +
|}
 +
 +
==참고문헌==
 +
==작성자 및 기여자==
 +
작성자: 이서정
 +
 +
[[분류:30일간의 야유회]] [[분류:이서정]]  [[분류:기여자이름]]

2018년 6월 19일 (화) 19:48 판


30일간의 아유회

개요

  • 극 중 배경

무인도

  • 등장인물

죄수 100번

죄수 99번

죄수 5번

죄수 33번

죄수 18번(여자)

죄수 20번

소장(&설명역)

안중팔

오박사

고여사

김화자

신신옥

이운수

줄거리

모범수 여섯명과 유명 인사 여섯명, 총 열두명은 행락도로 야유회를 떠나려다 폭풍에 휘말려 무인도에서 포류하게 된다. 이 곳에서 구조를 기다리며 생활하기 위해 사람들은 그들만의 규칙을 만들기로 하고 생활 방법을 가장 잘 아는 죄수 99번의 지시에 따라 다같이 행동한다. 지도자로 선출된 죄수 99번은 이기심을 버리고 다같이 살기 위해 노력한다. 이윽고 구조선이 오지만, 그 순간 인사들은 돌변하여 사회의 서열에 따라 죄수와 그들 사이의 신분적 거리를 강조한다.

출판 및 공연 정보

  • 공연

극예술연구회(2013.3.2~3)

  • 영화

30일간의 야유회_최하원 감독(1979)

특징

지식인의 특권의식과 이기심, 무력함


작가 서문

해당 작품은 TV에서도 방영되었고 영화화도 된 작품으로 죄수들과 사회명사들을 외딴섬에서 공존하게 할 때 일어날 수 있는 광경을 상상해 쓴 희곡이다.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근삼 30일간의 야유회 이근삼은 30일간의 야유회를 집필했다
30일간의 야유회 지식인의 무력함 30일간의 야유회는 지식인의 무력함을 풍자한다

참고문헌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이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