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동예술극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0번째 줄: 10번째 줄:
 
| style="text-align:center;"|'''영어명''' || Seoul Arts Center
 
| style="text-align:center;"|'''영어명''' || Seoul Arts Center
 
|-  
 
|-  
| style="text-align:center;"|'''위치''' || [[파일:예술의전당지도.jpg|400px]]
+
| style="text-align:center;"|'''위치''' || [[파일:예술의전당지도.jpg|400px]]<br/>서울 중구 명동길 35
서울 중구 명동길 35
 
 
|-
 
|-
 
| style="text-align:center;"|'''홈페이지''' || http://www.ntck.or.kr
 
| style="text-align:center;"|'''홈페이지''' || http://www.ntck.or.kr
21번째 줄: 20번째 줄:
 
'''명동예술극장'''
 
'''명동예술극장'''
 
==개요==
 
==개요==
을지로입구역과 명동역 사이에 위치한 극장. 옛 이름은 '''명동 국립극장'''이다.
+
을지로입구역과 명동역 사이에 위치한 극장. 옛 이름은 '''명동 국립극장'''이다.<br/>
1934년 일제강점기 건축된 메이지좌를 1975년부터 국립극장으로 사용하였고, 그 후 쇠락의 길을 걷다 2004년 명동상가번영회를 주축으로 한 옛 국립극장 살리기 운동을 통해 문화체육관광부가 다시 건물을 매입하며 리모델링을 시작하였다.
+
1934년 일제강점기 건축된 메이지좌를 1975년부터 국립극장으로 사용하였고, 그 후 쇠락의 길을 걷다 2004년 명동상가번영회를 주축으로 한 옛 국립극장 살리기 운동을 통해 문화체육관광부가 다시 건물을 매입하며 리모델링을 시작하였다.<br/>
그 결과  지상 5층, 지하 1층 규모의 중극장이 탄생하였고 뛰어난 건축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2009년 서울특별시건축상 리모델링 부문 본상, 2010년 한국건축문화대상 준공 부문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
그 결과  2009년 지상 5층, 지하 1층 규모의 중극장이 탄생하였고, 바로크 건축 양식을 띈 뛰어난 건축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2009년 서울특별시건축상 리모델링 부문 본상, 2010년 한국건축문화대상 준공 부문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1950년에 창단한 국내 유일의 국립 극단인 [[국립극단]]의 전용극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
1950년에 창단한 국내 유일의 국립 극단인 [[국립극단]]의 전용극장으로 사용되고 있다.<br/>
  
 
==상세 내용==
 
==상세 내용==
 +
===역사적 상징성===
 +
- 현재 (재)국립극단은 1950년 국립극장의 창립과 함께 국립극장의 유일한 전속단체인 신협을 모태로 시작<br/><br/>
 +
- 1962년 명동의 국립극장(현 명동예술극장)에서 국립극단이 전속단체로 발족하고 본격적인 활동 시작<br/><br/>
 +
- 1973년 국립극단이 남산의 국립극장으로 옮기기 전까지 명동예술극장은 국립극단의 전용극장으로 사용
 +
'''출처''' [http://www.mcst.go.kr/web/s_notice/press/pressView.jsp?pSeq=14129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 국립극단과 명동예술극장의 새로운 출발]
 +
 +
 
===시설 소개===
 
===시설 소개===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32번째 줄: 38번째 줄:
 
|}
 
|}
 
'''출처''' [http://www.ntck.or.kr/ 국립극단 공식 홈페이지]
 
'''출처''' [http://www.ntck.or.kr/ 국립극단 공식 홈페이지]
 +
  
 
===예정 공연===
 
===예정 공연===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left|출처 playDB
 
 
!공연||기간||장소
 
!공연||기간||장소
 
|-
 
|-
42번째 줄: 48번째 줄:
 
|흥보씨<br/>[[파일:흥보씨.jpg]]||2018.07.13 ~ 2018.07.22||명동예술극장
 
|흥보씨<br/>[[파일:흥보씨.jpg]]||2018.07.13 ~ 2018.07.22||명동예술극장
 
|}
 
|}
 +
'''출처''' [http://www.playdb.co.kr playDB]
  
 
===이용 팁===
 
===이용 팁===
명동예술극장 회원으로 가입하면 예매처보다 좋은 좌석을 선택할 수 있고 예매 수수료가 없다.<br/>연회비 없이 홈페이지에서 가입할 수 있으며 티켓 구입시 티켓 금액의 5%씩 적립된다.<br/>무엇보다도 깜짝 연습 공개나 리허설 초대, 예술가와의 대화 프로그램 등 적극적인 참여 기회가 주어진다는 것이 장점이다.
+
명동예술극장 회원으로 가입하면 예매처보다 좋은 좌석을 선택할 수 있고 예매 수수료가 없다.<br/>연회비 없이 홈페이지에서 가입할 수 있으며 티켓 구입시 티켓 금액의 5%씩 적립된다.<br/>무엇보다도 깜짝 연습 공개나 리허설 초대, 예술가와의 대화 프로그램 등 적극적인 참여 기회가 주어진다는 것이 장점이다.
 
<br/>'''출처''' [http://korean.visitseoul.net/attractions/명동예술극장_/3411 서울시 공식 관광정보 웹사이트]
 
<br/>'''출처''' [http://korean.visitseoul.net/attractions/명동예술극장_/3411 서울시 공식 관광정보 웹사이트]
 +
  
 
==찾아가는 방법과 연락처==
 
==찾아가는 방법과 연락처==
 
*주소
 
*주소
**도로명 서울 중구 명동길 35 명동예술극장
+
**도로명 서울시 중구 명동길 35 명동예술극장
**명동1가 54 명동예술극장
+
**지명 서울시 중구 명동1가 54 명동예술극장
 
* 연락처
 
* 연락처
 
**예술의전당 고객센터 : 1644-2003<br/>
 
**예술의전당 고객센터 : 1644-2003<br/>
66번째 줄: 74번째 줄:
 
}}​
 
}}​
 
*대중교통
 
*대중교통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지하철||버스
 +
|-
 +
|2호선 을지로입구역 - 명동예술극장 방면 6번 출구<br/>4호선 명동역 - 명동예술극장 방면 6번 출구||광역버스 9301, 9710, 9401, 5000, 5005, 5500, 5500-1, 8200, 1005-1, 1500<br/>간선버스 105, 149, 152, 261, 500, 202 ,472, 408<br/>공항버스 6015
 +
|}
 +
 +
==관련 영상==
 +
'''명동예술극장을 소개합니다!'''<br/>
 +
<youtube>EaQx6OVdMPU</youtube><br/>
 +
'''명동예술극장 빨리오기 tip!'''<br/>
 +
<youtube>4oK8aD0mwHw</youtube><br/>
 +
'''서울, 문화를 걷다 @ 명동예술극장'''<br/>
 +
<youtube>2VvQAbGh9A8</youtube><br/>
 +
'''KBS 뉴스광장 - 한국의 근현대 건축 '명동예술극장''''<br/>
 +
<youtube>k4DquhZ0dBc</youtube><br/>
  
 
==관련항목==
 
==관련항목==
72번째 줄: 95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주어(S)]] || [[목적어(O)]] || A는 B를 ~하다(P) ||  
+
| [[명동예술극장]] || [[중구]] || A는 B에 위치한다 ||  
 
|-
 
|-
 +
| [[명동예술극장]] || [[국립극단]] || A는 B의 전용극장이다 ||
 
|}
 
|}
  
 +
==출처==
 +
* [http://www.aurum.re.kr/Bits/BuildingDoc.aspx?num=465#.WyZqHaczbIU 건축도시정책정보센터]<br/>
 +
* [http://korean.visitseoul.net/attractions/명동예술극장_/3411 서울시 공식 관광정보 웹사이트]<br/>
 +
* [http://www.ntck.or.kr/ 국립극단 공식 홈페이지]
  
 
==참고문헌==
 
==참고문헌==
[http://www.aurum.re.kr/Bits/BuildingDoc.aspx?num=465#.WyZqHaczbIU 건축도시정책정보센터]<br/>
+
* [http://www.auric.or.kr/User/Rdoc/DocCmag.aspx?returnVal=CMAG&dn=159389#.WykSIqczaHs 대한건축학회지 - 프로젝트 명동예술극장]
[http://korean.visitseoul.net/attractions/명동예술극장_/3411 서울시 공식 관광정보 웹사이트]<br/>
+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1022034 프로젝트 리포트 : 명동예술극장]
[http://www.ntck.or.kr/ 국립극단 공식 홈페이지]
+
* [http://ch.yes24.com/Article/View/16021 채널예스 - 명동예술극장]
  
  

2018년 6월 20일 (수) 00:55 판


명동예술극장

개요

을지로입구역과 명동역 사이에 위치한 극장. 옛 이름은 명동 국립극장이다.
1934년 일제강점기 건축된 메이지좌를 1975년부터 국립극장으로 사용하였고, 그 후 쇠락의 길을 걷다 2004년 명동상가번영회를 주축으로 한 옛 국립극장 살리기 운동을 통해 문화체육관광부가 다시 건물을 매입하며 리모델링을 시작하였다.
그 결과 2009년 지상 5층, 지하 1층 규모의 중극장이 탄생하였고, 바로크 건축 양식을 띈 뛰어난 건축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2009년 서울특별시건축상 리모델링 부문 본상, 2010년 한국건축문화대상 준공 부문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1950년에 창단한 국내 유일의 국립 극단인 국립극단의 전용극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세 내용

역사적 상징성

- 현재 (재)국립극단은 1950년 국립극장의 창립과 함께 국립극장의 유일한 전속단체인 신협을 모태로 시작

- 1962년 명동의 국립극장(현 명동예술극장)에서 국립극단이 전속단체로 발족하고 본격적인 활동 시작

- 1973년 국립극단이 남산의 국립극장으로 옮기기 전까지 명동예술극장은 국립극단의 전용극장으로 사용

출처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 국립극단과 명동예술극장의 새로운 출발


시설 소개

* 지상 5층 - 사무실
* 지상 4층 - 공연장 객석 3층 (총 103석)
*지상 3층 - 공연장 객석 2층 (총116석)
장애인용 휠체어 좌석 (6석) 포함
* 지상 2층 - 공연장 객석 1층 (총 339석)
* 지상 1층 - 고객센터 (매표소)
* 지하 1층 - 연습실
명동예술극장시설.jpg

출처 국립극단 공식 홈페이지


예정 공연

공연 기간 장소
리차드3세
리차드3세.jpg
2018.06.29 ~ 2018.07.01 명동예술극장
흥보씨
흥보씨.jpg
2018.07.13 ~ 2018.07.22 명동예술극장

출처 playDB

이용 팁

명동예술극장 회원으로 가입하면 예매처보다 좋은 좌석을 선택할 수 있고 예매 수수료가 없다.
연회비 없이 홈페이지에서 가입할 수 있으며 티켓 구입시 티켓 금액의 5%씩 적립된다.
무엇보다도 깜짝 연습 공개나 리허설 초대, 예술가와의 대화 프로그램 등 적극적인 참여 기회가 주어진다는 것이 장점이다.


출처 서울시 공식 관광정보 웹사이트


찾아가는 방법과 연락처

  • 주소
    • 도로명 서울시 중구 명동길 35 명동예술극장
    • 지명 서울시 중구 명동1가 54 명동예술극장
  • 연락처
    • 예술의전당 고객센터 : 1644-2003
지도를 불러오는 중...
  • 대중교통
지하철 버스
2호선 을지로입구역 - 명동예술극장 방면 6번 출구
4호선 명동역 - 명동예술극장 방면 6번 출구
광역버스 9301, 9710, 9401, 5000, 5005, 5500, 5500-1, 8200, 1005-1, 1500
간선버스 105, 149, 152, 261, 500, 202 ,472, 408
공항버스 6015

관련 영상

명동예술극장을 소개합니다!

명동예술극장 빨리오기 tip!

서울, 문화를 걷다 @ 명동예술극장

KBS 뉴스광장 - 한국의 근현대 건축 '명동예술극장'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명동예술극장 중구 A는 B에 위치한다
명동예술극장 국립극단 A는 B의 전용극장이다

출처

참고문헌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