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리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2번째 줄: 2번째 줄:
  
 
==정의==
 
==정의==
로컬리즘(Localism)이란 문학 속에 담겨 있는 지역 정서를 의미한다. 또한 서울중심의 [[민족문학]]에 대한 안티테제로서의 [[지방문학]]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
로컬리즘이란 특정 지역에 대한 지역주의 혹은 문학속에 담겨 있는 지역 정서, 로컬리티(locality)를 의미한다. 60년대 희곡의 한 특징으로서 로컬리즘을 꼽을 수 있다.
  
==지방문학==
+
==상세 소개==
#로컬리즘의 이중적 의미
+
로컬리티(locality)는 특정 로컬이 나타내는 장소성, 역사성, 권력성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현상과 관계성의 총체이며, 여기에 추상적인 인간의 의식을 경계지우는 주변성, 소수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1)
#1960년대는 정부주도 하에 본격적인 도시화가 진행되던 시기였다. 이때 1960년대 진행된 도시화는 수많은 이향(離鄕)을 낳았고,‘상경민’'들을 탄생시켰다. 이향과 상경의 대상은 서울이었고, 이 때 서울-지방의 관계는 물리적 거리가 아닌 중심/주변의 구도를 형성하게 되었다. 1960-70년대의 문학은 서울-지방(시골)의 공간대비, 즉 서울/지방의 이분법적 관계틀을 보여준다. 이러한 민족문학과 반대의 의미가 있다.
+
그러므로 로컬리티 개념은 지리적 환경이나 그 지역 사람들의 정서적 기질, 언어 등과 같은 기본적인 요소로부터, 그 지역만의 어떤 특수한 역사적 경험이나 사회적 관계속에 형성된 추상적 기운이나 제도까지 포함할 수 있는 포괄적인 개념인 것이다. 2)
#어느 특정한 지방을 배경으로 하여 그 지방의 특색을 반영한 문학이다.  
+
 
#지방에 사는 작가의 문학을 중앙에 사는 작가의 문학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
한국문학에서 로컬리즘 (로컬리티)은 농촌을 배경으로 사실적인 묘사를 하거나 전원취미나 취향의 토속성을 드러내는 것이며, 혹은 주인공의 건강한 삶이나 현실을 극복하는 배경공간으로 드러난다.
 +
예를들어 [[차범석]]의 <[[산불]]은 서사의 사실적인 전개를 위해 로컬을 동원하고 [[하유상]]의 <[[학 외다리로 서다]]는 전원취미로서 토속성을 보여준다. 
 +
 
 +
한국소설에서 로컬리즘은 서울 중심의 민족문학에 대한 안티테제로서의 지방문학(local literature)이라는 이중적 의미를 지닌다. 1960년대는 정부주도 하에 본격적인 도시화가 진행되었고 이 도시화는 수많은 이향(離鄕)을 낳았으며 곧‘상경민’'들을 탄생시켰다. 이향과 상경의 대상은 서울이었고, 이 때 서울-지방의 관계는 물리적 거리가 아닌 중심/주변의 구도를 형성하게 되었다. 1960-70년대의 문학은 서울-지방(시골)의 공간대비, 즉 서울/지방의 이분법적 관계틀을 보여줬다. 당시 이향과 귀향은 1960-70년대 한국문학의 반복적인 모티프가 되
 +
었다. 3)
  
  
17번째 줄: 21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로컬리즘]] || [[차범석]] || A는 B에게 영향을 주다 ||  
+
| [[로컬리즘]] || [[차범석]] || A는 B에 드러나다 ||  
 
|-
 
|-
 
|}
 
|}
  
 
==참고문헌==
 
==참고문헌==
문재원, 한국문학과 로컬리즘 ; 고향의 발견과 서울,지방의 (탈)구축. 한국문예비평연구, 2012, 38(0), 53-81.
+
1)이상봉, 인문학의 새로운 지평으로서 ‘로컬리티 인문학의 전망’ ,󰡔로컬리티 인문학󰡕창간호, 부산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51쪽
 +
 
 +
2)최상민, 천승세 희곡에서 로컬리티의 문제. 드라마 연구, 2013, 41(0), 259-285.
  
 +
3) 문재원, 한국문학과 로컬리즘 ; 고향의 발견과 서울,지방의 (탈)구축. 한국문예비평연구, 2012, 38(0), 53-81.
  
 
백지연, 1960년대 한국소설에 나타난 도시공간과 주체의 관련양상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271면.
 
백지연, 1960년대 한국소설에 나타난 도시공간과 주체의 관련양상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271면.
  
 +
윤진현, 천승세 희곡 연구. 한국극예술연구, 2000, 11, 235-262.
  
 
최병우, 한국현대소설과 로컬리즘. 현대소설연구, 2015, 58(0), 5-33.
 
최병우, 한국현대소설과 로컬리즘. 현대소설연구, 2015, 58(0), 5-33.

2018년 6월 23일 (토) 17:26 판

로컬리즘(Localism)

정의

로컬리즘이란 특정 지역에 대한 지역주의 혹은 문학속에 담겨 있는 지역 정서, 로컬리티(locality)를 의미한다. 60년대 희곡의 한 특징으로서 로컬리즘을 꼽을 수 있다.

상세 소개

로컬리티(locality)는 특정 로컬이 나타내는 장소성, 역사성, 권력성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현상과 관계성의 총체이며, 여기에 추상적인 인간의 의식을 경계지우는 주변성, 소수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1) 그러므로 로컬리티 개념은 지리적 환경이나 그 지역 사람들의 정서적 기질, 언어 등과 같은 기본적인 요소로부터, 그 지역만의 어떤 특수한 역사적 경험이나 사회적 관계속에 형성된 추상적 기운이나 제도까지 포함할 수 있는 포괄적인 개념인 것이다. 2)

한국문학에서 로컬리즘 (로컬리티)은 농촌을 배경으로 사실적인 묘사를 하거나 전원취미나 취향의 토속성을 드러내는 것이며, 혹은 주인공의 건강한 삶이나 현실을 극복하는 배경공간으로 드러난다. 예를들어 차범석의 <산불은 서사의 사실적인 전개를 위해 로컬을 동원하고 하유상의 <학 외다리로 서다는 전원취미로서 토속성을 보여준다.

한국소설에서 로컬리즘은 서울 중심의 민족문학에 대한 안티테제로서의 지방문학(local literature)이라는 이중적 의미를 지닌다. 1960년대는 정부주도 하에 본격적인 도시화가 진행되었고 이 도시화는 수많은 이향(離鄕)을 낳았으며 곧‘상경민’'들을 탄생시켰다. 이향과 상경의 대상은 서울이었고, 이 때 서울-지방의 관계는 물리적 거리가 아닌 중심/주변의 구도를 형성하게 되었다. 1960-70년대의 문학은 서울-지방(시골)의 공간대비, 즉 서울/지방의 이분법적 관계틀을 보여줬다. 당시 이향과 귀향은 1960-70년대 한국문학의 반복적인 모티프가 되 었다. 3)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로컬리즘 차범석 A는 B에 드러나다

참고문헌

1)이상봉, 인문학의 새로운 지평으로서 ‘로컬리티 인문학의 전망’ ,󰡔로컬리티 인문학󰡕창간호, 부산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51쪽

2)최상민, 천승세 희곡에서 로컬리티의 문제. 드라마 연구, 2013, 41(0), 259-285.

3) 문재원, 한국문학과 로컬리즘 ; 고향의 발견과 서울,지방의 (탈)구축. 한국문예비평연구, 2012, 38(0), 53-81.

백지연, 1960년대 한국소설에 나타난 도시공간과 주체의 관련양상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271면.

윤진현, 천승세 희곡 연구. 한국극예술연구, 2000, 11, 235-262.

최병우, 한국현대소설과 로컬리즘. 현대소설연구, 2015, 58(0), 5-33.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