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건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onlyinclude>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
 
1번째 줄: 1번째 줄:
<onlyinclude>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여자계'''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이름''' || 여자계(女子界)
 
|-
 
| style="text-align:center;"|'''분야''' || 언론·방송
 
|-
 
| style="text-align:center;"|'''유형''' || 문헌
 
|-
 
| style="text-align:center;"|'''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
 
| style="text-align:center;"|'''성격''' || 회보, 여성잡지, 기관지
 
|-
 
| style="text-align:center;"|'''편저자''' || 김덕성(金德成),  황애시덕
 
|-
 
| style="text-align:center;"|'''제작시기''' || 1917년 6월~1921년 6월
 
|-
 
| style="text-align:center;"|'''권수''' || 7호
 
|-
 
| style="text-align:center;"|'''간행자''' || 여자계사(女子界社)
 
|-
 
| style="text-align:center;"|'''소장처''' || 고려대학교 도서관, 아단문고
 
|}
 
</onlyinclude>
 
 
||<tablealign=right><tablewidth=24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fff,#1f2023><width=80> '''{{{+5 [[封|{{{#000,#ddd 封}}}]]}}}[br]봉할 봉''' ||<width=80> '''{{{+5 [[建|{{{#000,#ddd 建}}}]]}}}[br]세울 건''' ||<width=80> '''{{{+5 [[制|{{{#000,#ddd 制}}}]]}}}[br]지을 제''' ||
 
  
  
 
=='''정의'''==
 
=='''정의'''==
 
봉건제(封建制)는 정치·사회 체제의 한 형태이다. 고대 중국과 중세 유럽의 봉건제도는 일부 공통성이 있지만 서로 상이한 제도이나, 한자문화권에서는 유럽에서 시행되었던 feudalism을 중국의 봉건 제도로 번역하여 같은 용어로 사용하고 있다. 중앙 정부가 지방에 직접 행정관을 파견하여 통치하는 중앙집권적인 군현제와 달리 중앙 정부는 수도와 일부 요충지만 직접 통치하고 다른 지방에는 제후나 영주를 임명하여 다스리게 하는 제도이다.
 
봉건제(封建制)는 정치·사회 체제의 한 형태이다. 고대 중국과 중세 유럽의 봉건제도는 일부 공통성이 있지만 서로 상이한 제도이나, 한자문화권에서는 유럽에서 시행되었던 feudalism을 중국의 봉건 제도로 번역하여 같은 용어로 사용하고 있다. 중앙 정부가 지방에 직접 행정관을 파견하여 통치하는 중앙집권적인 군현제와 달리 중앙 정부는 수도와 일부 요충지만 직접 통치하고 다른 지방에는 제후나 영주를 임명하여 다스리게 하는 제도이다.

2022년 6월 3일 (금) 19:01 판


정의

봉건제(封建制)는 정치·사회 체제의 한 형태이다. 고대 중국과 중세 유럽의 봉건제도는 일부 공통성이 있지만 서로 상이한 제도이나, 한자문화권에서는 유럽에서 시행되었던 feudalism을 중국의 봉건 제도로 번역하여 같은 용어로 사용하고 있다. 중앙 정부가 지방에 직접 행정관을 파견하여 통치하는 중앙집권적인 군현제와 달리 중앙 정부는 수도와 일부 요충지만 직접 통치하고 다른 지방에는 제후나 영주를 임명하여 다스리게 하는 제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