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톨로지 기반 한국어 학습자료 안내 사이트 개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결과물)
(결과물)
19번째 줄: 19번째 줄:
 
[[파일:한교도서관.png|500px|위쪽|한교 도서관 한국어 한습자료 안내 사이트 홈페이지]]
 
[[파일:한교도서관.png|500px|위쪽|한교 도서관 한국어 한습자료 안내 사이트 홈페이지]]
  
 
+
  한국어 학습자료에 대해 기본적으로 제공할 정보 유형을 통합시켜 하나의 기준점이 될 온톨로지를 구축한 뒤, 그 온톨로지를 바탕으로 임시 제작한 홈페이지는 각 사이트의 상황에 맞추어 수정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단순한 레이아웃과 구성만을 적용하였다. 홈페이지의 구조는 크게 '메인화면/ 도서-교재, 익힘책, 어휘사전/ 학습 보조자료-이미지, 동영상, 음성/ 도서 하위페이지별 카테고리- 저자별, 기능별, 영역별, 난이도별, 시리즈별/ 자료 상세페이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한국어 학습자료에 대해 기본적으로 제공할 정보 유형을 통합시켜 하나의 기준점이 될 온톨로지를 구축한 뒤, 그 온톨로지를 바탕으로 임시 제작한 홈페이지는 각 사이트의 상황에 맞추어 수정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단순한 레이아웃과 구성만을 적용하였다.
 
 
<br/>
 
<br/>
  

2022년 6월 8일 (수) 19:56 판


프로젝트 목적 및 배경

현재 한국어 학습자료를 출판하는 공식 기관 중 하나인 세종학당은 물론, 다양한 대학과 교육청 사이트에서는 각각 다른 체계와 방식을 사용하여 한국어 학습자료의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따라서 이 프로젝트에서는 현재 통일되어 있지 않은 한국어 학습자료 소개 페이지 표준화 및 배포를 목적으로 하며, 최종적으로 프로젝트의 기준이 될 온톨로지를 구축한 후 한국어 학습자료를 소개하는 내용이 담긴 사이트인 국립국어원, 세종학당, 각 대학교의 한국어 교육센터, 다문화센터 사이트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결과물

한교 도서관 한국어 한습자료 안내 사이트 홈페이지

한국어 학습자료에 대해 기본적으로 제공할 정보 유형을 통합시켜 하나의 기준점이 될 온톨로지를 구축한 뒤, 그 온톨로지를 바탕으로 임시 제작한 홈페이지는 각 사이트의 상황에 맞추어 수정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단순한 레이아웃과 구성만을 적용하였다. 홈페이지의 구조는 크게 '메인화면/ 도서-교재, 익힘책, 어휘사전/ 학습 보조자료-이미지, 동영상, 음성/ 도서 하위페이지별 카테고리- 저자별, 기능별, 영역별, 난이도별, 시리즈별/ 자료 상세페이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제안서


최종보고서


발표자료


참여자 명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