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희 필 침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김정희 필 침계 (金正喜 筆 梣溪) ==기본 정보== ===분류=== 기록유산 / 서간류 / 서예 ===지정(등록)일=== 2018.04.20 ===소재지=== 서울특별시...)
 
1번째 줄: 1번째 줄:
[[김정희 필 침계 (金正喜 筆 梣溪)]]
+
[[파일:보물_제1980호_김정희_필_침계.jpg]]
 
 
==기본 정보==
 
===분류===
 
기록유산 / 서간류 / 서예
 
===지정(등록)일===
 
2018.04.20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
 
===위치===
 
{{
 
#display_map:
 
Seoul City;
 
37.581856, 127.010383
 
|service=googlemaps3
 
|width=800
 
|height=800
 
|type=normal
 
|overlays=videos-1,wikipedia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zoom=12
 
}}​
 
 
 
 
 
 
==문화재 설명==
 
==문화재 설명==
 
===정의===
 
===정의===
31번째 줄: 7번째 줄:
 
해서(楷書)와 예서(隸書)의 필법을 혼합해서 쓴 ‘침계’는 김정희의 자유분방한 개성이 돋보이는 파체(破體)의 대표작으로 꼽을 수 있다. 구성과 필법에서 작품의 완성도가 높을 뿐 아니라 김정희의 학문ㆍ예술ㆍ인품을 엿볼 수 있어 더욱 의미가 크다.
 
해서(楷書)와 예서(隸書)의 필법을 혼합해서 쓴 ‘침계’는 김정희의 자유분방한 개성이 돋보이는 파체(破體)의 대표작으로 꼽을 수 있다. 구성과 필법에서 작품의 완성도가 높을 뿐 아니라 김정희의 학문ㆍ예술ㆍ인품을 엿볼 수 있어 더욱 의미가 크다.
  
***해서 (楷書)***
+
====해설====
 +
 
 +
#해서 (楷書)
 
**한자 서체의 하나, 예서에서 변한 것으로 똑똑히 정자(正字)로 쓴다. 중국 후한의 왕차중(王次仲)이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한자 서체의 하나, 예서에서 변한 것으로 똑똑히 정자(正字)로 쓴다. 중국 후한의 왕차중(王次仲)이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 출처 : 표준국어대사전 )
 
( 출처 : 표준국어대사전 )
**윤정현 (尹定鉉)
+
#윤정현 (尹定鉉)
 
조선후기 홍문관제학, 황해도관찰사, 병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조선후기 홍문관제학, 황해도관찰사, 병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분류:문화재]] [[분류:한성대학교]][[분류:김서연]] [[분류:유물]] [[분류:혜화]]
+
[[분류:보물]] [[분류:한성대학교]][[분류:김서연]] [[분류:디지털과 지식콘텐츠]] [[분류:간송미술관]] [[분류:성북구의 문화재]] [[분류:기록유산]] [[분류:서간류]] [[분류:서예]] [[분류:1852년]] [[분류:철종 3년]]

2022년 11월 3일 (목) 12:48 판

파일:보물 제1980호 김정희 필 침계.jpg

문화재 설명

정의

김정희 필 침계’는 분당지에 예서(隸書)로 쓰고 비단으로 장황(粧䌙)한 횡피(橫披)의 형태이다. 화면 오른쪽으로 치우쳐 ‘침계(梣溪)’ 두 글자를 쓰고, 왼쪽에는 8행에 행마다 9~12자씩 모두 86자의 발문을 행서로 썼으며, 두 방의 백문인(白文印)을 찍는 등 격식을 완전하게 갖춘 작품이다. 침계(梣溪)는 김정희의 친구 윤정현(尹定鉉)의 호(號)이다.

의미

해서(楷書)와 예서(隸書)의 필법을 혼합해서 쓴 ‘침계’는 김정희의 자유분방한 개성이 돋보이는 파체(破體)의 대표작으로 꼽을 수 있다. 구성과 필법에서 작품의 완성도가 높을 뿐 아니라 김정희의 학문ㆍ예술ㆍ인품을 엿볼 수 있어 더욱 의미가 크다.

해설

  1. 해서 (楷書)
    • 한자 서체의 하나, 예서에서 변한 것으로 똑똑히 정자(正字)로 쓴다. 중국 후한의 왕차중(王次仲)이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 출처 : 표준국어대사전 )

  1. 윤정현 (尹定鉉)

조선후기 홍문관제학, 황해도관찰사, 병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