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금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내금강면'''== 현 금강군의 중심지이다. ==='''소개'''=== 내금강면(內金剛面) 면 소재지는 [말휘리]이다. 본래 [장양면](長楊面)이었으나...)
 
1번째 줄: 1번째 줄:
 
=='''내금강면'''==
 
=='''내금강면'''==
 +
 
  현 금강군의 중심지이다.
 
  현 금강군의 중심지이다.
  
 
==='''소개'''===
 
==='''소개'''===
  내금강면(內金剛面) 면 소재지는 [말휘리]이다. 본래 [장양면](長楊面)이었으나 일제강점기 말에 내금강면으로 개칭되었다.  
+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산악지대로 동부 면계에 [태백산맥]이 남북으로 뻗어내려 금강산의 주봉인 비로봉(1,638m)을 비롯해 옥녀봉(玉女峰)·국사봉 등이 솟아 있으며, 서부 면계에도 구단발령.  
+
  내금강면(內金剛面) 면 소재지는 [[말휘리]]이다. 본래 [[장양면]](長楊面)이었으나 일제강점기 말에 내금강면으로 개칭되었다.  
 +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산악지대로 동부 면계에 [[태백산맥]]이 남북으로 뻗어내려 금강산의 주봉인 비로봉(1,638m)을 비롯해 옥녀봉(玉女峰)·국사봉 등이 솟아 있으며, 서부 면계에도 구단발령.  
 
  (舊斷髮嶺)·증봉(甑峰, 1,267m) 등이 솟아 있다.
 
  (舊斷髮嶺)·증봉(甑峰, 1,267m) 등이 솟아 있다.
  이들 산지에서 발원한 여러 작은 내들이 모여 금강천과 [동금강천](東金剛川)이 되어 남류하다가 합쳐 [북한강]이 된다.  
+
  이들 산지에서 발원한 여러 작은 내들이 모여 금강천과 [[동금강천]](東金剛川)이 되어 남류하다가 합쳐 [북한강]이 된다.  
 +
 
 +
==='''기본내용'''===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40%;"
 +
!style="width:20%|분류 || style="width:50%"|내용
 +
|-
 +
|'''국가'''|| 북한
 +
|-
 +
|'''광역시도'''|| 강원도
 +
|-
 +
|'''시간대 '''|| UTC+9
 +
|-
 +
|'''인구'''|| 21,824명
 +
|-
 +
|'''면적'''|| 501.42km’
 +
|}
  
==='''내용'''===
+
작성자: [[송민영]]

2022년 11월 30일 (수) 22:49 판

내금강면

현 금강군의 중심지이다.

소개

내금강면(內金剛面) 면 소재지는 말휘리이다. 본래 장양면(長楊面)이었으나 일제강점기 말에 내금강면으로 개칭되었다.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산악지대로 동부 면계에 태백산맥이 남북으로 뻗어내려 금강산의 주봉인 비로봉(1,638m)을 비롯해 옥녀봉(玉女峰)·국사봉 등이 솟아 있으며, 서부 면계에도 구단발령. 
(舊斷髮嶺)·증봉(甑峰, 1,267m) 등이 솟아 있다.
이들 산지에서 발원한 여러 작은 내들이 모여 금강천과 동금강천(東金剛川)이 되어 남류하다가 합쳐 [북한강]이 된다. 

기본내용

분류 내용
국가 북한
광역시도 강원도
시간대 UTC+9
인구 21,824명
면적 501.42km’

작성자: 송민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