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작성자:정예은)
 
 
1번째 줄: 1번째 줄:
작성자:[[정예은]]
+
='''병풍'''=
 +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caption=병풍 이미지"">
 +
파일:만화.png|
 +
파일:만화2.png|
 +
파일:만화3.png|
 +
파일:만화4.png|
 +
</gallery>
 +
 
 +
=='''만화의 사전적 의미'''==
 +
이야기 따위를 간결하고 익살스럽게 그린 그림. 대화를 삽입하여 나타낸다. 사물의 형태나 사건의 성격을 과장된 표현 또는 생략된 표현으로 웃음의 소재나 풍자의 대상으로 삼은 회화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
<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45400&cid=46668&categoryId=46668</ref>
 +
 
 +
=='''만화의 역사'''==
 +
현대만화의 시작점은 19세기 후반이다. 그 당시에는 만화를 화가로 인식하기도 하였다. 예를 들면 프랑스 사실주의의 대가이며 회화 역사에 길이 남을 크리스팽과 스카팽 그리고 삼등열차 등의 명작을 남긴 오노레 도미에는 신문에 당시 국회의원들이 의회에서 한 발언장면 또는 법원에서의 재판광경 등을 만화로 그렸을 뿐 아니라 당시의 프랑스왕 루이 필립을 서양배 모양으로 그려서 신문에 실어 6개월 간의 금고형을 받는 필화사건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데생의 천재로 알려졌던 로트레크의 유화작품은 인상파미술관 속의 커다란 벽면을 차지하고 있는 대가이나 역시 신문에 많은 만화를 그렸다.
 +
 
 +
추가로 한국의 경우 1930년대에 동양화의 대가로 일컬어지는 청전 이상범이 잡지에 단편만화를 그렸고 노수현은 1924년대에 조선일보에 멍텅구리를 연재함으로써 신문만화의 새 기원을 이룩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들은 순수회화작품으로 만화를 앞지르는 명성을 얻었기 때문에 대체로 만화가의 작품으로 알려지기보다는 화가의 여기작품으로 알려졌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현재 [[부천한국만화박물관]]에서 한국의 초기 만화들을 수집해 전시해놓기도 하였다.
 +
 
 +
=='''✏️만화의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left;"|
 +
!정보||내용
 +
|-
 +
|성인만화||도박,폭력,성,마약 등을 소재로 다루는 경우가 많다
 +
|-
 +
|정치 풍자 만화||정치에 대한 비판이나 풍자를 목적으로 그린 만화이다.
 +
|-
 +
|만평||정치를 포함하여 경제, 사회, 문화 등 시사 전반에 걸쳐 특정 인물이나 이슈를 풍자하기 위해 1-4컷으로 그린 만화이다.
 +
|-
 +
|선전 만화,홍보만화||특정 단체나 상품에 대한 홍보 등 어떤 목적을 가지고 제작되는 만화.
 +
|-
 +
|소녀 만화||10대 여성들을 타겟으로 한 만화(예:순정)
 +
|-
 +
|소년 만화 ||10대 남성들을 타겟으로 한 만화(예:탐정,모험)
 +
|}
 +
 
 +
=='''📽️만화 관련 영상📽️'''==
 +
<youtube>67c3QizejZQ</youtube>
 +
 
 +
=='''✏️만화 장르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left;"|
 +
!정보||내용
 +
|-
 +
|SF||과학적 공상이 들어간 만화
 +
|-
 +
|호러||
 +
|-
 +
|순정||인문들 간의 정서적 교류를 강조하며, 주로 '사랑'에 대해 이야기 한다.
 +
|-
 +
|코믹(개그)||
 +
|-
 +
|추리||
 +
|-
 +
|로맨스||
 +
|-
 +
|슈퍼 히어로물||초인간적인 힘을 가진 영웅이 인류를 구하거나 악당을 물리치는 내용
 +
|-
 +
|전대물||다수의 캐릭터들이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함께 인류를 구하거나 악당을 물리치는 내용
 +
|-
 +
|학원물||학교나 학원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에 대한 내용
 +
|-
 +
|BL물||남성 동성애에 대한 내용
 +
|-
 +
|백합물||여성 동성애에 대한 내용
 +
|-
 +
|하드고어||잔인한 묘사로 공포감을 조성하는 만화
 +
|-
 +
|하드코어||살인,폭력,성행위 등을 노골적으로 그린 만화
 +
|}
 +
 
 +
=='''📽️최초의 만화📽️'''==
 +
<youtube>go28hlivFRk</youtube>
 +
 
 +
 
 +
==='''출처'''===
 +
<references/>
 +
 
 +
===작성자===
 +
[[정예은]]
 +
 
 +
[[분류:만화]]
 +
[[분류:웹툰]]
 +
[[분류:애니메이션]]
 +
[[분류:화가]]
 +
[[분류:작가]]
 +
[[분류:여가]]
 +
[[분류:회화]]

2022년 12월 3일 (토) 00:55 기준 최신판

병풍

만화의 사전적 의미

이야기 따위를 간결하고 익살스럽게 그린 그림. 대화를 삽입하여 나타낸다. 사물의 형태나 사건의 성격을 과장된 표현 또는 생략된 표현으로 웃음의 소재나 풍자의 대상으로 삼은 회화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1]

만화의 역사

현대만화의 시작점은 19세기 후반이다. 그 당시에는 만화를 화가로 인식하기도 하였다. 예를 들면 프랑스 사실주의의 대가이며 회화 역사에 길이 남을 크리스팽과 스카팽 그리고 삼등열차 등의 명작을 남긴 오노레 도미에는 신문에 당시 국회의원들이 의회에서 한 발언장면 또는 법원에서의 재판광경 등을 만화로 그렸을 뿐 아니라 당시의 프랑스왕 루이 필립을 서양배 모양으로 그려서 신문에 실어 6개월 간의 금고형을 받는 필화사건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데생의 천재로 알려졌던 로트레크의 유화작품은 인상파미술관 속의 커다란 벽면을 차지하고 있는 대가이나 역시 신문에 많은 만화를 그렸다.

추가로 한국의 경우 1930년대에 동양화의 대가로 일컬어지는 청전 이상범이 잡지에 단편만화를 그렸고 노수현은 1924년대에 조선일보에 멍텅구리를 연재함으로써 신문만화의 새 기원을 이룩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들은 순수회화작품으로 만화를 앞지르는 명성을 얻었기 때문에 대체로 만화가의 작품으로 알려지기보다는 화가의 여기작품으로 알려졌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현재 부천한국만화박물관에서 한국의 초기 만화들을 수집해 전시해놓기도 하였다.

✏️만화의 종류✏️

정보 내용
성인만화 도박,폭력,성,마약 등을 소재로 다루는 경우가 많다
정치 풍자 만화 정치에 대한 비판이나 풍자를 목적으로 그린 만화이다.
만평 정치를 포함하여 경제, 사회, 문화 등 시사 전반에 걸쳐 특정 인물이나 이슈를 풍자하기 위해 1-4컷으로 그린 만화이다.
선전 만화,홍보만화 특정 단체나 상품에 대한 홍보 등 어떤 목적을 가지고 제작되는 만화.
소녀 만화 10대 여성들을 타겟으로 한 만화(예:순정)
소년 만화 10대 남성들을 타겟으로 한 만화(예:탐정,모험)

📽️만화 관련 영상📽️

✏️만화 장르 종류✏️

정보 내용
SF 과학적 공상이 들어간 만화
호러
순정 인문들 간의 정서적 교류를 강조하며, 주로 '사랑'에 대해 이야기 한다.
코믹(개그)
추리
로맨스
슈퍼 히어로물 초인간적인 힘을 가진 영웅이 인류를 구하거나 악당을 물리치는 내용
전대물 다수의 캐릭터들이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함께 인류를 구하거나 악당을 물리치는 내용
학원물 학교나 학원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에 대한 내용
BL물 남성 동성애에 대한 내용
백합물 여성 동성애에 대한 내용
하드고어 잔인한 묘사로 공포감을 조성하는 만화
하드코어 살인,폭력,성행위 등을 노골적으로 그린 만화

📽️최초의 만화📽️


출처

작성자

정예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