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석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금석문== 파일:금석문.png)
 
(금석문)
1번째 줄: 1번째 줄:
==금석문==
+
==금석문((金石文))==
 
[[파일:금석문.png]]
 
[[파일:금석문.png]]
 +
 +
==정의==
 +
금석문이란 철이나 청동 같은 금속성 재료에 기록한 금문(金文)과 비석처럼 석재(石材)에 기록한 석문(石文)을 합한 것을 말한다. 금문, 석문뿐 아니라 토기에 기록한 토기 명문(銘文), 잘 다듬은 나무 조각에 쓴목간(木簡)의 기록, 직물에 쓴 포기(布記), 고분의 벽에 붓글 씨로기록한 묵서명(墨書銘), 칠기(漆器)에 기록한 묵서,기와나 전돌의명문(銘文) 등을 포괄하여 부르기도 한다.
 +
 +
==종류와 내용==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40%;"
 +
!style="width:20%|분류 || style="width:50%"|내용
 +
|-
 +
|'''묘지(墓誌)'''|| 죽은 이의 신원과 생애, 태어나고 죽은 해 등을 기록한 것
 +
|-
 +
|'''종명(鐘銘)'''|| 불교식 범종이나 기독교식 종을 제작할 때 그 종교의 교의(敎義)를 상징하는 문양과 함께 종을 만드는 데 참여한 사람들의 명단을 적어 주조
 +
|-
 +
|'''도검명(刀劍銘)'''|| 칼에 새겨진 명문
 +
|-
 +
|'''목간(木簡)'''|| 잣대 혹은 막대 모양으로 다듬은 나무 조각에 문자, 그림을 적어 의사를 전달한 것
 +
|-
 +
|'''토기 명문'''|| 토기에 명문을 기록한 것
 +
|-
 +
|'''와전명(瓦塼銘)'''|| 기와와 전돌에  명문을 음각과 인각(印刻), 양각과 음각하여 기록한 것
 +
|-
 +
|'''기타'''|| 석각(石刻)/탑지(塔誌)/인문(印文) 등
 +
|-
 +
|}

2022년 12월 6일 (화) 20:05 판

금석문((金石文))

금석문.png

정의

금석문이란 철이나 청동 같은 금속성 재료에 기록한 금문(金文)과 비석처럼 석재(石材)에 기록한 석문(石文)을 합한 것을 말한다. 금문, 석문뿐 아니라 토기에 기록한 토기 명문(銘文), 잘 다듬은 나무 조각에 쓴목간(木簡)의 기록, 직물에 쓴 포기(布記), 고분의 벽에 붓글 씨로기록한 묵서명(墨書銘), 칠기(漆器)에 기록한 묵서,기와나 전돌의명문(銘文) 등을 포괄하여 부르기도 한다.

종류와 내용

분류 내용
묘지(墓誌) 죽은 이의 신원과 생애, 태어나고 죽은 해 등을 기록한 것
종명(鐘銘) 불교식 범종이나 기독교식 종을 제작할 때 그 종교의 교의(敎義)를 상징하는 문양과 함께 종을 만드는 데 참여한 사람들의 명단을 적어 주조
도검명(刀劍銘) 칼에 새겨진 명문
목간(木簡) 잣대 혹은 막대 모양으로 다듬은 나무 조각에 문자, 그림을 적어 의사를 전달한 것
토기 명문 토기에 명문을 기록한 것
와전명(瓦塼銘) 기와와 전돌에 명문을 음각과 인각(印刻), 양각과 음각하여 기록한 것
기타 석각(石刻)/탑지(塔誌)/인문(印文)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