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시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역사와 유래)
(역사와 유래)
16번째 줄: 16번째 줄:
 
===역사와 유래===
 
===역사와 유래===
 
일제강점기 당시 부산광역시 동구 일대였으며 일본인 구역이었다. 8.15 광복 이후 수만 명의 일본인이 빠져나가면서 이 자리에 시장이 형성된 것이다. 처음에는 도떼기시장이라는 이름이었다.
 
일제강점기 당시 부산광역시 동구 일대였으며 일본인 구역이었다. 8.15 광복 이후 수만 명의 일본인이 빠져나가면서 이 자리에 시장이 형성된 것이다. 처음에는 도떼기시장이라는 이름이었다.
 +
6.25 전쟁 당시 부산이 임시수도로 지정되고 전쟁에서 유일하게 안전한 곳이 되자, 전국에서 엄청난 피난민과 미군 구호물자, 밀수품이 부산항으로 유입되며 국제시장은 그야말로 뭐든지 구할 수 있는 곳이 되었다.
 +
전쟁이 끝난 뒤에도 귀국한 재일교포와 돌아갈 곳 없는 많은 이북 출신 피난민들은 근처에 정착해 국제시장 상권에서 활동하였다.
 +
부산이 관광지가 되며 조금씩 알려지다가 2014년에 동명의 영화가 흥행하고 전국에 알려져 방문객 수가 많아졌다.
  
 
==과거와 현재==
 
==과거와 현재==
 
(사진 첨부)
 
(사진 첨부)
 
===음식과 볼거리===
 
===음식과 볼거리===

2023년 5월 31일 (수) 16:20 판

위치

부산광역시 중구 국제시장2길 25. 부산의 또다른 대형시장 자갈치시장이나 부평깡통시장, 근래 유명해진 보수동 책방골목 등과도 길 하나 가운데 두고 마주보고 있다.

지도를 불러오는 중...

역사와 유래

일제강점기 당시 부산광역시 동구 일대였으며 일본인 구역이었다. 8.15 광복 이후 수만 명의 일본인이 빠져나가면서 이 자리에 시장이 형성된 것이다. 처음에는 도떼기시장이라는 이름이었다. 6.25 전쟁 당시 부산이 임시수도로 지정되고 전쟁에서 유일하게 안전한 곳이 되자, 전국에서 엄청난 피난민과 미군 구호물자, 밀수품이 부산항으로 유입되며 국제시장은 그야말로 뭐든지 구할 수 있는 곳이 되었다. 전쟁이 끝난 뒤에도 귀국한 재일교포와 돌아갈 곳 없는 많은 이북 출신 피난민들은 근처에 정착해 국제시장 상권에서 활동하였다. 부산이 관광지가 되며 조금씩 알려지다가 2014년에 동명의 영화가 흥행하고 전국에 알려져 방문객 수가 많아졌다.

과거와 현재

(사진 첨부)

음식과 볼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