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②중화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역사적 변천)
(역사적 변천)
16번째 줄: 16번째 줄:
  
 
==역사적 변천==
 
==역사적 변천==
  임진왜란 당시 임시 행궁이었던 경운궁(덕수궁의 원래 이름)은 인조 이후, 석어당, 즉조당 및 주변 별당 몇 채 빼고는 아무 것도 없던 궁이었다. 그러다 1896년(건양 원년) 아관파천으로 러시아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겼던 고종이 1년 뒤인 1897년(건양 2년) 환궁할 곳으로[4] 기존의 경복궁, 창덕궁이 아닌 근처의 경운궁을 선택했다. 하지만 몇 백 년을 버려진 곳을 임금이 거처로 삼으려니 대공사가 필요했고 기간도 길어졌다. 그래서 한 동안은 기존에 있던 즉조당을 태극전, 중화전으로 부르면서 정전으로 사용했다.
+
  임진왜란 당시 임시 행궁이었던 경운궁(덕수궁의 원래 이름)은 인조 이후, 석어당, 즉조당 및 주변 별당 몇 채 빼고는 아무 것도 없던 궁이었다. 그러다 1896년(건양 원년) 아관파천으로 러시아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겼던 고종이 1년 뒤인 1897년(건양 2년) 환궁할 곳으로 기존의 경복궁, 창덕궁이 아닌 근처의 경운궁을 선택했다. 하지만 몇 백 년을 버려진 곳을 임금이 거처로 삼으려니 대공사가 필요했고 기간도 길어졌다. 그래서 한 동안은 기존에 있던 즉조당을 태극전, 중화전으로 부르면서 정전으로 사용했다. 중화문도 이 때 정전의 정문으로 지었다. 1901년(광무 5년) 8월 20일[6]에 정초했고, 같은 달 30일[7]에 기둥을 세웠으며, 9월 24일[8]에 상량했고, 10월 29일[9]에 현판을 걸었다.
  
 
==의의와 평가==
 
==의의와 평가==

2023년 6월 17일 (토) 21:34 판

파일:대한문사진임.jpg 대한문과거사진임.jpg

중화문

중화문 中和門 (中和 :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바른 성정)
1902년에 건립된 중화전의 정문으로 1904년 덕수궁 대화재로 소실된 후 새로 만들어 세웠으며, 본래 중화문 좌우에 행각이 있었으나 없어지고 동측에 일부만 남아 있다.

건립시기·연도

대한제국, 1902년 창건, 1906년 중건

소재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정동)

관련 영상

역사적 변천

임진왜란 당시 임시 행궁이었던 경운궁(덕수궁의 원래 이름)은 인조 이후, 석어당, 즉조당 및 주변 별당 몇 채 빼고는 아무 것도 없던 궁이었다. 그러다 1896년(건양 원년) 아관파천으로 러시아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겼던 고종이 1년 뒤인 1897년(건양 2년) 환궁할 곳으로 기존의 경복궁, 창덕궁이 아닌 근처의 경운궁을 선택했다. 하지만 몇 백 년을 버려진 곳을 임금이 거처로 삼으려니 대공사가 필요했고 기간도 길어졌다. 그래서 한 동안은 기존에 있던 즉조당을 태극전, 중화전으로 부르면서 정전으로 사용했다. 중화문도 이 때 정전의 정문으로 지었다. 1901년(광무 5년) 8월 20일[6]에 정초했고, 같은 달 30일[7]에 기둥을 세웠으며, 9월 24일[8]에 상량했고, 10월 29일[9]에 현판을 걸었다.

의의와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