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가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 border="1"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olspan="4" | 작품목록 |- ! 소설 !! 수필 !! 시 !! 동화 |- | * 《날개》 * 《종생기...)
 
1번째 줄: 1번째 줄:
{| border="1"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관련 서적'''===
! colspan="4" | 작품목록
 
|-
 
! 소설 !! 수필 !! 시 !! 동화
 
|-
 
|
 
* 《[[날개 (소설)|날개]]》
 
* 《종생기》
 
* 《단발(斷髮)》
 
* 《실화(失花)》
 
* 《환시기(幻視記)》
 
* 《동해(童骸)》
 
* 《봉별기(逢別記)》
 
* 《지주회시(蜘蛛會豖)》
 
* 《지도의 암실》
 
* 《지팽이 역사》
 
* 《사신1-9》
 
* 《12월 12일》
 
||
 
* 《권태》
 
* 《산촌여정》
 
* 《첫번째 방랑》
 
||
 
* <[[거울 (시)|거울]]>
 
  
* 〈異常ナ可逆反応 (이상한 가역반응) (《朝鮮と建築 ([[조선과 건축]])》1931년 7월호)
+
조용만. (1992). 젊은 예술가들의 초상 : 조용만 소설집. 窓.
* 〈破片ノ景色:△ハ俺ノAMOUREUSEデアル (파편의 경치: △은 나의 AMOUEUSE이다)
 
(《朝鮮と建築 (조선과 건축)》1931년 7월호)
 
* 〈▽ノ遊戯ー:△ハ俺ノAMOUREUSEデアル (▽의 유희: △은 나의 AMOUREUSE이다)
 
(《朝鮮と建築 (조선과 건축)》1931년 7월호)
 
* 〈ひげー:(鬚·鬚·ソノ外ひげデアリ得ルモノラ·皆ノコト
 
(수염-: (鬚·鬚·그 밖에 수염일 수 있는 것들·모두를 이름))
 
  
(《朝鮮と建築 (조선과 건축)》1931년 7월호)
+
황인용. (2012). 조용만의 ‘멋이라는 것’. 5. 문예운동사.
* 〈BOITEUX·BOITEUSE〉(《朝鮮と建築 (조선과 건축)》1931년 7월호)
 
* 〈空腹ー (공복-)〉(《朝鮮と建築 (조선과 건축)》1931년 7월호)
 
* 〈[[건축무한육면각체]]〉
 
* 〈[[꽃나무]]〉(《가톨닉靑年》 1933년 7월호)
 
* 〈이런 詩〉(《가톨닉靑年》 1933년 7월호)
 
* 〈一九三三, 六, 一〉(《가톨닉靑年》 1933년 7월호)
 
* 〈거울〉(《가톨닉靑年》 1933년 10월호)
 
* 〈普通紀念〉(《月刊每申》 1934년 7월호)
 
* 《[[오감도]](烏瞰圖)》
 
** 〈詩第一號〉(《朝鮮中央日報》1934년 7월 24일)
 
** 〈詩第二號〉(《朝鮮中央日報》1934년 7월 25일)
 
** 〈詩第三號〉(《朝鮮中央日報》1934년 7월 25일)
 
** 〈詩第四號〉(《朝鮮中央日報》1934년 7월 28일)
 
** 〈詩第五號〉(《朝鮮中央日報》1934년 7월 28일)
 
** 〈詩第六號〉(《朝鮮中央日報》1934년 7월 31일)
 
** 〈詩第七號〉(《朝鮮中央日報》1934년 8월 2일)
 
** 〈詩第八號 解剖〉(《朝鮮中央日報》1934년 8월 3일)
 
** 〈詩第九號 銃口〉(《朝鮮中央日報》1934년 8월 3일)
 
** 〈詩第十號 나비〉(《朝鮮中央日報》1934년 8월 3일)
 
** 〈詩第十一號〉(《朝鮮中央日報》1934년 8월 4일)
 
** 〈詩第十二號〉(《朝鮮中央日報》1934년 8월 4일)
 
** 〈詩第十三號〉(《朝鮮中央日報》1934년 8월 7일)
 
** 〈詩第十四號〉(《朝鮮中央日報》1934년 8월 7일)
 
** 〈詩第十五號〉(《朝鮮中央日報》1934년 8월 8일)
 
* 〈실화〉
 
||
 
* <황소와 도깨비>
 
  
(1937년 3월 8일) &nbsp;
+
조용만. (2010). 조용만 작품집. 지식을만드는지식.
|}
+
 
 +
趙容萬 著. (1986). (趙容萬.회고수필집)세월의 너울을 벗고. 敎文社
 +
 
 +
 
 +
 
 +
 
 +
==='''관련 학술자료'''===
 +
 
 +
 
 +
위서현. (2016).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본 작가 이상과 그의 작품세계. 연세상담코칭연구, 5, 193-216.
 +
 
 +
김종건. (2004). 이상 소설의 공간설정과 작가의식-[날개] 를 중심으로. 어문학, 221-249.
 +
 
 +
김주현. (1997). 이상 시의 내적 상호텍스트성. 국어국문학, 118, 295-313.
 +
 
 +
백문임. (1998). [작가의 근대 탐색과 극복] 이상 (李箱) 의 모더니즘 방법론 고찰. 상허학보, 4, 271-297.
 +
 
 +
 
 +
 
 +
==='''관련 시각자료'''===
 +
 
 +
 
 +
 
 +
===='''이미지'''====
 +
 
 +
<gallery>
 +
파일:경성고등공업학교_미술부에서_그림을_그리고_있는_이상.jpg|[[경성고등공업학교 미술부에서 그림을 그리고 있는 이상]]
 +
파일:구본웅이_그림_이상의_초상,'우인의_초상'.jpg|[[구본웅이 그림 이상의 초상,'우인의 초상']]
 +
파일:김윤식의_'이상연구(문학사상사,1987)'의_표지.jpg|[[김윤식의 '이상연구(문학사상사,1987)'의 표지]]
 +
파일:'조선중앙일보'_1934년_7월_24일에_실린_이상의_'오감도'_제1호.jpg|[['조선중앙일보' 1934년 7월 24일에 실린 이상의 '오감도' 제1호]]
 +
</gallery>
 +
 
 +
 
 +
 
 +
===='''동영상'''====
 +
 
 +
<div>
 +
<youtube>hyy2cCjI2Cg</youtube>
 +
</div>
 +
 
 +
<div>
 +
<youtube>B2575To3OKo</youtube>
 +
</div>
 +
 
 +
 
 +
 
 +
 
 +
===='''지도'''====
 +
 
 +
 
 +
<div>
 +
{{
 +
#display_map:
 +
Seoul City;
 +
37.574246, 126.970440
 +
|service=googlemaps3
 +
|width=400
 +
|height=200
 +
|type=normal
 +
|overlays=videos-1,wikipedia
 +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zoom=12
 +
}}
 
</div>
 
</div>
 +
 +
 +
 +
 +
=== 이상을 다룬 작품 ===
 +
 +
 +
* 《[[금홍아 금홍아]]》 ([[대한민국 영화|영화]], [[1995년]]), 배우: [[김갑수 (배우)|김갑수]]
 +
* 《[[이상의 날개]]》 ([[영화]], [[1968년]]), 배우: [[강신성일|신성일]]
 +
* 《[[이상 그 이상]]》 ([[MBC TV|MBC]], [[2013년]]), 배우: [[조승우]]
 +
* 《[[58년 개띠 총각 감독]]》 ([[영화]], [[2014년]]), 배우: [[조찬형]]
 +
 +
 +
 +
 +
== 같이 보기 ==
 +
* [[변동림]]
 +
* [[김유정 (소설가)|김유정]]
 +
* [[김환기]]
 +
* [[구본웅]]
 +
 +
 +
 +
 +
==작성자==
 +
 +
 +
*작성자 :[[여동윤]]
 +
*기여자 :[[고지호]], [[이서연]], [[양석진]], [[이슬기]]
 +
 +
 +
==='''출처'''===
 +
네이버 이미지, 구글 이미지

2019년 6월 6일 (목) 18:11 판

관련 서적

조용만. (1992). 젊은 예술가들의 초상 : 조용만 소설집. 窓.

황인용. (2012). 조용만의 ‘멋이라는 것’. 5. 문예운동사.

조용만. (2010). 조용만 작품집. 지식을만드는지식.

趙容萬 著. (1986). (趙容萬.회고수필집)세월의 너울을 벗고. 敎文社



관련 학술자료

위서현. (2016).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본 작가 이상과 그의 작품세계. 연세상담코칭연구, 5, 193-216.

김종건. (2004). 이상 소설의 공간설정과 작가의식-[날개] 를 중심으로. 어문학, 221-249.

김주현. (1997). 이상 시의 내적 상호텍스트성. 국어국문학, 118, 295-313.

백문임. (1998). [작가의 근대 탐색과 극복] 이상 (李箱) 의 모더니즘 방법론 고찰. 상허학보, 4, 271-297.


관련 시각자료

이미지


동영상



지도

지도를 불러오는 중...



이상을 다룬 작품



같이 보기



작성자


출처

네이버 이미지, 구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