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79번째 줄: 79번째 줄:
 
|}
 
|}
  
==작품세계 (활동내역) ==
+
==작품세계==
작가(예술가)의 작품 세계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이곳에 기술합니다.
+
조운의 작품들은 전반적으로 단아한 정조로서 전통적인 정한의 세계를 주로 다루고 있다. 남들과 다른 언어의 조탁과 섬세한 개성미를 지니고 있으며 많은 공감을 얻고있다.또한 이념적인 색채를 사용하지 않으며 자연과 인간의 평이한 서정을 읊는 순수문학성을 주로 이루고 있다. 이러한 조운은 시작세계의 일관된 주제가 민족주의적인 이상과 연결되어있는 것은 조운은 시조에만 전념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시조에 조선혼(朝鮮魂)이 깃들여 있다고 주장하였으며 초기작품에 자주 등장하던 '님'함의성 그리고 우리 언어가 가지는 민족적 감정이 담겨있다고 생각한다.  
 
 
 
 
작가가 아닌 사람의 경우에는 주요한 업적을 중심으로 기술합니다.
 
  
 
==작품 및 저서==
 
==작품 및 저서==

2019년 6월 14일 (금) 22:09 판


조운(1900년 ~ 미상)

생애

출생

조운은 1900년 6월26일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도동리 구름다리 옆집에서 출생하였다. 본명은 주현(柱鉉)자가 중빈(重彬) 이였지만 집앞에 있는 구름다리를 따서 운(雲)을 본명이자 필명으로 사용하였다. 4살 때 부친을 여의고 7남매 중 외아들로 자랐다.

지도를 불러오는 중...

학력

  • 영광보통학교졸업
  • 목포상업학교졸업

연보

연도 내용
조운의 생애 연표
1900년(1세) 6월 26일 전남 영광에서 7남매중 외아들로 출생
1917년(18세) 영광보통학교 졸업
1919년(20세) 목포상업학교 졸업 후 3.1운동 가담하였고 일경의 추격을 피해서 만주로 망명
1921년(22세) 영광으로 귀향후 사립영광학원의 조선어 교사 취임
1922년 (23세) <동아일보>에 시「불살너 주오」활자화
1924년 (25세) <조선문단>에 「초승달이 재넘을 때」 등 자유시 3편을 발표한 후 문단에 공식진출
1935년 (36세) 영광 금융조합에서 근무하며 민족자각운동의 일환으로서 갑술독서회 결성 등 반일운동 펼친 후 1년반 정도 옥고를 치룸.
1945년 (46세) 해방 이후 영광건국준비위원회 부위원장직을 부임하고 문학가동맹에 가입
1947년 (48세) 가족과 함께 상경 후 동국대에서 시조론에 대한 강의를함, 이 시기에『조운시조집』간행
1948년 (49세) 정부수립 이후 가족과 함께 월북, 황해도 대표위원과 최고인민회의 상임임원을 지냄,「춘향전」을 연구하고 박태원과 함께 『조선구전민요집』, 『조선창극집』을 출간
1956년 (57세) 이태준계열 숙청 이후 몰락 후 구제됨, 「인민시인 신재효」발표
1957년 (58세) <조선문학>에「아브로라의 포성」발표
1958년 (59세) <조선문학>에「평양판관」발표

작품세계

조운의 작품들은 전반적으로 단아한 정조로서 전통적인 정한의 세계를 주로 다루고 있다. 남들과 다른 언어의 조탁과 섬세한 개성미를 지니고 있으며 많은 공감을 얻고있다.또한 이념적인 색채를 사용하지 않으며 자연과 인간의 평이한 서정을 읊는 순수문학성을 주로 이루고 있다. 이러한 조운은 시작세계의 일관된 주제가 민족주의적인 이상과 연결되어있는 것은 조운은 시조에만 전념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시조에 조선혼(朝鮮魂)이 깃들여 있다고 주장하였으며 초기작품에 자주 등장하던 '님'의 함의성 그리고 우리 언어가 가지는 민족적 감정이 담겨있다고 생각한다.

작품 및 저서

작품이나 저서가 없는 사람의 경우에는 이 부분은 제외하고 기술합니다.

배우의 경우 출연작에 관한 내용으로 채워 주세요.

기타(수상내역 등)

위 항목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해당 인물을 설명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자유롭게 기술합니다.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주어(S) 목적어(O) A는 B를 ~하다(P)

참고문헌

북한문학사전

한국현대문학대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