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프 톨스토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4번째 줄: 14번째 줄:
 
| style="text-align:center;"|'''사망''' || 1910년 11월 20일 (82세)<br/>러시아 제국 아스타포보  
 
| style="text-align:center;"|'''사망''' || 1910년 11월 20일 (82세)<br/>러시아 제국 아스타포보  
 
|-  
 
|-  
| style="text-align:center;"|'''직업''' || [[작가]], [[소설가]], [[극작가]], [[수필가]]
+
| style="text-align:center;"|'''직업''' || [[작가]], [[문명비평가]], [[사상가]]
 
|-  
 
|-  
 
| style="text-align:center;"|'''국적''' || [[러시아]]
 
| style="text-align:center;"|'''국적''' || [[러시아]]
82번째 줄: 82번째 줄:
  
 
<br/>
 
<br/>
==주요활동==
+
== 작품 ==
<br/>
+
=== 장편소설 ===
독립운동
+
* [[전쟁과 평화]](Война и мир, 1865년 ~ 1869년)
*대구격문사건
+
* [[데카브리스트]](Декабристы, 1868년)
*의열단 무장투쟁
+
* [[안나 카레니나]](Анна Каренина, 1873년 ~ 1877년)
*서대문형무소 수감
+
* [[부활 (톨스토이)|부활]](Воскресение, 1899년)
<br/>
+
* [[Master and Man]](Хозяин и работник, 1895년)
시 등 저서활동
+
* [[하지 마우라트]](Хаджи-Мурат, 1898년)
*청포도
+
* [[이반 일리치의 죽음]](Смерть Ивана Ильича)
*광인의 태양
+
* [[카자크 사람들]](Казаки, 1863년)
*광야
+
* [[크로이체르 소나타]](Крейцерова соната)
*계절의 오행
+
* [[카티아]](Катя, 1859년)
<br/>
+
* [[A Morning of a Landed Proprietor]](Утро помещика)
===업적===
+
 
<br/>
+
=== 자전적 작품 ===
*광주학생항일투쟁
+
* [[톨스토이 자서전]]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 1기생 졸업
+
* [[레프 톨스토이 일기]]
*의열단 활동
+
* [[고백록 (톨스토이)|고백록]]
<br/>
+
* [[과거의 역사]]
===저서===
+
* [[톨스토이의 유언]]
====시====
+
 
<br/>
+
=== 단편소설 ===
*광야<br/>
+
* [[세 개의 질문]]
*꽃<br/>
 
*청포도<br/>
 
*절정<br/>
 
외 30여 작품<br/>
 
작품 목록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60%;"
 
!style="width:18%"|제목!!style="width:24%"|발표년도(서기)!!style="width:24%"|비고
 
|-
 
| 말 || 1930 || 첫 발표 시
 
|-
 
| 春愁三題 || 1935 || 춘수삼제
 
|-
 
| 黃昏 || 1935 || 황혼
 
|-
 
| 失題 || 1936 || 실제
 
|-
 
| 한 개의 별을 노래하자 || 1936 ||
 
|-
 
| 海朝詞 || 1937 || 해조사
 
|-
 
| 路程記 || 1937 || 노정기
 
|-
 
| 草家 || 1938 || 초가
 
|-
 
| 江 건너간 노래 || 1938 || 강 건너간 노래
 
|-
 
| 小 公 園 || 1938 || 소 공 원
 
|-
 
| 鴉片 || 1938 || 아편
 
|-
 
| 年譜 || 1939 || 연보
 
|-
 
| 南漢山城 || 1939 || 남한산성
 
|-
 
| 湖水 || 1939 || 호수
 
|-
 
| 靑葡萄 || 1939 || 청포도
 
|-
 
| 絶頂 || 1940 || 절정
 
|-
 
| 班描 || 1940 || 반묘
 
|-
 
| 狂人의 太陽 || 1940 || 광인의 태양
 
|-
 
| 日蝕 || 1940 || 일식
 
|-
 
| 喬木 || 1940 || 교목
 
|-
 
| 西風 || 1940 || 서풍
 
|-
 
| 獨白 || 1941 || 독백
 
|-
 
| 娥眉 || 1941 || 아미
 
|-
 
| 子夜曲 || 1941 || 자야곡
 
|-
 
| 芭蕉 || 1941 || 파초
 
|-
 
| 謹賀 石庭先生 六旬 || 1943 || 근가 석정선생 육순/이후 한시
 
|-
 
| 晩登東山 || 1943 || 만등동산
 
|-
 
| 酒暖興餘 || 1943 || 주난흥여
 
|-
 
| 曠野 || 1945 || 광야/유시
 
|-
 
| 꽃 || 1945 || 유시
 
|-
 
| 소년에게 || 1946 || 유고시집《육사시집(陸史詩集)》
 
|-
 
| 나의뮤즈 || 1946 || 유고시집《육사시집(陸史詩集)》
 
|-
 
| 邂逅 || 1946 || 해후
 
|-
 
| 바다의 마음 || ? ||
 
|-
 
| 蝙蝠 || ? || 편복
 
|-
 
|}
 
시 목록은 CC-BY
 
  
====수필====
 
<br/>
 
*계절의 오행<br/>
 
*은하수<br/>
 
*창공에 그리는 마음<br/>
 
외 10여 작품<br/>
 
<br/>
 
  
 
==참고자료==
 
==참고자료==

2019년 12월 2일 (월) 03:12 판



개요


19세기 러시아 문학을 대표하는 세계적 문호임과 동시에 문명비평가·사상가였다. 사실주의 소설의 대가로, 대표작은 나폴레옹의 모스크바 침입과 러시아 사회를 그린 《전쟁과 평화》(1864∼1869), 사랑과 결혼 등의 문제를 다룬 《안나 카레니나》(1873∼1876), 러시아 민담을 개작한 <바보 이반>(1886), 죽음을 소재로 한 <이반 일리치의 죽음>(1886) 등이 있다.

생애


이육사의 원천동 생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지도를 불러오는 중...
이육사는 
1927년 장진홍의거에 연루되어 붙잡혔다가 풀려남.
1931년 1월 대구격문사건으로 붙잡혔다가 3월에 풀려남.
1932년 중국으로 가서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朝鮮革命軍事政治幹部學校) 1기생으로 입교.
1933년 4월 20일 학교를 졸업한 후 같은 해 7월 서울로 잠입.
1934년 3월 20일 군사간부학교 출신이란 것이 드러나 붙잡혔으나 기소유예로 풀려남.
1943년 다시 독립운동에 나서 북경으로 갔고, 잠시 귀국한 틈에 붙잡혀 북경으로 끌려가 북경 동창호동(東廠胡同) 1호에 있던 일본총영사관 감옥(일본헌병대 감옥)에서 1944년 1월 16일 새벽 순국.
1990년 애국장(1968년 대통령표창, 1977년 건국포장). 
■【참고】 「신원카드」, 『독립운동사』 8권, 『이육사 평전』,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 30집·31집


이육사의 생가 (CC-BY-NC-ND)












연보


  • 1828년. 9월 9일 야스나야 폴랴나 출생.
  • 1847 카잔대학 중퇴.
  • 1851 군대에 들어가 캅카스에서 사관후보생으로 복무.
  • 1852 첫 작품 《유년시대 Detstvo》를 익명으로 발표.
  • 1854 《소년시대 Otrochestvo》 발표.
  • 1856 《세바스토폴 이야기 Sevastopoliskie Rasskazy》 발표.
  • 1869 《전쟁과 평화 Voina i mir》 완간.
  • 1876 《안나 카레니나 Anna Karenina》 완간.
  • 1880 《교의신학비판》 발표.
  • 1882 《참회록 Ispoved’》 발표.
  • 1884 《나의 신앙 V chem moya vera》 발표.
  • 1899 러시아 정교회에 속하지 않는 성령부정파교도 약 4천명의 미국 이주 자금 조달을 목적으로 장편소설 《부활 Voskresenie》 발표.
  • 1901 《부활》이 동방정교회에 비판을 가했다는 이유로 종무원으로부터 파문 당함.
  • 1910 《인생의 길》 발표. 여행 도중 얻은 병으로 11월 20일 아스타포보 역장 관사에서 사망.


작품

장편소설

자전적 작품

단편소설


참고자료


이육사 한국 위키피디아 문서
이육사 문학관 홈페이지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_이육사
이육사 위키문헌 문서
이육사 생가 위치(구글맵)
국가보훈처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