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퍼드 페어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onlyinclude>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
 
12번째 줄: 12번째 줄:
 
| style="text-align:center;"|'''기법''' || [[그래피티]]
 
| style="text-align:center;"|'''기법''' || [[그래피티]]
 
|-  
 
|-  
| style="text-align:center;"|'''학력''' || [[로드아일랜드스쿨]](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
| style="text-align:center;"|'''학력''' || [[로드아일랜드 스쿨 오브 디자인]](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  
 
|-  
 
|}
 
|}
24번째 줄: 24번째 줄:
  
 
==생애==
 
==생애==
[[셰퍼드 페어리]]는 [[1970년]] [[미국]] [[찰스턴]]에서 [[의사]]인 아버지와 [[부동산사업가]]인 어머니의 아들로 태어났다. 미대의 하버드라고 불리는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에게서 미술을 배웠다.졸업 후, 그는 1988년 [[로드 아일랜드 스쿨]]에 다니기 위해서 [[로드 아일랜드]]로 이사를 했다. 대학에 재학하고 있을 당시인 1989년에 [[Andre the Giant Has a Posse]]스티커캠페인을 만들었다. 이 캠페인은 "obeyGiant" 캠페인으로 발전하였다.  1992년 셰퍼드 페어리는 [[로드아일랜드스쿨]]에서 영화학과를 졸업했다. 그 후 로드 아일랜드의 [[프로비던스]]에 Alternate Graphics라는 작은 인쇄 회사를 설립했는데, 이 회사는 페어리에게 자신의 작품을 계속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주었다.  
+
[[셰퍼드 페어리]]는 [[1970년]] [[미국]] [[찰스턴]]에서 [[의사]]인 아버지와 [[부동산사업가]]인 어머니의 아들로 태어났다. 미대의 하버드라고 불리는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에게서 미술을 배웠다.졸업 후, 그는 1988년 [[로드 아일랜드 스쿨]]에 다니기 위해서 [[로드 아일랜드]]로 이사를 했다. 대학에 재학하고 있을 당시인 1989년에 [[Andre the Giant Has a Posse]]스티커캠페인을 만들었다. 이 캠페인은 "obeyGiant" 캠페인으로 발전하였다.  1992년 셰퍼드 페어리는 [[로드아일랜드 스쿨 오브 디자인]]에서 영화학과를 졸업했다. 그 후 로드 아일랜드의 [[프로비던스]]에 Alternate Graphics라는 작은 인쇄 회사를 설립했는데, 이 회사는 페어리에게 자신의 작품을 계속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주었다.  
  
 
그리고 1994년 [[프로비던스]]에서 살면서 미국의 영화 제작자 [[헬렌 스티클러]]를 만났다. 헬렌 스티클러도 로드아일랜드스쿨에 다녔고, 셰퍼드 페어리와 같은 학과인 영화학과를 졸업하였다. 그 다음해 봄에 헬렌스티클러와 셰퍼드 페어리는 같이 다큐멘터리를 찍었다. 이 다큐멘터리의 이름은 "Andre the Giant Has A Posse"라는 제목으로 이 다큐멘터리는 1995년 [[New York Underground Film Festival]]초연되었으며, 2년 뒤인 1997년에는 [[Sundance Film Festival]]에서 상영되었다.
 
그리고 1994년 [[프로비던스]]에서 살면서 미국의 영화 제작자 [[헬렌 스티클러]]를 만났다. 헬렌 스티클러도 로드아일랜드스쿨에 다녔고, 셰퍼드 페어리와 같은 학과인 영화학과를 졸업하였다. 그 다음해 봄에 헬렌스티클러와 셰퍼드 페어리는 같이 다큐멘터리를 찍었다. 이 다큐멘터리의 이름은 "Andre the Giant Has A Posse"라는 제목으로 이 다큐멘터리는 1995년 [[New York Underground Film Festival]]초연되었으며, 2년 뒤인 1997년에는 [[Sundance Film Festival]]에서 상영되었다.
  
2003년에는 그의 아내인 아만다 페어리와 함께 스튜디오 넘버원 디자인 에이전시를 설립하였다.
+
*2001년, [[OBEY]]를 설립하였다.
 +
*2003년, 그의 아내인 아만다 페어리와 함께 스튜디오 넘버원 디자인 에이전시를 설립하였다.
  
  
  
  
 +
==적극성과 인류애==
 +
쉐퍼드 페어리는 항상 논란의 여지가 있는 사회적, 정치적 주제에 대해 개방적이었고 이러한 사회적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종종 기부하고 예술 작품을 만들며 이러한 대의에 직접 기여해 왔다.
  
이후, [[파리]]로 돌아와 [[살롱 초대전]]에서 20년간에 걸쳐 수시로 작품을 출품했다. 정부의 주문을 받으면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였다.
+
2000년대 초 셰퍼드 페어리는 치아파스 구호 기금, [[ACLU]]과 같은 단체에 기부를 하기 시작했다.
 +
그리고 제 1형 당뇨병 환자인 셰퍼드 페어리는 종종 의학 연구에 도움을 주는 비영리 단체에 기부하고 있으며, 인간 질병에 대한 치료법을 찾는 과정을 가속화하는 비영리 단체인 [http://www.givetocure.org/ Give to Cure] 의 초기 지지자 중 한 명이다.
  
[[1888년]] [[프랑스 미술 아카데미]]의 회원이 되었다.
+
이러한활동 등에 참여하며 다양한 기부를 하고 있다.  
  
[[1892년]] 그가 졸업했던, [[파리]]의 [[에콜 데 보자르]]에 교수로 재직했다.
+
가장 최근한 활동으로는 2018년 3월에 학교 안전을 지지하는 작품을 만들었으며, 그의 예술 작품이 담긴 포스터가 2018년 3월 24일 워싱턴 DC에서 열린 [[March for Our Lives]]에 전시되었다.
그의 제자 중에는 [[마케]](Albert Marquet), [[마티스]](Matisse), [[루오]](Rouault)가 있었다.
 
  
[[1895년]]에 [[귀스타브 모로]]는 [[파리]]의 9구 로슈푸코 거리([[프랑스어]]: rue de la Rochefoucauld) 14번지에 있는 그의 집을 미술관으로 개조하고 그의 작품들을 모았다.
 
 
[[1898년]]에 그는 [[위암]]으로 사망하고, [[몽마르트르 묘지]]에 묻혔다.
 
 
[[귀스타브 모로]]가 개조한 집은 [[귀스타브 모로 미술관]]([[프랑스어]]: Musée Gustave Moreau)으로 [[1902년]]에 국가의 공식적인 미술관이 되었고, 그가 가장 아끼던 제자인 [[루오]](Rouault)가 초대 관장을 맡았다.
 
  
 
*[[귀스타브 모로 미술관]](Musée Gustave Moreau) 위치
 
*[[귀스타브 모로 미술관]](Musée Gustave Moreau) 위치
75번째 줄: 73번째 줄:
  
 
<gallery>
 
<gallery>
파일:세이렌.png|[[세이렌]](Les Sirènes) - [[귀스타브 모로 미술관]]
+
[[File: 'HOPE'포스터'.jpg|thumb|2008년 미국 대선 당시, 버락 오바마의 당선에 큰역할을 한 오바마 포스터]]
 
파일:귀스타브_모로_오르페우스.jpg|[[오르페우스]](Orphé) - [[1865년]], [[오르세 미술관]]
 
파일:귀스타브_모로_오르페우스.jpg|[[오르페우스]](Orphé) - [[1865년]], [[오르세 미술관]]
 
파일:귀스타브_모로_오이디푸스와_스핑크스.jpg|[[오이디푸스와 스핑크스]](Oedipe et le sphinx) - [[1864년]], [[귀스타브 모로 미술관]]
 
파일:귀스타브_모로_오이디푸스와_스핑크스.jpg|[[오이디푸스와 스핑크스]](Oedipe et le sphinx) - [[1864년]], [[귀스타브 모로 미술관]]

2020년 6월 18일 (목) 23:34 판


셰퍼트 페어리(Shepard Fairey, 1970.2.15. ~)는 1970년 2월 15일에 태어났으며, 미국 현대 길거리 예술가, 그래픽 디자이너, 활동가, 삽화가로 활동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스트리트 아트 아티스트로 손꼽힌다. 전쟁,평화,정치,환경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는 작품으로 유명하다.


생애

셰퍼드 페어리1970년 미국 찰스턴에서 의사인 아버지와 부동산사업가인 어머니의 아들로 태어났다. 미대의 하버드라고 불리는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에게서 미술을 배웠다.졸업 후, 그는 1988년 로드 아일랜드 스쿨에 다니기 위해서 로드 아일랜드로 이사를 했다. 대학에 재학하고 있을 당시인 1989년에 Andre the Giant Has a Posse스티커캠페인을 만들었다. 이 캠페인은 "obeyGiant" 캠페인으로 발전하였다. 1992년 셰퍼드 페어리는 로드아일랜드 스쿨 오브 디자인에서 영화학과를 졸업했다. 그 후 로드 아일랜드의 프로비던스에 Alternate Graphics라는 작은 인쇄 회사를 설립했는데, 이 회사는 페어리에게 자신의 작품을 계속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주었다.

그리고 1994년 프로비던스에서 살면서 미국의 영화 제작자 헬렌 스티클러를 만났다. 헬렌 스티클러도 로드아일랜드스쿨에 다녔고, 셰퍼드 페어리와 같은 학과인 영화학과를 졸업하였다. 그 다음해 봄에 헬렌스티클러와 셰퍼드 페어리는 같이 다큐멘터리를 찍었다. 이 다큐멘터리의 이름은 "Andre the Giant Has A Posse"라는 제목으로 이 다큐멘터리는 1995년 New York Underground Film Festival초연되었으며, 2년 뒤인 1997년에는 Sundance Film Festival에서 상영되었다.

  • 2001년, OBEY를 설립하였다.
  • 2003년, 그의 아내인 아만다 페어리와 함께 스튜디오 넘버원 디자인 에이전시를 설립하였다.



적극성과 인류애

쉐퍼드 페어리는 항상 논란의 여지가 있는 사회적, 정치적 주제에 대해 개방적이었고 이러한 사회적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종종 기부하고 예술 작품을 만들며 이러한 대의에 직접 기여해 왔다.

2000년대 초 셰퍼드 페어리는 치아파스 구호 기금, ACLU과 같은 단체에 기부를 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제 1형 당뇨병 환자인 셰퍼드 페어리는 종종 의학 연구에 도움을 주는 비영리 단체에 기부하고 있으며, 인간 질병에 대한 치료법을 찾는 과정을 가속화하는 비영리 단체인 Give to Cure 의 초기 지지자 중 한 명이다.

이러한활동 등에 참여하며 다양한 기부를 하고 있다.

가장 최근한 활동으로는 2018년 3월에 학교 안전을 지지하는 작품을 만들었으며, 그의 예술 작품이 담긴 포스터가 2018년 3월 24일 워싱턴 DC에서 열린 March for Our Lives에 전시되었다.


지도를 불러오는 중...

작품세계

그의 초기 작품은 낭만주의적 경향이 나타나며, 외젠 들라크루아테오도르 샤세리오의 영향을 받았다.

1850년대 그의 그림 양식으로는 들라크루아샤세리오의 영향을 보였다.

귀스타브 모로의 양식은 1860년대 말에 변화를 보이기 시작했다. 대부분의 작품이 고대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신화와 인물을 주제로 하고 있다. 귀스타브 모로는 의식적으로 신화를 주제로 한 그림에서 인간의 번민과 고통, 이상적인 영웅상 등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면서 상징주의의 선구자가 되었다.

말년에 귀스타브 모로는 주로 유채물감과 수채물감을 사용하여 작은 크기의 작품을 그렸다. 또한 자신의 초기 작품들을 다시 그렸지만, 대부분 완성하지 못했다.


대표작품

개인생애

셰퍼드 페어리는 아내와 딸과 함께 로스앤젤레스로스 펠리즈에서 살고있으며, 제 1형 당뇨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기타(수상내역)

참고 문헌

외부 참고 링크
사이트 이름 링크
1 네이버 지식백과/501 위대한 화가 [1]
2 네이버 지식백과/화가의 세계와 예술세계 [2]
3 위키 백과 [3]

출처

  • 틀 - 귀스타브 모로의 자화상(Degas au porte-fusain), 1855, 네이버 지식백과 [4]
  • 대표작품 - 네이버 지식백과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