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대 아동의 심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회적 영향)
35번째 줄: 35번째 줄:
 
*성적인 자극은 아동에게 다양한 정신적 문제를 유발한다.
 
*성적인 자극은 아동에게 다양한 정신적 문제를 유발한다.
 
*시간에 관련된 이야기나 놀이를 많이 하는 경우가 있다.
 
*시간에 관련된 이야기나 놀이를 많이 하는 경우가 있다.
 +
===영화속에 나타난 징후===
  
 
==사회적 영향==
 
==사회적 영향==
42번째 줄: 43번째 줄:
 
*자신의 표현이 부족하고 자아존중감이 낮다.
 
*자신의 표현이 부족하고 자아존중감이 낮다.
 
*사회생활을 하지 않더라도 인간관계에서 근본적인 신뢰를 형성 하는 경우가 드물게 보인다.
 
*사회생활을 하지 않더라도 인간관계에서 근본적인 신뢰를 형성 하는 경우가 드물게 보인다.
 
==영화속 아동의 심리==
 

2020년 6월 20일 (토) 20:39 판

대상

유아기와 청소년기 사이의 단계로 주로 만 6세부터 만 12세까지의 어린이라고 볼 수 있다.

일반 아동과의 비교

일반아동과 학대를 받은 아동의 심리 차이
일반아동 학대아동
능동적, 자율적 수동적, 순종적
또래와의 원만한 관계 또래와의 관계 기피
우울증 척도 낮음 우울증 척도 높음
호기심이 많음 호기심&탐구심 부족
정서적 안정 정서적 불안
부모-자녀의 관계 잘 유지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부정적
가족내의 부부갈등 드묾 가족내의 부부갈등 잦음
부모의 애착에 긍정적 부모의 애착에 부정적
비행 문제가 뚜렷하지 않음 비행 문제가 뚜렷함

학대의 징후

  • 신체 곳곳에 남은 학대의 상처를 감추고자 두꺼운 옷을 입는 경향이 있다.
  • 교사, 부모 등과 같은 어른들과의 접촉을 회피하려 한다.
  • 극단행동, 과잉행동, 발달자연, 자살시도 등 행동장애를 보인다.
  • 학대 직후에는 집중력이나 기억력의 어려움을 호소한다.
  • 지나치게 예민하고 어른이 아닌 타인에 대한 의심도 함께 증가한다.
  • 히스테리, 강작, 공포 등 정신신경성에 반응한다.
  • 성적인 자극은 아동에게 다양한 정신적 문제를 유발한다.
  • 시간에 관련된 이야기나 놀이를 많이 하는 경우가 있다.

영화속에 나타난 징후

사회적 영향

  • 사회적 규율과 규범에 관심을 가지지 않는 동시에 지키지 않는다.
  • 성인이 되어 사회에 나가 남을 믿지 못하며 긍정적인 반응에 반응하지 않는다.
  • 사회생활을 하면서도 비활동적이고 비사회적이며 일을 하는 부분에서 책임감이 낮다.
  • 자신의 표현이 부족하고 자아존중감이 낮다.
  • 사회생활을 하지 않더라도 인간관계에서 근본적인 신뢰를 형성 하는 경우가 드물게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