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셔널 트러스트 운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onlyinclude>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
 
(내셔널트러스트운동 문서로 넘겨주기)
 
1번째 줄: 1번째 줄:
<onlyinclude>
+
#넘겨주기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내셔널트러스트운동]]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내셔널트러스트운동(National Trust)'''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결성일''' || 1895년
 
|-
 
| style="text-align:center;"|'''목적''' || 자연·문화유산의 확보 및 보전 운동
 
|-
 
| style="text-align:center;"|'''형태''' || 사단법인
 
|-
 
 
 
 
 
|-
 
|}
 
</onlyinclude>
 
 
 
'''내셔널트러스트운동'''
 
=='''개요'''==
 
 
 
각종 개발사업으로 사라져버릴 위기에 처해 있는 [[자연환경]]과 [[문화유산]]을 시민들의 기부금과 증여를 통해 보존대상지를 매입하거나 확보해 보존하는 활동을 하는 단체이다.
 
 
 
=='''이념과 기원'''==
 
 
 
[[내셔널트러스트운동]]은 1895년 [[산업혁명]]을 통해 급격한 경제성장을 이룩했던 [[영국]]에서 시작되었다. 당시 [[영국]]은 무분별한 개발과 [[자연환경]] 파괴, [[문화유산]]의 독점적 소유 등 각종 사회문제가 발생했다. 물질적 풍요가 인간의 존엄과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다는 환상이 점점 사라질 즈음, 시민들 스스로 [[내셔널트러스트운동]]을 탄생시켰다. 1895년 변호사 [[로버트 헌터]](Robert Hunter), 여류 사회 활동가 [[옥타비아 힐]](Octavia Hill), 목사 [[하드윅 론즐리]](Canon Hardwicke Rawnsley) 세 사람에 의해 만들어진 [[영국]] [[내셔널트러스트운동]]의 정식 명칭은 ‘자연이 아름답고 역사적으로 중요한 장소를 보존하기 위한 내셔널트러스트(National Trust for places of Historic Interest and Natural Beauty)’이다.
 
1907년에 제정된 내셔널트러스트 특별법(the National Trust Act)으로 내셔널트러스트 운동을 통해 확보한 [[자연환경]]과 [[문화유산]]은 개인이나 국가의 소유가 아닌 ‘시민의 유산’으로 사회적 소유가 실현될 수 있는 계기를 맞게 된다. 이러한 법으로 인해 [[내셔널트러스트운동]]으로 확보한 시민유산은 ‘영원한 보존(permanent preservation)'이 가능해 질 수 있었다.
 
 
 
=='''한국에서의 내셔널트러스트운동'''==
 
 
 
[[한국]]에서는 90년대 초반, 지역에서 특정 자연·문화유산을 보존을 위해 시민의 성금을 모금하는 형태로 초기의 [[내셔널트러스트운동]]이 이루어졌다. 본격적으로 [[한국]]사회에서 [[내셔널트러스트운동]]을 모색하게 된 시기는 90년 중반 ‘[[그린벨트]] 해제 반대운동’을 계기로 시작이 된다. 정부의 제도적 보존장치인 [[그린벨트]]가 훼손됨에 따라 기존 [[그린벨트]] 지역 소유자들이 사유재산을 보장하면서 녹지공간을 보존할 수 있는 새로운 시민운동을 찾던 중 ‘[[내셔널트러스트 운동]’이 제기되었다.
 
한국 [[내셔널트러스트운동]]의 출범이후, 미래세대를 위해 자연·문화유산을 영구 보존할 수 있도록 시민들의 자발적인 모금·기부·증여를 등의 활동과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내셔널트러스트 법’ 제정활동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노력으로 ‘[[최순우 옛집]]’(2002), ‘[[나주 도래마을 옛집]]’(2006), ‘[[권진규 아틀리에]]’(2006) 등을 확보하여 시민유산으로 보존·관리하고 있다.
 
한국 [[내셔널트러스트운동은]] 자연·문화유산 확보 사업과 올바른 내셔널트러스트법 제정활동 이외에 전국 각 지역에서 [[내셔널트러스트운동]]을 진행하고 있는 단체와의 네트워크 사업 및 업무지원과 다양한 시민참여 등으로 역사 인물들이 남긴 삶을 흔적을 살려내는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확보 자산'''===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자산 명칭 || 소재지 || 확보일 || 확보 사유
 
|-
 
|[[강화 매화마름 군락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초지리 || 2002년 || 멸종위기식물 매화마름의 서식지
 
|-
 
|[[최순우 옛집]]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2동 || 2002년 || 미술사학자 [[최순우]]의 거주지
 
|-
 
|[[나주 도래마을 옛집]] ||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 풍산리 || 2006년 || 전통 한옥 마을 보전
 
|-
 
|[[권진규 아틀리에]] ||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선동 || 2006년 || 조각가 [[권진규]]의 작업실
 
|-
 
|[[연천 DMZ 일원 임야]] || [[경기도]] 연천군 중면 적거리 || 2007년 || [[DMZ]] 일원의 생태적 요충지
 
|-
 
|[[원흥이 방죽 두꺼비 서식지]]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산남동 205 || 2009년 || 대표적 [[두꺼비]]의 집단서식지
 
|-
 
|[[내성천 범람원]] || [[경상도]] 예천군 개포면 신음리 463 || 2012년 || 습지 복원 및 하천-산림생태계 연결
 
|}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 4가 72-4 우리빌딩 4층
 
{{
 
#display_map:
 
Seoul City;
 
37.582351,127.000493
 
|service=googlemaps3
 
|width=400
 
|height=400
 
|type=normal
 
|overlays=videos-1,wikipedia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zoom=17
 
}}
 
 
 
 
 
==='''웹사이트'''===
 
 
 
[https://nationaltrust.or.kr/ 한국내셔널트러스트운동]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주어(S)]] || [[목적어(O)]] || A는 B를 ~하다(P) ||
 
|-
 
|}
 
 
 
 
 
=='''참고문헌'''==
 
 
 
[https://nationaltrust.or.kr/ 한국내셔널트러스트운동]
 
 
 
[https://ko.wikipedia.org/wiki/%ED%95%9C%EA%B5%AD%EB%82%B4%EC%85%94%EB%84%90%ED%8A%B8%EB%9F%AC%EC%8A%A4%ED%8A%B8 한국내셔널트러스트운동 위키백과]
 
 
 
=='''작성자 및 기여자'''==
 
 
 
[[분류:내셔널트러스트운동]][[분류:디지털휴머니티의 이해]][[분류:동물농장]][[분류:강은진]][[분류:공보찬]][[분류:박유진]][[분류:신동혁]][[분류:유시연]][[분류:정지원2]]
 

2018년 6월 12일 (화) 00:16 기준 최신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