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끝 여자친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onlyinclude>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
 
8번째 줄: 8번째 줄: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제목''' || 세계의 끝 여자친구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제목''' || 세계의 끝 여자친구
 
|-  
 
|-  
| style="text-align:center;"|'''저자''' || 김연수
+
| style="text-align:center;"|'''저자''' || [[김연수]]
 
|-  
 
|-  
 
| style="text-align:center;"|'''출판사''' || 문학동네
 
| style="text-align:center;"|'''출판사''' || 문학동네
 
|-  
 
|-  
 
| style="text-align:center;"|'''출판일자''' || 2009년 9월 8일
 
| style="text-align:center;"|'''출판일자''' || 2009년 9월 8일
 +
|-
 +
| style="text-align:center;"|'''유형''' || [[단편 소설집]]
 
|-  
 
|-  
 
| style="text-align:center;"|'''쪽수''' || 320p
 
| style="text-align:center;"|'''쪽수''' || 320p
26번째 줄: 28번째 줄:
  
 
   “누군가를 사랑하는 한, 우리는 노력해야만 한다.”
 
   “누군가를 사랑하는 한, 우리는 노력해야만 한다.”
   나는 다른 사람을 이해한다는 일이 가능하다는 것에 회의적이다. 우리는 대부분 다른 사람들을 오해한다. 네 마음을 내가 알아, 라고 말해서는 안 된다. 그보다는 네가 하는 말의 뜻도 모른다, 라고 해야 한다. 내가 희망을 느끼는 건 인간의 이런 한계를 발견할 때이다. 우린 노력하지 않는 한, 서로를 이해하지 못한다. 이런 세상에 사랑이라는 게 존재한다. 따라서 누군가를 사랑하는 한, 우리는 노력해야만 한다. 그리고 다른 사람을 위해 노력하는 이 행위 자체가 우리의 인생을 살아볼 만한 값어치가 있는 것으로 만든다. 그러므로 쉽게 위로하지 않는 대신에 쉽게 절망하지 않는 것, 그게 핵심이다.  - 김연수
+
   나는 다른 사람을 이해한다는 일이 가능하다는 것에 회의적이다. 우리는 대부분 다른 사람들을 오해한다. 네 마음을 내가 알아, 라고 말해서는 안 된다. 그보다는 네가 하는 말의 뜻도 모른다, 라고 해야 한다. 내가 희망을 느끼는 건 인간의 이런 한계를 발견할 때이다. 우린 노력하지 않는 한, 서로를 이해하지 못한다. 이런 세상에 사랑이라는 게 존재한다. 따라서 누군가를 사랑하는 한, 우리는 노력해야만 한다. 그리고 다른 사람을 위해 노력하는 이 행위 자체가 우리의 인생을 살아볼 만한 값어치가 있는 것으로 만든다. 그러므로 쉽게 위로하지 않는 대신에 쉽게 절망하지 않는 것, 그게 핵심이다.   
 +
  - 김연수
  
 
<케이케이의 이름을 불러봤어>는 작가대회에 참석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한 50대 미국 여성 작가가 13년전 미국에서 숨진 17세 연하의 한국인 연인 ‘케이케이’의 흔적을 찾아나서는 이야기이다.
 
<케이케이의 이름을 불러봤어>는 작가대회에 참석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한 50대 미국 여성 작가가 13년전 미국에서 숨진 17세 연하의 한국인 연인 ‘케이케이’의 흔적을 찾아나서는 이야기이다.
80번째 줄: 83번째 줄:
 
==온톨로지 그래프==
 
==온톨로지 그래프==
 
[[파일:세끝여구그래프.png]]
 
[[파일:세끝여구그래프.png]]
 +
 +
[[분류:2009년 작품]] [[분류:단편 소설집]] [[분류:김연수]]

2020년 6월 21일 (일) 20:24 판


개요

작가 김연수가 2009년 집필한 네 번째 소설집. 2005년 봄부터 2009년 여름까지 쓴 단편 소설 9가지를 엮었다.

작 중 수록된 <달로 간 코미디언>은 2007년 제7회 황순원문학상을 수상하였다.

내용

 “누군가를 사랑하는 한, 우리는 노력해야만 한다.”
 나는 다른 사람을 이해한다는 일이 가능하다는 것에 회의적이다. 우리는 대부분 다른 사람들을 오해한다. 네 마음을 내가 알아, 라고 말해서는 안 된다. 그보다는 네가 하는 말의 뜻도 모른다, 라고 해야 한다. 내가 희망을 느끼는 건 인간의 이런 한계를 발견할 때이다. 우린 노력하지 않는 한, 서로를 이해하지 못한다. 이런 세상에 사랑이라는 게 존재한다. 따라서 누군가를 사랑하는 한, 우리는 노력해야만 한다. 그리고 다른 사람을 위해 노력하는 이 행위 자체가 우리의 인생을 살아볼 만한 값어치가 있는 것으로 만든다. 그러므로 쉽게 위로하지 않는 대신에 쉽게 절망하지 않는 것, 그게 핵심이다.  
 - 김연수

<케이케이의 이름을 불러봤어>는 작가대회에 참석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한 50대 미국 여성 작가가 13년전 미국에서 숨진 17세 연하의 한국인 연인 ‘케이케이’의 흔적을 찾아나서는 이야기이다.

<내겐 휴가가 필요해>는 80년대 군사정부 시절 고문으로 학생을 숨지게 한 대공담당 형사의 비극을 그린 작품이다.

<모두에게 복된 새해 - 레이먼드 카버에게>는 영어가 능숙하지 못한 여성과 한국어가 서툰 인도인 사트비르 싱이 외로움 때문에 친구가 된 이야기이다.

이 단편 소설집의 표제작이기도 한 <세계의 끝 여자친구>는 암으로 연인을 떠나보낸 시인의 사연을 담고 있다.

<달로 간 코미디언>은 방송사 PD인 딸이 미국에서 객사한 코미디언 아버지의 행적을 찾아나서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목차

케이케이의 이름을 불러봤어

기억할 만한 지나침

세계의 끝 여자친구

당신들 모두 서른 살이 됐을 때

모두에게 복된 새해―레이먼드 카버에게

내겐 휴가가 필요해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

웃는 듯 우는 듯, 알렉스, 알렉스

달로 간 코미디언

해설|신형철 "모든슬픔은,그것을 이야기로 만들거나 그것들에 관해 이갸리를 할 수 있다면, 견뎌질 수 있다."


작가의 말

RDF

Domain(A) Range(B) Relation 설명
세계의 끝 여자친구 김연수 created A는 B에게 집필되었다
세계의 끝 여자친구 2007 publishedIn A는 B에 출판되었다
세계의 끝 여자친구 문학동네 publishedBy A는 B에게 출판되었다
세계의 끝 여자친구 소설집 isType A는 B의 유형이다
세계의 끝 여자친구 황순원문학상 award A는 B를 수상하였다.

온톨로지 그래프

세끝여구그래프.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