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경북도 성진군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홍정인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5월 11일 (수) 12:18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함경북도 남단 동해안에 위치

1898년에 길주군의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신설했던 군

성호와 동해바다의 나루가 있는 군이므로 성진군이라 하였는데, 1943년 학성군으로 개칭되었고 1951년 학성군이 김책군으로 개칭되었으며 1961년 12월 김책군이 김책시에 편입, 통합

자연 환경

소규모의 성진평야가 전개되어 있고, 시의 동부 동해안은 성진만을 형성하며, 서부는 마천령산맥의 영향이 미치는 낮은 산지이다. 이 시는 학두산(鶴頭山)을 진산(鎭山)으로 하며, 시가의 중심부를 한천천(漢泉川)이 동류하면서 시를 남북으로 나누고, 시의 북쪽에는 쌍포천(雙浦川)이 시계를 이루면서 동류하여 동해로 흘러 들어간다. 성진항은 남쪽의 청학반도(靑鶴半島)와 북쪽의 유진단(楡津端)이라는 육계도인 교구반도(交龜半島)의 사이에 있어 간만의 차와 풍파가 적고 수심이 깊으며 겨울에는 얼지 않는 천연의 양항이다. 기후는 해안에 있으므로 비교적 온난하다. 연평균 기온 8℃, 1월 평균 기온 -6℃, 8월 평균 기온 22℃이며, 연 강수량은 696㎜이다.

유물, 유적

근대 이전에는 한적한 어촌이었던 이 지역에는 특별한 유적이 없다. 다만 온고성(溫古城)이라 칭하는 너비 2m, 길이 666m의 토성지가 과거의 성진심상고등학교 소유인 임야에 남아 있었다.또한, 1614년에 축성하였다는 석성의 일부가 남아 있는데, 이 성곽은 과거 성진진에 속한 성지였다고 한다. 성진진의 외성으로는 성진진의 뒷산 산정에 좌우로 나뉘어 540m씩 석축이 남아 있을 뿐이다.

산업, 교통

이 지역은 관북 지방의 주요 항구도시로서, 1930년대 일본의 중국 동북 지방 개발에 따라 대륙과 일본 간의 물자 반출입 및 중화학공업 지역으로 급격히 발전하였다. 농산물은 쌀을 비롯하여 보리·콩 등을 생산한다.근해에서는 명태·대구·정어리·고등어·방어·가자미·낙지 등의 어획이 많으며, 통조림·어유 등 수산 가공업도 활발하다. 광업으로 인상흑연·마그네사이트·고령토·석탄 등이 산출된다.공업은 배후지의 광산 개발과 더불어 풍부한 전력을 이용한 고주파 제강 공장, 마그네사이트·내화벽돌 공장, 몰리브덴·텅스텐 등의 금속·제련·제재 및 유지 화학을 비롯한 중화학공업이 발전하였다.1928년 함경선이 개통되고 개마고원의 개발을 위한 혜산선이 개통됨에 따라 길주·명천·무산·단천·이원·북청·풍산·갑산군 등이 성진의 상권에 포함되면서 성진은 이들 지역에서 생산되는 콩·한우·목재의 대일본 수출항으로 기능하였다.그러나 나진·청진이 점차 교역항으로 발전하자 성진은 무역항으로서의 구실보다는 중화학공업 제품과 수산물의 수송항으로 변모하였다. 따라서 지난날의 융성하였던 우시장이나 곡물 시장은 자취를 감추고 매일장인 성진공설시장이 형성되었다.이곳에서는 곡류·야채·신탄·일용 잡화와 생선·염어·건어·곤포류 등의 각종 도산매가 성황을 이루며, 인근 학성군 내의 산간지대에서 송이·산채·약재 등 임산 부산물이 집하되기도 한다.교통은 서울과 웅기를 잇는 국도가 마천령을 지나 성진에 이른 뒤 길주로 이어지며, 함흥과 경성을 잇는 함경선 철도가 시의 중앙을 남북으로 관통하여 길주에서 혜산선과 연결된다. 해운은 성진에서 단천·청진 및 일본 서안으로 통하는 항로가 있다. 그리고 시의 동쪽 청학반도에는 청학공원이 있어 찾는 사람이 많다.청학반도는 동해에 돌출한 작은 반도의 형상이 학과 같다 하여 청학단(靑鶴端)이라고도 한다. 이곳은 노송이 울창하고 노송 사이사이에 벚나무가 우거져 동해의 푸른 바다와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는 명승지이다.공원 한쪽 높은 절벽 위에는 망양정(望洋亭)이 있고, 그 옆에 소나무가 서 있다. 함북팔경의 하나로 손꼽히는 공원으로 석기 시대의 유적 산채(山寨)와 많은 유물을 포함하는 지층이 분포되어 있으며, 러일전쟁 당시의 포대가 있다.광복 후 변천1951년 12월성진시와 학성군이 김책군으로 바뀌었으며, 1961년 12월김책군이 김책시로 되어 종전의 학성군까지 김책시로 편입되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성진시(城津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