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 뉴스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김소리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11월 28일 (수) 18:10 판 (새 문서: ==정의== 뉴스의 형태를 띠고 있지만 사실이 아닌 거짓 뉴스를 의미하며, 인터넷과 사회관계망 서비스가 확산 되면서 언론사가 아닌 개인...)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뉴스의 형태를 띠고 있지만 사실이 아닌 거짓 뉴스를 의미하며, 인터넷과 사회관계망 서비스가 확산 되면서 언론사가 아닌 개인들이 사실이 아닌 내용을 진짜 뉴스처럼 퍼프리는 사태가 많이 일어나면서 가짜뉴스가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유형

Claire Wardle of First Draft News는 일곱 가지 유형의 가짜 뉴스를 식별한다.

풍자 또는 패러디 ("해를 끼칠 의도는 없지만 해를 끼칠 가능성이 있다") 잘못된 연결 ('헤드라인이 본문, 시각자료와 연결되지 않음') 오해의 소지가 있는 내용 ("문제 또는 개인을 구성하기 위한 정보의 오도된 사용") 허위 콘텐츠 ("진짜 콘텐츠가 허위 콘텐츠 정보와 공유되는 경우") 사기 콘텐츠 ("진짜 소스가 가장 된 경우 가짜 소스") 교묘한 콘텐츠 (교묘한 사진과 같이 "진짜 정보 또는 이미지가 속이기 위해 조작된 경우") 조작된 컨텐츠 ("새 컨텐츠는 100 % 거짓이며, 속이고 해를 입히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사례

식별 방법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