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상감국화모란당초문 모자합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한성현(2211172)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1월 16일 (수) 06:45 판 (기본 정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청자 상감국화모란당초문 모자합(수정).jpg




















기본 정보

지정유형 보물
종류 유물/공예
시대 고려시대
비고 12세기 제작
소재지 성북동
지정일 1963.1.21
시기 미상
소유(관리) 간송미술관
수량/면적 외합1세트, 내합5세트
  • 소재지
지도를 불러오는 중...

작품 소개

청자 상감국화모란당초문 모자합(靑磁 象嵌菊花牡丹唐草文 母子盒)은 간송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도자 공예품이자 청자 그릇으로, 바깥쪽의 큰 그릇인 모합(母盒)과 그 안에 들어가는 작은 그릇인 자합(子盒) 5개로 이루어져 있다. 자합은 1개의 국화형 자합과 4개의 송엽형 자합으로 나눠진다.

작품 설명

  • 크기: 모합은 높이 8.4cm, 지름 18.8cm, 국형자합은 높이 3.1cm, 지름 7.9cm이다. 송엽형자합은 높이 3.0cm, 길이 7.8cm이다. 이 중 가장 큰 크기의 모합은 사진보다 꽤 큰 크기이다.
  • 용도: 화장품을 넣어 두는 그릇으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 특징: 정연한 구성 안에 다양하고 변화 있는 문양 표현이 모색되어 있고, 부인 용기에 걸맞은 아기자기하고 섬세한 면모가 엿보인다.
  • 비슷한 작품: 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 유천리 청자 가마터에서 나오는 파편에서 이와 비슷한 작품을 볼 수 있다.


기타

  • 비슷한 작품: 청자 상감국화모란당초문 모자합과 비슷한 작품으로는 청자상감운학문모자합(靑磁象嵌雲鶴文母子盒)이 있다. 청자상감문학문모자합은 전형적인 모자합이다. 모합의 뚜껑에 운학문을 정교하게 새겨넣었고, 자합 역시 학문(鶴紋 으로 앙증맞게 표현됐다. 합의 안쪽 면엔 백상감으로 모란문어문을 새겨 부귀와 다산의 마음을 담았다.
국적 한국
시대 고려시대
출토지 경기도-개성 부근
재질 도자기-청자
크기 높이 7.5cm, 지름 12.3cm
분류 주생활-생활용품/ 가전-화장구-분합
소장기관 국립중앙박물관

청자상감운학문모자합.jpg

작성자

한성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