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의 종류-유화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금다빈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6월 19일 (수) 13:22 판 (유래)
이동: 둘러보기, 검색

유래

유화가 15세기 초반 반 아이크van Eyck에 의해 발명되었다고 하는 바자리Giorgio Vasari(1511~1574)의 주장은 잘 알려져 있지만, 유화의 기원은 분명하지 않다. 반 아이크는 햇빛에 쬐지 않고서도 마르는 바니시를 연구하는 동안 린시드유와 호도유에서 이러한 성징을 발견하였다. 반 아이크는 이러한 기름을 색소에 대한 매재로 사용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러한 기름이 이보다 훨씬 이전인 중세에 이미 사용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어쨌든 반 아이크가 보다 나은 유연성, 보다 풍부한 색조, 보다 범위가 확장된 명암을 유럽 회화로 유입하면서 유화의 기법상 하나의 혁명을 실현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1]

유화구의 사용은 오랜 옛날부터 있었으며, 11~12세기 독일 수도사 데오필츠의 『Diversarum artium schedula(諸技藝提要)』와 14세기 이탈리아 화가 첸니노 첸니니의 『Illibro dell’arte(그림기법의 서[書])』에도 유화기법에 관한 기술(記述)이 있다. 그러나 15세기 플랑드르에서 묘화용(描畫用) 재료로서 대폭적인 기술적 개량을 한 다음 반 아이크 형제가 그것으로 높은 기술적 수준을 실행한 이후, 이탈리아를 비롯해 서구 각지로 전파되어 종래 성행하던 템페라 화와 대치되었다. 15세기 플랑드르의 투명한 유채기법은 템페라 화에 사용되던 화재(畫材)와 기법의 연장상에 성립시킨 것이라 하겠으나 16세기 이탈리아의 베네치아파에서, 화구를 두텁게 칠하는 것과(厚塗), 필촉(筆觸)의 효과 등 근대적인 기법과 연유되는 유화 독특의 표현법이 일어났다.

[네이버 지식백과] 유화 [油畫, oil painting, peinture à l'huile] (미술대사전(용어편), 1998.,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특징

장단점

유화가 사용된 유명 작품들

출처

  1. [네이버 지식백과] 유화 [油畵, oil painting, peinture á l’huile] (세계미술용어사전, 1999., 월간미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