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콘텐츠 산업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나겸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6월 24일 (수) 14:44 판 (드라마)
이동: 둘러보기, 검색

1. 콘텐츠의 현황

해외진출

리메이크

관련 관광지

  • 한류체험

쿠킹.PNG

[한류드라마 속 K-food 쿠킹클래스]

외국인 관광객에게 인기 드라마, 예능프로그램에서 보았던 한국음식을 직접 만들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관광지.PNG

[서울의 드라마 촬영지]

한국 드라마에는 특유의 느낌을 가지고 있다. 드라마가 제작되었던 현장을 찾아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그 장면을 되새겨 볼 수 있다. 아기자기한 서촌 골목부터 멋진 경치의 인왕산이나 동대문디자인플라자까지, 드라마 팬이 가볼 곳은 많다.

지도를 불러오는 중...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2. 해외진출

K-POP

드라마

우리나라에서 사랑받은 드라마가 해외로 진출하게 되면서 중국, 베트남 등의 나라에서 큰 사랑을 받고 있다. 그러한 자료들은 방송통신위원회, 라코이 등에서 확인해볼 수 있다. 드라마에 대한 영상 자료, 뉴스, 네티즌 반응 등이 해외 진출을 진행하면서 증가하고 있다.

아스달.jpg

드라마 해외반응
프로그램명 방송사 뉴스건수 영상조회수 동영상건수
아스달연대기 TVN 34 2,824,119 84

웹툰

과거 출판만화에서 웹툰으로 만화 시장의 중심축이 옮겨가면서 대한민국의 한류 산업에 큰 공헌을 하게 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충분히 가져볼 수 있는 웹툰은 한국의 문화 산업계에서도 성장 규모가 점점 거대해지고 있고 미디어믹스와 파생상품도 늘어나는 추세를 타며 해외까지 진출하고 있는 상황이다.

플랫폼

  • 라인웹툰

라인웹툰.png 라인웹툰1.png

네이버의 글로벌 웹툰 플랫폼으로 최근 몇년 간 글로벌 확장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일본,대만,인도네시아 등에서 성공을 거둔 시점에서 현재 미국 등 북미 시장에서도 성공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 라인망가

라인망가.jpg

네이버가 2013년 일본에 선보인 플랫폼이며 해외 시장 선점에 성공해 현재 일본 디지털 만화 업계 1위를 달리고 있다.

  • 카카오페이지 글로벌

카카오.jpg 카카오페이지.jpg

2018년 12월 인도네시아 1위 웹툰 플랫폼인 웹코믹스를 인수해 카카오페이지 글로벌로 이름을 바꿨고 이를 통해 올해 내에 다른 아시아 지역으로 서비스 확장을 준비하고 있다. 미국 시장엔 현지 웹툰 플랫폼 타파스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간접 진출한 상황이다.

  • 픽코마

픽코마.png

카카오의 일본 법인 카카오재팬이 만든 웹툰 플랫폼이다. 기다리면 무료라는 색다른 유료화 모델을 들고 나오며 출시 2년 만에 일본 웹툰 플랫폼 시장 2위를 달성했다. 이 성장세를 기반으로 2020년 일본 주식시장 상장을 준비 중이다.

영화

3. 리메이크

리메이크의 사전적 정의는 이미 발표된 작품을 다시 만드는 것. 부분적인 수정을 가하지만 대체로 원작의 의도를 충실히 따르는 것을 말한다. 한류의 콘텐츠 산업이 인기를 끌게 되면서 웹툰이 드라마화가 된다던지, 영화화가 된다던지 각 분야에서 서로 리메이크를 하여 한류 콘텐츠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웹툰을 드라마로 리메이크하면서 드라마의 최고 시청률이 상당히 높았고 원작을 더 널리 알리게 되는 계기가 되었고 한류 콘텐츠를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웹툰의 드라마화

  • 미생

미생 페이지 미생드라마.png => 미생웹툰.png

드라마 정보
방송사 최고시청률 PD 작가 등장인물
TVN 8.2% 김원석 정윤정 임시완,강소라,강하늘
  • 이태원 클라쓰

이태원 클라쓰 페이지 이클드라마.jpg => 이클웹툰.png

드라마 정보
방송사 최고시청률 PD 작가 등장인물
JTBC 16.5% 김성윤,강민구 광진 박서준,김다미,유재명
  • 김비서가 왜그럴까

김비서가 왜그럴까 페이지 김비서드라.jpg => 김비서웹.jpg

드라마 정보
방송사 최고시청률 PD 작가 등장인물
TVN 8.7% 박준화 백선우,최보림 박서준,박민영,이태환
  • 동네변호사 조들호

동네변호사 조들호 페이지 조들호드.jpg => 조들호웹.jpg

드라마 정보
방송사 최고시청률 PD 작가 등장인물
KBS2 17.3% 이정섭,이은진 이향희 박신양,강소라
  • 좋아하면 울리는

좋아하면 울리는 페이지 좋알드.jpg => 좋알람.png

드라마 정보
방송사 최고시청률 PD 작가 등장인물
NETFLIX / 이나정 이아연,서보라 김소현,정가람,송강,고민시

드라마의 웹툰화

  • 에이틴

에이틴 페이지 에이틴드.jpeg => 에이틴웹.png

드라마 정보
방송사 제작사 제작진 작가 등장인물
V LIVE,네이버TV,유튜브,페이스북 플레이리스트 송주성,한수지,이윤재 김사라 이나은,신예은,김동희,김수현 등
  • 또 한번 엔딩

또 한번 엔딩 페이지 또엔딩드.jpg => 또엔딩웹.jpg

드라마 정보
방송사 제작사 제작진 작가 등장인물
유튜브,시리즈온,페이스북,인스타그램,MBC드라마넷 플레이리스트 양소영,박태원,박단희,최빛나 정수윤 조수민,강희,김건원,김민아,최희진,정건주,김민종,유재필

웹툰의 영화화

  • 신과함께

신과함께 페이지 신함웹툰.jpg => 신과함께.jpg

영화 정보
개봉일 장르 감독 관객수 평점
2018.08.01 판타지 김용화 1,227만명 8.63
  • 은밀하게 위대하게

은밀하게 위대하게 페이지 은위.jpg

영화 정보
개봉일 장르 감독 관객수 평점
2013.06.05 액션,드라마,코미디 장철수 695만명 7.12
  • 내부자들

내부자들 페이지 내부자.jpg => 내부자들.jpg

영화 정보
개봉일 장르 감독 관객수 평점
2015.11.19 범죄,드라마 우민호 707만명 9.06

외국으로의 리메이크

최근 한국의 콘텐츠들이 다양한 시상식에서의 수상으로 화제가 되고 있고, 흥미있는 소재로 구성된 다양한 콘텐츠들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관심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한류 콘텐츠가 점차 성공함에 따라 외국에서 한국에서 제작된 작품의 판권을 매입하여 리메이크 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 굿닥터

굿닥터.jpg

  • 시그널

시그널.jpg

  • 싸인

싸인.jpg

4. 긍정적인 측면

최근 드라마, K-pop에서 시작된 한류가 SNS 등 디지털 미디어 매체를 타고 아시아를 넘어 유럽, 중남미 등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한류가 미친 긍정적 영향은 크게 경제적 성장국가 브랜드 제고라고 나누어 볼 수 있다.

경제적 성장

직접적으로는 드라마, 음악 등 우리 문화콘텐츠의 수출 증가를 들 수 있다.

  • 방송콘텐츠 수출: '08년 1억 7,134만 달러 → '10년 2억 2,863만 달러(33.4% 증가)
  • 음악콘텐츠 수출: '08년 1,646만 달러 → '10년 8,326만 달러(405% 증가)

아울러 일본, 중국 등 한류 성숙 지역으로부터 관광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한류 콘텐츠를 한국 관광 홍보와 마케팅에 적절히 활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 일본 '08년 2,378천명 → '11년 3,289천명(38.3% 증가)
  • 중국 '08년 1,168천명 → '11년 2,220천명(90% 증가)
  • 홍콩 '08년 160천명 → '11년 281천명(75.6.% 증가)

또한 한류는 문화, 관광 등 직접적 연관 산업 외에도 식품, IT, 자동차, 의류 등 제조업 전반에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산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2012년 한류의 경제적 파급 효과 예상: 12조원


국가 브랜드 제고

더 나아가 한류는 국가 브랜드 제고에도 기여하고 있다. 급속한 경제발전 성과가 부각된 한국의 이미지에 문화와 스타일이 더하여져 국가 브랜드가 향상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 대한 세계인의 인식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2018년 문화체육관광부와 해외문화홍보원에서 실시한 조사. 우리나라를 포함한 16개국을 대상으로, 2017년 10월11일~29일까지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진행됐다.

영향요인.PNG

조사 결과에 따르면, 외국인들이 우리나라에 대해 가장 많이 접할 수 있는 분야는 한류, 기초예술 등 ‘현대문화(36.2%)’이며,

이어서 ‘경제(18.1%)’, ‘안보(17.8%)’, ‘문화유산(10.7%)’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아시아와 미주는 ‘현대문화’, 유럽과 아프리카는 ‘안보’,

인도와 러시아는 ‘경제’에 대한 정보를 가장 많이 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들은 우리나라의 대표 이미지로 ‘한식(40%)’을 가장 많이 떠올렸다. 이어서 케이팝(22.8%), 한국문화(19.1%), 케이-뷰티(14.2%) 등으로 조사되었다.

전반적으로 한류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핵심어인 것으로 보인다.

국가이미지.PNG

국가별 분석에 따르면, 동남아(인도네시아, 태국), 중남미(브라질, 멕시코), 러시아가 대한민국 이미지를 가장 긍정적으로 평가(긍정 90% 이상)했으며,

서구권(프랑스, 독일, 호주, 미국, 영국) 국가의 긍정적 평가 비율도 높았다.


콘텐츠 리메이크의 긍정적 영향

대게 흥행했던 콘텐츠를 원작으로 하여 또 하나의 콘텐츠가 새롭게 만들어진다. 원작에 대한 부담감도 있지만, 공개 전부터 사람들의 관심을 받을 수 있는 후광효과가 존재한다. 웹툰 원작으로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던 ‘신과 함께’는 2017년 영화로 제작되며 개봉 전부터 많은 화제를 모았고, 개봉 후 천만 관객 돌파에 성공했다. 이후 큰 호응을 얻고, 신과 함께2까지 제작되는 등 원작 리메이크의 빛을 본 콘텐츠 중 하나이다, 콘텐츠 리메이크에는 웹툰의 드라마화, 영화화와 드라마를 영화로, 영화를 드라마로 리메이크하는 여러 다양한 경우가 있다. 각 콘텐츠는 원작을 기반에 두고 재창조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창작물로 시청자에게 다가간다. 관객들은 원작에 대한 좋은 감정을 바탕으로 리메이크작을 기대하게 된다.

드라마 왕이된남자.PNG 영화광해.PNG

드라마 ‘왕이 된 남자’(여진구 주연)가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를 리메이크하면서 호평을 받은 것도, 원작과는 전혀 다른 시대적 배경과 감성을 내세워 영화가 남긴 정서를 해치지 않은 차별화한 전략 덕분이었다. 한 드라마 제작사 관계자는 “리메이크의 성공 여부는 원작의 정서를 얼마만큼 새롭게 변형하는지에 달려다.”고 말했다.

5. 부정적인 측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