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밀꽃 필 무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문서를 비움)
1번째 줄: 1번째 줄:
  
<onlyinclude>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메밀꽃필 무렵'''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메밀꽃 필 무렵.gif]]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작품명''' || [[메밀꽃 필 무렵]]
 
|-
 
| style="text-align:center;"|'''저자''' || [[이효석]]
 
|-
 
| style="text-align:center;"|'''창작년도''' || 1936
 
|-
 
|}
 
</onlyinclude>
 
 
 
'''메밀꽃 필 무렵'''
 
 
==개요==
 
 
이효석이 지은 단편소설
 
1936년 『조광(朝光)』 10월호에 발표되었고, 1941년 5월 박문문고(博文文庫)에서 간행한 『이효석단편선(李孝石短篇選)』에 수록되었다.
 
 
==등장인물==
 
 
*허생원
 
*동이
 
*조선달
 
*성서방네 처녀
 
 
 
==줄거리==
 
 
장돌뱅이 허 생원은 친구 조 선달과 함께 다닌다.
 
 
허 생원은 얼금뱅이에 왼손잡이라 여자와는 거리가 멀었고, 나귀를 평생 벗삼아 살았다.
 
 
어느 여름날 허 생원은 봉평 장에서 장사를 마치고 주막 충줏집에서 술을 마시는데, 젊은 장돌뱅이 동이가 충줏집과 농탕치는 것을 보고는 화가 치밀어 동이를 때린다.
 
 
그날 밤, 허 생원과 조 선달, 동이는 대화 장으로 이동하기 위해 산길을 걷는다.
 
 
길은 메밀꽃이 주위에 피어서 한 줄로 지나가야만 했기에, 조 선달이 허 생원을 앞세우고 동이는 뒤로 쳐져서 따라왔다.
 
 
허 생원은 젊었을 적에 물레방앗간에서 처녀를 딱 하루 만나 하룻밤을 보내지만 제천으로 돌아가 만나지못했다는 이야기를 조 선달에게 하지만, 동이는 이 이야기를 듣지 못한다.
 
 
허생원은 피곤함에 발을 헛디뎌 강물에 빠지고 만다.
 
 
동이는 그런 허생원을 건져 올린 후 업어준다. 동이는 봉평이 고향이며 제천에서 달이 채 차지 못하고 자신을 낳고 쫓겨난 어머니 이야기를 둘에게 한다.
 
 
허생원은 예정을 바꾸어 대화장이 끝나면 동이의 어머니가 산다는 제천으로 가기로 결정한다.
 
 
허 생원은 혈육의 정을 느끼며 동이를 바라보던 동이가 왼손에 채찍을 쥔 것을 보면서 소설은 끝난다.
 
 
 
==상세==
 
 
자연과 향토성에 대한 탐구에 몰입하기 시작 후 그 절정에 이른 시기의 작품으로 한국문학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꼽히고 있다.
 
 
나귀와 허생원을 동일 시하는 부분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인간과 자연의 합일이라는 이효석의 세계관을 보여준다.
 
 
아름다운 배경, 자연 묘사로 환상적인 분위기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영화==
 
[[파일:메밀꽃영화.png]]
 
 
1967년 12월 15일에 개봉
 
 
박노식, 김지미, 김희갑. 허장강, 도금봉 출연작
 
 
제11회 부일영화상 남우주연상(박노식 1), 제2회 남도영화제 작품상, 남우주연상(박노식 1), 여우주연상(김지미) 수상, 제29회 베니스국제영화제 출품.
 
 
 
==뮤지컬==
 
[[파일:메밀꽃뮤지컬.gif]]
 
 
2019년 04월 20일에 강릉아트센터 사임당홀에서 극을 올림
 
 
강원도립극단에서 제작
 
 
안덕용, 서재필, 이지연 출연작
 
 
 
==애니메이션==
 
[[파일:메밀꽃애니.gif]]
 
 
근현대문학 <메밀꽃 필 무렵>, <운수 좋은 날>, <봄봄>을 원작으로 2014년에 제작
 
 
상영시간은 90분 중 첫에피소드로 25분동안 메밀꽃 필 무렵이 상영
 
 
작품은 각색보다는 원작을 최대한 살린 스토리로 짜였으며 글로 표현된 배경이나 감정을 아름다운 영상으로 선보인다.
 
 
 
==메밀꽃 질 무렵==
 
[[파일:메밀꽃질무렵.gif]]
 
 
2018년 09월 10일에 출판사’단비’에서 출판
 
 
김도연, 김별아, 반문구, 심봉순, 윤혜숙, 이순원 저자
 
 
한국 소설의 백미, ‘시로 쓴 소설’이라는 칭호가 걸맞는 이효석의 대표작 [메밀꽃 필 무렵]이 강원도 출신 작가들 여섯 명의 펜을 통해 그 뒷 이야기를 저술하였다.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메밀꽃 필 무렵]] || [[이효석]] || A는 B가 썼다 ||
 
|-
 
| [[메밀꽃 필 무렵]] || [[1936]] || A는 B에 저술되었다 ||
 
|-
 
| [[메밀꽃 필 무렵]] || [[순수문학]] || A는 B에 해당된다 ||
 
|-
 
| [[메밀꽃 필 무렵]] || [[뮤지컬’메밀꽃 필 무렵’]] || A는 B으로 재창작되었다 ||
 
|-
 
| [[메밀꽃 필 무렵]] || [[애니메이션’ 메밀꽃, 운수 좋은 날, 그리고 봄봄’]] || A는 B으로 재창작되었다 ||
 
|-
 
| [[메밀꽃 필 무렵]] || [[메밀꽃 질 무렵]] || A는 B으로 재창작되었다 ||
 
|}
 
 
==참고문헌==
 
 
[https://ko.wikisource.org/wiki/%EB%A9%94%EB%B0%80%EA%BD%83_%ED%95%84_%EB%AC%B4%EB%A0%B5 위키문헌 ‘메밀꽃 필 무렵’]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1311&cid=58822&categoryId=58822 한국문학의 고전]
 
 
 
==작성자==
 
* 작성자: [[강수진]]
 
 
[[분류:메밀꽃 필 무렵]] [[분류:이효석]] [[분류:강수진]]
 

2019년 6월 12일 (수) 00:48 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