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그네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성유리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6월 17일 (수) 21:54 판 (내용)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박목월의 초기작으로, 1946년 4월『상아탑』(1946. 4)에 발표됨.1946년 조지훈(趙芝薰)·박두진(朴斗鎭)과 함께 낸 시집 『청록집(靑鹿集)』에 수록되어 있다. 조지훈의 「완화삼(玩花衫)」에 화답한 시이며, 앞에 “술익는 강마을의 저녁놀이여”라는 「완화삼」의 일절을 부제로 달고 있다. 민요적인 가락과 같은 향토색, 그 음악적 효음과 감각이 잘 조화되어 ‘남(南)의 목월(木月)’이란 찬사를 받을 만큼 그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구성 및 형식

내용

 강나루 건너서 밀밭 길을
 구름에 달 가듯 가는 나그네


 길은 외줄기 남도 삼백 리
 술 익는 마을마다 타는 저녁 놀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박목월은 이 시의 주제적 모티프가 “구름에 달가듯이 가는 나그네”에 있다고 하였다. 제목이 다 주제적 모티프가 되는 ‘나그네’는 바람과 함께 떠도는 절망과 체념의 모습이기도 하다. 고향을 떠나 낯선 땅을 떠도는, 무엇인가 송두리째 잃은 듯한 상실감으로 허전해진 모습을 ‘나그네’가 상기시킨다.

제1연의 “강나루 건너서 밀밭길을”박목월이 태어나서 자란 농촌 풍경이나, 우리 모두가 생각하는 보편화된 풍경이다. 그러나 그곳을 찾아들거나 떠나가는 ‘나그네’의 발걸음은 ‘구름에 달가듯이’ 간다. 이 때 ‘달’의 발걸음은 반드시 밝고 경쾌하지만은 않으며, 외롭고 쓸쓸하고 애상적이기까지 하다.

제3연의 “길은 외줄기 남도 삼백 리”에서 ‘삼백리’는 처음에 ‘팔백리’로 되어 있었는데, 발표할 당시 고쳤다고 한다. 박목월의 “서러운 정서가 감정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거리”가 ‘삼백리’라는 것이다.

제4연은 조지훈의 「완화삼」에서 따온 것으로, 붉게 타는 저녁노을을 술빛에 비유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참고문헌

작성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