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건축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남한산성 행궁)
(남한산성 행궁)
50번째 줄: 50번째 줄:
 
===주요 문화 유적===
 
===주요 문화 유적===
 
====남한산성 행궁====
 
====남한산성 행궁====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남한산성 주변에 있는 조선의 행궁(行宮)으로 사적 제480호로 지정되어 있다. 1624년(인조 2년) 조선 16대 임금 인조의 명으로 착공하여 2년 후인 1626년(인조 4년)에 완공하였다. 이후 멀쩡히 잘 전해지던걸 일제가 행궁과 관아에 방화하여 불에 타 소실되어서 행궁지로 남아있다가 2011년 행궁구역의 대부분을 복원하였다.  
+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남한산성 주변에 있는 조선의 [[행궁]](行宮)으로 사적 제480호로 지정되어 있다. 1624년(인조 2년) 조선 16대 임금 [[인조]]의 명으로 착공하여 2년 후인 1626년(인조 4년)에 완공하였다. 이후 멀쩡히 잘 전해지던 것을 일제가 행궁과 관아에 방화하여 불에 타 소실되어서 행궁지로 남아있다가 2011년 행궁구역의 대부분을 복원하였다.  
  
병자호란 때 원래 강화도로 피난을 시도하려던 인조가 강화도 피난이 좌절되면서 결국 남한산성으로 옮겨 1636년 12월 14일부터 1637년 1월 30일까지 이곳을 임시 궁궐로 사용하였다.
+
[[병자호란]] 때 원래 강화도로 피난을 시도하려던 [[인조]]가 강화도 피난이 좌절되면서 결국 남한산성으로 옮겨 1636년 12월 14일부터 1637년 1월 30일까지 이곳을 임시 궁궐로 사용하였다.
  
 
====수어장대====
 
====수어장대====

2020년 12월 7일 (월) 23:10 판

남한산성

개요

경기도 광주시·성남시·하남시에 걸쳐 있다. 1963년 1월 21일 사적 제57호로 지정되었다.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축조되어 북한산성(北漢山城)과 더불어 서울을 남북으로 지키는 산성 중의 하나이다.

위치

대한민국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지도를 불러오는 중...

개설

흔히 북한산성(北漢山城)과 함께 조선의 도성인 한양의 방어를 위하여 쌓은 산성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의 발굴조사 결과, 8세기 중반에 조성된 성벽과 건물터 등이 확인되어, 신라 주장성(晝長城)의 옛터였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조선시대 남한산성은 주봉인 해발 497.9m의 청량산을 중심으로 북쪽으로는 연주봉(467.6m), 동쪽으로는 망월봉(502m)과 벌봉(515m), 남쪽으로도 여러 봉우리를 연결하여 성벽을 쌓았다. 성벽의 바깥쪽은 경사가 급한데 비해 안쪽은 경사가 완만하여, 방어에 유리하면서도 적의 접근은 어려운 편이다. 성벽과 성 안에는 많은 시설물과 건물이 있었지만, 지금은 방어 시설과 관청, 군사훈련 시설 등이 남아 있다.

남한산성의 역사·문화적 가치가 높게 인정되어 2014년 6월 카타르 도하에서 개최된 유네스코 총회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신규 등재되었다.

역사

특징

주요 문화 유적

남한산성 행궁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남한산성 주변에 있는 조선의 행궁(行宮)으로 사적 제480호로 지정되어 있다. 1624년(인조 2년) 조선 16대 임금 인조의 명으로 착공하여 2년 후인 1626년(인조 4년)에 완공하였다. 이후 멀쩡히 잘 전해지던 것을 일제가 행궁과 관아에 방화하여 불에 타 소실되어서 행궁지로 남아있다가 2011년 행궁구역의 대부분을 복원하였다.

병자호란 때 원래 강화도로 피난을 시도하려던 인조가 강화도 피난이 좌절되면서 결국 남한산성으로 옮겨 1636년 12월 14일부터 1637년 1월 30일까지 이곳을 임시 궁궐로 사용하였다.

수어장대

가는 길

대중교통 버스번호 및 역
버스 9번, 9-1번(주말), 15-1번, 52번, 333번, 2007번
지하철 8호선 남한산성입구역, 산성역

관련사진 및 영상

작성자

김현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