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문화 유산 유랑단 2022년 활동 내용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김경민(22)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9월 22일 (목) 13:11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1차 활동

1차 활동 위키 작성은 김경민 학우님이, 1차 활동 카드뉴스 제작은 우예진 학우님이 맡아주셨습니다.

  1. 활동 일시
  2. 2022년 6월 27일 15:35~16:30

  3. 활동 인원 및 활동지 작성자
  4. 활동 인원: 김경민, 김수진, 김세연, 김세현, 우예진, 유준석, 이지우, 홍이준, 홍한나
    활동지 작성자: 김세현

  5. 조사한 사이트와 서비스
  6.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주관으로 운영되는 사이트이다. 다양한 문화유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궁궐, 종묘, 조선왕릉, 기록유산, 유네스코 등재유산 등 다양한 문화재를 3D 형식으로 감상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중이다.

  7. 조사내용과 느낀점
    1. 문화유산 검색 中 일부 | 김세현

    국립무형유산원의 무형유산 디지털 아카이브와 연계되어 있다. 무형유산 디지털 아카이브는 무형유산 정보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전통 공연, 예술, 전통기술, 전통지식, 구전 전통 및 표현, 생활관습 등 무형문화재에 대한 다양한 자료를 생산 및 수집하여 보존, 관리하고 있다. 또한 이렇게 수집한 공연, 전시, 교육 관련 자료, 학술조사 연구 자료, 국가무형문화제 기록화 자료, 다양한 영상콘텐츠 등의 생산 자료를 공개하고 한 곳에서 이용 가능하게끔 서비스하고 있다. 국가무형문화재 기록화, 학술조사연구, 공연/전시/교육 등의 큰 카테고리 안에서 자료분류별 검색이 가능하며, 소장품을 검색하거나 기획콘텐츠, 테마콘텐츠 등을 모아볼 수 있다. 사진, 영상, 음원, 도서 등의 자료 유형으로 검색 가능하며, 각 컨텐츠의 상세정보에서는 포맷별 등록번호와(ex. 이미지 No.129869) 제작자, 제작년도, 지역, 공공누리유형, CCL 등의 메타데이터를 확인 가능함. 이미지 크게보기 기능을 지원한다. 음원의 경우 CD 이미지와 수록된 트랙의 목차를 확인 가능하며, 바로 재생도 가능하다. 다만 페이지 최적화가 되지 않았는지 줄바꿈이 되지 않고 옆으로 길어져 조금 불편함이 있었다. 스크롤을 내리면 관련 콘텐츠도 확인 가능하며, 여기서는 자료 특성에 따라 지정사항, 기록년도, 지역, 기록대상, 범주, 설명 등의 메타데이터를 보여주고 있다. 다만 자료에 따라 설명 필드 메타데이터만 있는 경우도 있다. 한편 관련 자료 또한 포맷별로 소개하고 있다.

    문화유산채널 사이트와 연동하여 감상 가능하다. 영상프로그램, VR, 채널뮤직, 문화유산칼럼, 문화유산여행 등의 자료를 확인 가능하다. 문화유산채널 사이트 내부에서는 인기 콘텐츠를 메인 화면에 큐레이팅하며, 문화재별, 시대별, 지역별, 유형별로 검색할 수 있게 안내하고 있다. 한편 전통 ASMR, 이미지문화유산, 공식 소셜미디어 채널 등 이용자가 흥미를 가질 수 있을 만한 콘텐츠를 메인에 배치하고 있다. 특히 채널뮤직은 현업 래퍼와 함께하는 ‘쇼미더 문화유산’ 등의 프로젝트를 통해 문화재에 얽힌 배경 등을 재미있게 받아들일 수 있는 다양한 음악을 감상 가능하다.

    문화유산채널.png

    국립중앙박물관 등 다양한 박물관에서 소장 중인 다양한 문화유산을 모아볼 수 있다. 소장기관, 국가/시대, 분류, 지정문화재 여부 등의 필터를 사용 가능하다. 상세 페이지에 들어가면 박물관명, 한자명칭, 국적/시대, 출토지, 재질, 용도, 크기, 지정구분, 소장품번호 등의 메타데이터와 공유하기 버튼이 있다. 이미지 저작권의 경우 각 소장처가 가지고 있다고 추론 가능하다.

    다양한 우리나라 문화유산과 관련된 용어를 확인 가능하다. 본 사이트 내의 시소러스 역할을 하는지 확인할 수는 없지만 그런 기능을 할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1. [궁궐/종묘] | 이지우
    2. [조선왕릉] | 우예진, 홍한나
    3. [기록유산] | 김세연
    4. [유네스코 등재유산] | 김경민, 유준석
    5. [3D 문화유산] | 김수지, 홍이준


    </ol>

    1학기 방중 활동

    (작성자: 김세현)

    1학기 방중 활동으로 1학기 활동 내역을 카드뉴스 및 위키 형태로 정리하였으며, 2022년 8월 25일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에서 운영하는 '지식의 길' 및 '실감서재'에 방문하고, '기록매체박물관' 전시를 둘러보았습니다.


    1. 활동 일시
    2. 2022년 8월 25일

    3. 참석 인원
    4. 김세현, 김세연, 유준석

    5. 지식의 길
    6. 유랑단 2022 1학기 방학 답사 1.jpg

      '지식의 길'은 국립중앙도서관 본관과 디지털도서관을 잇는 통로의 이용도를 높이기 위해 조성한 공간으로, 문학과 디지털기술을 접목한 실감 콘텐츠 체험 공간입니다.


      유랑단 2022 1학기 방학 답사 2.jpg

      유랑단 2022 1학기 방학 답사 3.jpg

      실제로 신비롭게 조성된 통로와 더불어 '메밀꽃 필 무렵', '별 헤는 밤', '소나기', '진달래꽃' 등 많은 사랑을 받은 근현대 문학을 인터랙티브 기술을 통해 작품의 분위기, 주제와 맞는 가상 영상을 재생하고 체험자의 동작에 따라 반응하는 것을 보며 문학을 더 재미있게 즐길 수 있었습니다.


      유랑단 2022 1학기 방학 답사 4.jpg

      또한, 이용자의 성향에 맞는 책을 추천하는 터치스크린 체험 메뉴와 다양한 도서들이 비치되어 있어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었습니다.


    7. 실감서재
    8. '실감서재'는 첨단 기술이 적용된 새로운 형태의 실감형 도서관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는 상설 체험관입니다. 지식의 길이 근현대 문학과 실감 기술을 접목한 체험 공간이라면, 실감서재는 고도서와 실감 기술을 접목한 체험 공간입니다.


      • 수장고 영상
      • 유랑단 2022 1학기 방학 답사 5.jpg

        사진 오른쪽에서 볼 수 있는 스크린에서 기계가 문헌을 관리하는 국립중앙도서관의 미래 수장고 영상을 보여줍니다.



      • 검색의 미래
      • 유랑단 2022 1학기 방학 답사 6.jpg

        터치스크린을 활용하여 국립중앙도서관의 기존 검색시스템을 이용함은 물론, 추천 주제를 이용자에게 제시하며 주제별로 도서를 검색하고 주제, 저자, 출판년도 등을 연결점으로 삼아 온톨로지 모델링 형식으로 정보를 연결하여 보여주는 차세대 검색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재미있는 것은, 버튼을 눌러 수장고 영상을 재생하는 대형 스크린으로 검색한 도서를 공유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회의 등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 디지털북
      • 유랑단 2022 1학기 방학 답사 7.jpg

        『동의보감』,『무예도보통지』,『자산어보』, 『춘궁강학도』등 우리에게 친숙한 고서와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여, 종이에 투영되는 영상의 버튼을 터치하면 한문을 한글로 번역한 내용을 볼 수 있으며, 책의 내용을 보다 생동감있는 영상 등으로 만나며 즐겁게 읽을 수 있습니다.


      • 인터랙티브 지도
      • 유랑단 2022 1학기 방학 답사 8.jpg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한 고지도를 터치스크린과 실감나는 영상으로 재미있게 감상할 수 있습니다. 특히 『수선전도』는 당시 한양 도성 내부 지도와 현재 서울 일부의 모습을 비교할 수 있는 컨텐츠로 상당히 재미있었고, 『조선풍속도』의 경우 미니게임을 통해 감상의 재미를 더했습니다.


      • XR 미술관
      • 유랑단 2022 1학기 방학 답사 9.jpg

        XBox 컨트롤러로 가상 미술관을 탐방하며, 원래라면 쉽게 볼 수 없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미술품을 실감나게 볼 수 있었습니다. 실제 미술관처럼 문자 및 음성 해설을 제공하고 있으며, 초고해상도로 종이의 질감까지 원본과 흡사하게 구현한 것이 상당히 흥미로웠습니다.



    9. 기록매체박물관
    10. 유랑단 2022 1학기 방학 답사 10.jpg

      유랑단 2022 1학기 방학 답사 11.jpg

      유랑단 2022 1학기 방학 답사 12.jpg

      인간 문명을 선사시대와 역사시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 기준은 인간이 문자를 만들어 기록한 시점이 됩니다. 심지어 선사시대에도 인간은 벽화를 통해 기록을 남기기도 했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 '기록매체박물관'에서는 문자, 오디오 및 영상, 컴퓨터 3부로 섹션을 나누어 전시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실제 점토판을 보거나 한지를 비롯한 한중일의 전통 종이 또한 살펴볼 수 있었으며, 타자기, 영사기는 물론 컴퓨터 및 저장매체의 발전을 둘러볼 수 있는 흥미로운 전시였습니다.



    11. 뒷풀이
    12. 유랑단 2022 1학기 방학 답사 13.jpg

      탐방을 마치고 관내 설치된 카페에서 뒷풀이를 하며 소모임 구성원 간 즐거운 대화를 나누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2차 활동

    3차 활동

    ==2학기 방중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