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리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5번째 줄: 5번째 줄:
  
 
==상세 소개==
 
==상세 소개==
로컬리티(locality)는 특정 로컬이 나타내는 장소성, 역사성, 권력성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현상과 관계성의 총체이며, 여기에 추상적인 인간의 의식을 경계지우는 주변성, 소수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1)
+
로컬리티(locality)는 특정 로컬이 나타내는 장소성, 역사성, 권력성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현상과 관계성의 총체이며, 여기에 추상적인 인간의 의식을 경계지우는 주변성, 소수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1)
그러므로 로컬리티 개념은 지리적 환경이나 그 지역 사람들의 정서적 기질, 언어 등과 같은 기본적인 요소로부터, 그 지역만의 어떤 특수한 역사적 경험이나 사회적 관계속에 형성된 추상적 기운이나 제도까지 포함할 수 있는 포괄적인 개념인 것이다. 2)
+
그러므로 로컬리티 개념은 지리적 환경이나 그 지역 사람들의 정서적 기질, 언어 등과 같은 기본적인 요소로부터, 그 지역만의 어떤 특수한 역사적 경험이나 사회적 관계속에 형성된 추상적 기운이나 제도까지 포함할 수 있는 포괄적인 개념인 것이다.2)
  
 
한국문학에서 로컬리즘 (로컬리티)은 농촌을 배경으로 사실적인 묘사를 하거나 전원취미나 취향의 토속성을 드러내는 것이며, 혹은 주인공의 건강한 삶이나 현실을 극복하는 배경공간으로 드러난다.
 
한국문학에서 로컬리즘 (로컬리티)은 농촌을 배경으로 사실적인 묘사를 하거나 전원취미나 취향의 토속성을 드러내는 것이며, 혹은 주인공의 건강한 삶이나 현실을 극복하는 배경공간으로 드러난다.
예를들어 [[차범석]]의 <[[산불]]은 서사의 사실적인 전개를 위해 로컬을 동원하고 [[하유상]]의 <[[학 외다리로 서다]]는 전원취미로서 토속성을 보여준다.   
+
예를들어 [[차범석]]의 <[[산불]]>은 서사의 사실적인 전개를 위해 로컬을 동원하고 [[하유상]]의 <[[학 외다리로 서다]]>는 전원취미로서 토속성을 보여준다.   
  
한국소설에서 로컬리즘은 서울 중심의 민족문학에 대한 안티테제로서의 지방문학(local literature)이라는 이중적 의미를 지닌다. 1960년대는 정부주도 하에 본격적인 도시화가 진행되었고 이 도시화는 수많은 이향(離鄕)을 낳았으며 곧‘상경민’'들을 탄생시켰다. 이향과 상경의 대상은 서울이었고, 이 때 서울-지방의 관계는 물리적 거리가 아닌 중심/주변의 구도를 형성하게 되었다. 1960-70년대의 문학은 서울-지방(시골)의 공간대비, 즉 서울/지방의 이분법적 관계틀을 보여줬다. 당시 이향과 귀향은 1960-70년대 한국문학의 반복적인 모티프가
+
한국소설에서 로컬리즘은 서울 중심의 민족문학에 대한 안티테제로서의 지방문학(local literature)이라는 이중적 의미를 지닌다. 1960년대는 정부주도 하에 본격적인 도시화가 진행되었고 이 도시화는 수많은 이향(離鄕)을 낳았으며 곧‘상경민’들을 탄생시켰다. 이향과 상경의 대상은 서울이었고, 이 때 서울-지방의 관계는 물리적 거리가 아닌 중심/주변의 구도를 형성하게 되었다. 1960-70년대의 문학은 서울-지방(시골)의 공간대비, 즉 서울/지방의 이분법적 관계틀을 보여줬다. 당시 이향과 귀향은 1960-70년대 한국문학의 반복적인 모티프가 되었다.3)
었다. 3)
 
  
  

2018년 6월 23일 (토) 17:28 판

로컬리즘(Localism)

정의

로컬리즘이란 특정 지역에 대한 지역주의 혹은 문학속에 담겨 있는 지역 정서, 로컬리티(locality)를 의미한다. 60년대 희곡의 한 특징으로서 로컬리즘을 꼽을 수 있다.

상세 소개

로컬리티(locality)는 특정 로컬이 나타내는 장소성, 역사성, 권력성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현상과 관계성의 총체이며, 여기에 추상적인 인간의 의식을 경계지우는 주변성, 소수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1) 그러므로 로컬리티 개념은 지리적 환경이나 그 지역 사람들의 정서적 기질, 언어 등과 같은 기본적인 요소로부터, 그 지역만의 어떤 특수한 역사적 경험이나 사회적 관계속에 형성된 추상적 기운이나 제도까지 포함할 수 있는 포괄적인 개념인 것이다.2)

한국문학에서 로컬리즘 (로컬리티)은 농촌을 배경으로 사실적인 묘사를 하거나 전원취미나 취향의 토속성을 드러내는 것이며, 혹은 주인공의 건강한 삶이나 현실을 극복하는 배경공간으로 드러난다. 예를들어 차범석의 <산불>은 서사의 사실적인 전개를 위해 로컬을 동원하고 하유상의 <학 외다리로 서다>는 전원취미로서 토속성을 보여준다.

한국소설에서 로컬리즘은 서울 중심의 민족문학에 대한 안티테제로서의 지방문학(local literature)이라는 이중적 의미를 지닌다. 1960년대는 정부주도 하에 본격적인 도시화가 진행되었고 이 도시화는 수많은 이향(離鄕)을 낳았으며 곧‘상경민’들을 탄생시켰다. 이향과 상경의 대상은 서울이었고, 이 때 서울-지방의 관계는 물리적 거리가 아닌 중심/주변의 구도를 형성하게 되었다. 1960-70년대의 문학은 서울-지방(시골)의 공간대비, 즉 서울/지방의 이분법적 관계틀을 보여줬다. 당시 이향과 귀향은 1960-70년대 한국문학의 반복적인 모티프가 되었다.3)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로컬리즘 차범석 A는 B에 드러나다

참고문헌

1)이상봉, 인문학의 새로운 지평으로서 ‘로컬리티 인문학의 전망’ ,󰡔로컬리티 인문학󰡕창간호, 부산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51쪽


2)최상민, 천승세 희곡에서 로컬리티의 문제. 드라마 연구, 2013, 41(0), 259-285.


3) 문재원, 한국문학과 로컬리즘 ; 고향의 발견과 서울,지방의 (탈)구축. 한국문예비평연구, 2012, 38(0), 53-81.


백지연, 1960년대 한국소설에 나타난 도시공간과 주체의 관련양상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271면.


윤진현, 천승세 희곡 연구. 한국극예술연구, 2000, 11, 235-262.


최병우, 한국현대소설과 로컬리즘. 현대소설연구, 2015, 58(0), 5-33.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