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형문화재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최주환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6월 6일 (일) 08:40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요약

성북구에 존재하는 무형문화재에 대해 소개하는 곳이다.

무형문화재

개정(2016년)된 현행 문화재보호법에 의거 그 명칭은 국가무형문화재이다. 과거 동 법률 제정(1962년) 당시에는 중요무형문화재라고 지칭했던 바, 이는 현재 국가무형문화재라고 한다. 동시에 인간문화재 역시, 법률용어로서 처음 규정되었다.

'무형문화재'는 역사적, 문화적, 예술적으로 가치가 높은 무형의 문화유산을 가리키는 말로, 우리 고유의 문화가 담겨있는 전통 예술이나 공예 기술 등이 포함됩니다.

역사적으로나 예술적으로 높은 가치와 문화적 기능을 지닌 사람을 인간문화재로 지정하여 그 기능을 후계자에게 전수할 수 있도록 하며, 그 비용은 국가가 부담한다. 무형문화재의 종류로는 연극·음악·무용·공예·무예·의식·놀이 등이 있다.

인간문화재

공예가

  • 정정완

정정완.jpg

동소문동에 거주했던 중요무형문화재 제89호 침선장 기능보유자이다.

우리 전통 의상의 아름다움이 주목을 받게 되면서, 1988년 8월 1일 중요무형문화재 제89호로 선정되었다.

  • 김은영

김은영.jpg

성북동에 거주하는 서울특별시무형문화재 제13호 매듭장 기능보유자이다.

1996년 12월 31일 서울특별시무형문화재 제13호로 지정되었으며, 2017년 11월 16일 명예보유자로 인정받아 우리의 고유한 매듭기법을 전승하고 있다.


  • 강대규

강대규.jpg

정릉동에 거주했던 국가무형문화재 제55호 소목장 보유자이다.

1980년 전승공예대전에서 그가 만든 연(輦)이 대통령상을 수상하면서 소목장으로 명성을 얻었다.

소목은 연장의 종류가 많고 나무 선별과 오랜 건조 기간, 정밀한 짜임, 상감, 옻칠 등 공정이 까다로운데 강대규는 전통 기법을 제대로 계승한 인물 중의 한 사람으로 꼽힌다.


  • 완덕문

원덕문.jpg

돈암동 흥천사(신흥사)에 거주했던 승려이자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문화재) 제48호로 단청장 기능보유자이다.

1972년에는 단청문양보존연구회를 설립하여 단청 및 전통미술의 전승과 보급에 힘썼다.

1972년 8월 1일 국가무형문화재 제48호로 지정되었다.

음악가

  • 김명환

김명환.jpg

중요무형문화재 제59호 판소리 고법 예능보유자이다.

판소리 이론에도 조예가 깊어 이론과 실기에서 따르는 제자가 많았다. 판소리, 가야금산조 등 공연과 음반에 참여하였다.

1971년부터 10여 년 동안 석관동에 거주하며 제자들이 모여 만든 ‘일산회’와 공연을 열어 국악을 알렸다.

  • 한갑주

한갑주.jpg

1924년 광주에서 태어난 한갑주는 대표적인 세습예인 집안 출신으로, 판소리 명창이자 가야금 명인 한성태의 아들이다.

1976년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적벽가) 보유자로 지정되었다.

  • 이생강

이생강.jpg

성북구에 거주하는 국악인으로 국가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예능보유자이다.

1996년 12월 10일 국가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 이건자

이건자.jpg

성북구에 거주하는 국악인으로 국가무형문화재 제19호 선소리산타령 전수교육조교이다.

2012년 국가무형문화재 제19호 선소리산타령 전수교육조교로 선정되었다.

무용가

  • 강선영

강선영.jpg

돈암동과 성북동에서 활동한 국가무형문화재 제92호 태평무 기능보유자이다.

170여개 나라에서 천 오백회가 넘는 공연을 하며 한국 전통춤의 세계화에 이바지한 그녀는 1988년 12월 1일 주요무형문화재 제92호로 지정되었다.

  • 조영숙

조영숙.jpg

성북구에 거주하는 전통연희 공연가이자 국가무형문화재 제79호 발탈 예능보유자이다.

2012년 2월 2일에 예능보유자가 되었다.

전수조교 시절 성북구청 옆에 전수학원을 운영하였다. 현재 고령 나이지만 왕성한 활동을 하며 전통을 지키고 있다.

조각가

  • 김철수

김철주.jpg

국가무형문화재 제35호 조각장 기능보유자이다.

1970년대 초반부터 아버지의 전통 조각 기능을 배우고 익혀 1989년 12월 기능보유자로 인정되었다.

화가

  • 김만희

김만희.jpg

석관동에 거주했던 서울특별시무형문화재 제18호 민화장 기능보유자이다.

그는 민화장 기능보유자로서 1996년 12월 31일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17호로 지정되었다.

출처

성북마을아카이브

국가문화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