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주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문서를 비움)
1번째 줄: 1번째 줄:
민족주의
 
  
 
==정의==
 
민족의 [[독립]]과 [[통일]]을 가장 중시하는 사상으로, 19세기 이래 근대 국가 형성의 기본 원리가 되었으며, 분열되어 있는 민족의 정치적 통일을 목표로 하는 형태와 외국의 지배로부터의 [[해방]]이나 [[독립]]을 목표로하는 형태로 크게 나누어진다.
 
 
 
==유의어==
 
===[[내셔널리즘]]===
 
국가의 공동체적 이념을 강조하고 [[통일]], [[독립]], 발전을 꾀하는 주의.
 
 
===[[민족 지상주의]]===
 
민족의 [[독립]]과 [[통일]]을 가장 중시하는 사상. 민족주의와 같은 말.
 
 
===[[국민주의]]===
 
국민의 이익이나 권위를 지키고 확립하려는 태도나 경향.
 
 
 
==관련 어휘==
 
===민족주의 문학===
 
민족의 번영과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문학으로, 우리나라에서는 1908년~1919년 일제 침략의 시대적 상황 속에서 민족의 계몽과 자주독립을 쟁취하려는 목적에서 형성되었다. 민족주의 문학의 대표적 인물로는 [[이광수]]와 [[최남선]]이 있다.
 
 
 
==분야==
 
===정치===
 
중국의 쑨원이 제창한 삼민주의 가운데 하나로, 국내 여러 민족의 평등과 외국의 압박으로부터의 독립을 주장했다.
 
 
===음악===
 
민요나 민속 춤곡 따위에 표현되어 있는, 자기 국가나 민족의 고유한 음계, 리듬, 형식을 사용하여 예술적인 음악작품을 만들고자 하는 태도나 경향이다.
 
 
 
==민족주의 운동==
 
===한국의 민족주의 운동===
 
한국의 근대사에서 민족주의는 외세의 침략으로 민족적 자주권이 상실되어 가는 과정에서 발생하였다. 민족주의 운동은 [[강화도조약]](1876)을 기점으로 싹트기 시작한다. 강화도조약은 일제의 무력에 의한 강압적 방법으로 한국을 점령하려는, 이전과 다른 현상이었고, 국내 일각에서 국가의 위기의식을 느끼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국가를 보전하기 위한 민족적 움직임이 싹텄다. 그에 대한 방안으로 두 가지 입장이 있었다. 외세를 배격하여 자력갱생해야 한다는 주장과 서구 선진 문물을 적극 수용하여 근대화를 통한 국력 배양에 힘써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두 가지 방안 모두 국가의 자주권을 지켜야 한다는 하나의 목표를 가지고 있었고, 결국 모두 민족주의적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민족주의 사상은 물리적 힘으로 외세를 배격하고 그에 대항하는 [[의병투쟁]]과 민중을 교육하고 계몽함으로써 독립을 지키려는 [[애국계몽운동]]으로 발전하였다. 애국계몽운동은 국내 지식인에 의한 교육활동과 외국의 문물을 배워 온 신지식인의 활동으로 전개되었다. 일본의 침략행위가 강화될수록 민족주의운동도 더욱 다양하고 발전된 모습으로 나타났다. 외국과 연계한 대외활동, 언론운동, 친일파 대신과 외국 외교관, 일본 침략자를 대상으로 한 물리적 공격 등의 민족운동이 계속되었고, 계속되는 일제의 착취와 탄압은 민족주의 정신을 민중 속으로 확산시켰다. 1919년 [[3.1운동]]으로 [[항일 민족주의 운동]]이 전개되었고, 민족주의 정신은 [[광복]] 이후에도 멈추지 않고 이어졌다.
 
 
===민족주의 문학 운동===
 
민족주의 문학 운동은 민족 문학파로부터 시작되었다. 민족 문학파는 [[한글 운동]], [[농촌 계몽 운동]] 등의 사회운동과 시조와 역사 소설 및 농촌 소설의 개척과 발전과 같은 창작을 통해서 민족주의 정신을 이끌었다. [[한글 운동]]의 중심은 민족주의 국어학자들이 모인 [[조선어연구회]]로, [[장지영]], [[권덕규]], [[이병기]], [[최두선]], [[신명균]], [[김윤경]] 등이 모여 조선어의 정확한 법리를 연구하기 위해 조직된 연구회이다. 이들은 1926년 11월 4일 훈민정음 반포 8주갑을 맞아 '가갸날'(오늘의 한글날)을 제정하였으며, 민족어의 전승 개발을 통하여 한국 문화와 정신사에 많은 공헌을 끼쳤다. 이후 [[조선어학회]]는 민족지인 [[동아일보]]의 [[브나로드 운동]]을 통해 계몽운동에 앞장섰다. [[이광수]]가 브나로드 운동의 시범작으로 <[[흙]]>을 동아일보에 발표햇고, [[심훈]]의 <[[상록수]]> 또한 동아일보에 연재되었다. 신의주 형무소에 수감 중인 채수반을 모델로 한 <[[흙]]>과, 곰보 처녀이지만 신앙과 봉사 정신으로 산 귀감이 되는 [[최용신]]을 주인공으로 한 <[[상록수]]>는 대표적인 한국 농촌 문학의 걸작이며 국민들에게 민족애를 고취시키는데 많은 기여를 했다.
 
민족주의 문학 운동에 보다 많은 기여를 한 것은 [[최남선]], [[이광수]], [[이병기]], [[조운]], [[이은상]]의 [[시조 부흥 운동]]이었다. 육당 [[최남선]]의 [[조선주의]]의 복고적인 문학 형식으로 시조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고, 그리하여 문학사상 [[시조]] 장르가 꽃을 피우는 계기가 된다.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민족주의]] || [[독립]] || A는 B를 도모하다||
 
|-
 
| [[민족주의]] || [[통일]] || A는 B를 도모하다||
 
|-
 
|}
 
 
 
==참고문헌==
 
*"민족주의".<네이버 국어사전>
 
*"민족지상주의".<네이버 국어사전>
 
*"국민주의".<네이버 국어사전>
 
*"한국의 민족주의 운동". <네이버 국어사전>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한지원]]
 
기여자 [[김주현]]
 
 
[[분류:개념/용어]] [[분류:내셔널리즘]] [[분류:민족 지상주의]] [[분류:국민주의]] [[분류:민족주의 운동]] [[분류:작성자 한지원]] [[분류:기여자 김주현]]
 

2022년 6월 15일 (수) 06:23 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