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문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248번째 줄: 248번째 줄:
  
  
 +
=='''보유 문화재'''==
 +
 +
* '''보물 제 1164-2호'''
 +
{| class="wikitable"
 +
| '''링크'''
 +
| colspan="4" | http://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3&region=1&searchCondition=%eb%ac%98%eb%b2%95%ec%97%b0%ed%99%94%ea%b2%bd&searchCondition2=&s_kdcd=12&s_ctcd=11&ccbaKdcd=12&ccbaAsno=11640200&ccbaCtcd=11&ccbaCpno=1121111640200&ccbaCndt=&ccbaLcto=&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99&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pageNo=1_1_1_0&sngl=Y
 +
|-
 +
| 자료 분류
 +
| colspan="4" |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
 +
|-
 +
| 자료 명칭
 +
| colspan="4" | 묘법연화경 권3~4, 5~7 (妙法蓮華經 卷三~四, 五~七)
 +
|}
 +
 +
 +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98호'''
 +
{| class="wikitable"
 +
| '''링크'''
 +
| colspan="4" | http://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region=2&searchCondition=%EB%B3%B4%EB%AC%B8%EC%82%AC&searchCondition2=&s_kdcd=21&s_ctcd=11&ccbaKdcd=21&ccbaAsno=00980000&ccbaCtcd=11&ccbaCpno=2111100980000&ccbaCndt=&ccbaLcto=&stCcbaAsno=98&endCcbaAsno=98&stCcbaAsdt=&endCcbaAsdt=&ccbaPcd1=99&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pageNo=1_1_1_0&sngl=Y
 +
|-
 +
| 자료 분류
 +
| colspan="4" | 불도
 +
|-
 +
| 자료 명칭
 +
| colspan="4" | 보문사 석가불도 (普門寺 釋迦佛圖)
 +
|}
  
 
=='''교통'''==
 
=='''교통'''==
393번째 줄: 419번째 줄: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이재희]]
+
작성자: [[양희수]]
  
[[분류:경주 문화재]] [[분류:불국사]] [[분류:국보]] [[분류:지식의 공유(N)]]
+
[[분류:성북구 문화재]] [[분류:디지털과 지식콘텐츠(N)]]

2021년 6월 3일 (목) 18:16 판


보문사

보문사

소개

서울의 전통사찰로 등록된 보문사는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고려 예종 10년(1115)에 담진국사(曇眞國師)에 의하여 창건되었다.


특히, 퇴경 권상로(退耕 權相老, 1879~1965)가 저술한 「퇴경전서-보문사일신건축기(普門寺一新建築記)」에는 옛 부터 비구니스님들이 상주하며 국가의 안녕과 왕실의 번성을 기원하는 비구니 사찰로 기록하고 있다. 그 사이의 내용은 전해지지 않다가 2017년 극락보전 중수 불사를 진행하던 중 온전한 상태의 상량문이 발견되어 역사적 사실이 입증되었다. 지금의 형태를 갖추게 된 극락보전은 건륭12년(1747. 조선 영조 23년) 최초 중건되었으며, 도광4년(1824. 순조 24년) 1차 중수, 동치4년(1865. 고종 2년)에 2차 중수되었음이 밝혀졌다. 퇴경전서에 의하면 1826년에 수봉법총(秀峰法聰)스님이 만세루를 신축하였으며, 1827년에 정운(正雲)스님이 좌우 승당을 건축하였다고 한다. 1842년에는 영전(永典)스님이 만세루를 수리하고, 1872년에 금훈(錦勳)스님이 좌우 승당을 중수하였다고 전하고 있다.


극락보전 상량문의 발견으로 보문사는 1800년대부터 줄곧 비구니 스님들이 상주하며 수행·정진하였으며, 특히 동치4년 상량문에서는 왕실발원 사찰로 조선왕조의 왕실의 시주를 받아 불사를 진행하고 후궁과 상궁 등 궁인에서부터 사대부, 평민에 이르기까지 불사에 동참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상량문과 더불어 그 어느 건축물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상량복장물도 함께 발견되어 문화재적 가치뿐만 아니라 역사성과 전통성을 모두 갖춘 총본산으로서의 면모를 확인하는 기회가 되었다. 이와 더불어 보문사에는 왕실에서 하사한 연(輦)수식과 인로왕번(引路王幡)을 비롯하여 조선 후기에 제작한 석가불도, 신중도, 지장보살도 등 서울시 유형문화재, 조선 전기에 제작된 묘법연화경이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그 밖에도 다수의 유·무형의 문화재들이 남아있다.


동대문 밖 비구니 수행도량 보문사(普門寺)에는 조선후기부터 불리워온 별칭이 있다. 그 별칭은 '탑골승방'으로 서울의 낙산 아래 동망봉을 경계로 청룡사, 미타사 등 비구니 도량이 군집해 있어 생긴 이름이다. 특히 보문사는 조선시대에 탑골 승방이라 불리는 옥수동의 두뭇개 승방, 석관동의 돌곶이 승방, 숭인동의 새절 승방(청룡사)과 함께 여승들이 거처하는 성 밖의 네 니사(尼寺) 중 하나로, 단종의 왕비 송씨와 연관된 동망봉과 청룡사ㆍ미타사가 이웃해 있어 이 곳이 왕비와 후궁들의 기도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또 동문 밖, 비구니 도량으로 왕을 여의거나, 나이가 찬 후궁들이 갈 곳 없이 방황할 때 이곳 탑골승방의 문은 활짝 열려 그녀들의 지친 마음을 감싸 주었다. 지금은 그 옛날 불심으로 수행한 비구니들의 흔적은 찾아 볼 수 없지만, 대웅전과 삼성각ㆍ묘승전ㆍ관음전 등에 남아 있는 불심어린 비구니스님들의 독경과 염불소리는 내세의 기복과 왕에 대한 사모의 마음으로 조성된 불화에서 그 마음을 엿볼 수 있다. 현재는 그런 역사적인 배경을 담은 듯 비구니 스님들이 상주하며, 정갈하고 단아한 가람, 그리고 정적인 분위기가 느껴지는 수행도량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세계유일의 비구니 종단인 보문종의 총본산으로서 한국불교 발전을 위해 포교ㆍ사회복지ㆍ교육활동에 전념하고 있다.


보문사는 도심사찰로서 넓은 대지위에 대가람이 여법하게 자리잡고, 낙산의 수림과 조화를 이루며 수행도량으로서의 정적인 분위기가 느껴지는 곳이다. 또 각각의 전각을 담당하는 별원이 자칫 복잡한 가람구성을 보이지만 정갈한 가람과 정진하는 비구니스님들의 가르침을 통해 번뇌에 흔들리는 속세인이 마음자세를 다잡을 수 있는 수행도량으로서 불자들의 귀의처가 되고 있다.



보문사 내부

가람 배치도

보문사배치도.jpg



가람 안내

극락보전(極樂寶殿)

극락보전.jpg

지금의 극락보전은 줄곧 대웅전으로 불려 지다가 2017년 중수 불사를 진행하던 중 온전한 상태의 상량문이 발견되어 옛 이름을 다시 찾게 되었다.


왜 극락보전이 대웅전으로 불려 지게 되었는지 그 이유는 정확히 알 수는 없다. 직전의 대웅전 편액은 근대의 서화가인 해강 김규진(海岡 金奎鎭, 1868~1933)의 글씨로 극락보전 뒷편에 걸려 있다.


상량문에 의하면 지금의 형태를 갖추게 된 것은 건륭12년(1747. 조선 영조 23년) 최초 중건되었으며, 도광4년(1824. 순조 24년) 1차 중수, 동치4년(1865. 고종 2년)에 2차 중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보문사 극락보전은 서울 지역 불교건축 중 가장 이른 시기에 건축된 불교 건축물임과 동시에 예로부터 비구니스님들이 상주하며 수행 정진한 도량임이 증명되었다. 특히, 상량문과 더불어 그 어느 건축물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상량복장물도 함께 발견되어 문화재적 가치뿐만 아니라 역사성과 전통성을 모두 갖춘 총본산으로서의 면모를 확인하는 기회가 되었다.


극락보전은 팔작지붕 형태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규모이다. 내부에는 서방정토 극락세계의 주존불이신 아미타불과 대세지보살, 관세음보살을 좌우 협시보살로 모시고 있다. 후불탱화는 영산회상도로 부처님께서 인도 영축산에서 법화경을 설하시는 장면을 도설화한 그림으로 동치6년(1867) 금어(金魚 - 불화를 그리는 사람의 총책임자) 경선응석(慶船應釋) 스님이 그린 석가불도(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98호)와 호법신장(護法神將)을 그린 신중탱화(제99호)가 봉안 되었다. 내부 불단의 구조는 뒷벽에서 약간 앞으로 나와 있어 부처님을 중심으로 사방을 돌며 참배할 수 있는 전형적인 전통사찰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석굴암(石窟庵)

석굴암.jpg

보문사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바로 이 석굴암이다.


보문사 석굴암은 삼각산 자락의 암산을 살려 조성한 인공석굴로 경주 석굴암(국보 제24호)을 모본으로 하여 조성하였다. 1970년 3월에 시작하여 23개월 동안 진행되었으며, 호남지방의 화강석과 경기석등 총 2,400톤의 화강석이 사용되었다. 주불은 15톤의 원석으로 제작되었으며, 높이는 3.38미터이다. 전체적인 것은 경주 석굴암의 문이 정면에 하나인데 비해서 이곳은 세 곳의 문을 두었고 경주 석굴암 전실에 있는 팔부신장이 생략되었다.


석굴암 내부 성현(石窟巖 內部 聖賢)의 배치는 본존불을 기준으로 좌로부터 제석천왕 - 문수보살 - 다문제일아난존자 - 십일면관세음보살 - 설법제일부루나존자 - 해공제일수보리존자 - 두타제일가섭존자 - 신통제일목건련존자 - 지혜제일사리불존자 - 보현보살 - 대범천왕 순(順)이며, 위 감실 안의 좌상은 좌로부터 다보탑 - 선의보살 - 바수밀보살 - 동자보살 - 정취보살 - 외도보살 - 비구보살 - 미륵보살 - 장자보살 - 석가탑 순이다. 그리고 외부 입상은 좌로부터 나라연금강 - 다문천왕 - 증장천왕 - 광목천왕 - 지국천왕 - 밀적금강 순이다.


묘보탑(妙寶塔)

묘보탑.jpg

석굴암이 있는 왼쪽 산자락에 자운(慈雲)율사께서 스리랑카에서 모셔온 부처님의 치아(齒牙) · 정골(頂骨)등 진신사리 3과가 봉안된 구층석탑 묘보탑(妙寶塔)이 자리하고 있다.


보문사 팔각 구층 사리석탑은 월정사 구층탑을 모본으로 하여 1977년도 동원정사 신축공사 직후 조성하기 시작하여 1979년 완성하였다. 탑신은 위로 올라 갈수록 점점 좁아지며 노반(露盤), 복발(覆鉢), 앙화(仰花), 보륜(寶輪), 보개(寶蓋), 수연(水煙) 등은 모두 석재로 만들었고 하단에는 팔정도를 뜻하는 팔엽화(八葉花)가 조각되어 있다.


산령각(山靈閣)

산령각.jpg

석굴암 오른쪽에는 산신과 독성님을 함께 봉안한 산령각이 자리한다.


산신은 불교가 전래되기 전에 많이 믿던 토착신으로 산지가 70%나 되는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조선말에 이르기까지 산신신앙이 널리 유행하였다. 이 산신은 불교에 수용되면서 호법신중(護法神衆)의 하나로 자리 잡았고, 보문사에서 가장 명당이라는 이곳에 은영스님이 1963년에 건축하여 지금까지 불자들의 귀의처가 되고 있다.


극락전(極樂殿)

극락전1.jpg

1970년 은영스님이 조성하신 극락전은 앞면 3칸, 옆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안에는 아미타불과 후불탱화가 봉안되어있다.


‘극락전 위패‘ 봉안 전각으로, 보문사에 일정기간동안 위패를 봉안하고 참배할 수 있도록 조성된 전각이다.


선불장(選佛場)

선불장.jpg

1958년 조성된 선불장은 앞면 5칸, 옆면 3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상하2층 205평의 건물이다.


선불장이란 장래의 부처가 될 수행자들이 모여 공부하는 곳으로써 “부처를 선발하는 자리“란 뜻으로 주로 강당이나 요사로 사용된다.


보문사 선불장은 건축당시에는 아래층에는 ‘보문강원(普門講院)’을 윗층에는 수선안거를 위한 ‘선방(禪房)’으로 사용하였다. 건축당시 보문사 대중은 200여명에 달했는데 이 곳 선불장에서 아침, 저녁 발우공양을 했으며 조석예불 후에는 전 대중이 참선정진을 했던 이름 그대로 선불장이었다. 특히, 절 안의 대소사(大小事)나 대중공사 등을 행했던 큰방 역할을 하던 곳이다. 지금의 선불장은 1층은 종단 유지법인인 재단법인 사무국과 보문종 총무원, 보문사 종무소가 위치하고 있고, 2층 법당은 대중 법회장소로 사용하고 있다. 법당 내부에는 석가모니불을 주존(主尊)으로 모시고 신중탱화와 칠성탱화를 봉안하여 인등 을 밝히고 있다.


범종루(梵鐘樓)

범종루1.jpg

호지문을 지나 경내로 오르는 길 언덕에 2층으로 된 범종루가 있는데 범종, 북(법고), 목어, 운판 등 불전사물(佛殿四物)이 걸려있다.


이들 사물은 각각 지옥(地獄), 축생(畜生), 수류(水類), 공중에 있는 중생들을 구제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그래서 중생은 종소리를 듣는 순간만이라도 번뇌로부터 벗어날 수 있고, 종소리를 듣고 법문을 듣는 자는 오래도록 생사의 고해를 넘어 불과(佛果)를 얻을 수 있다고 한다. 1969년에 주조된 이 범종은 새벽에33번 저녁에는 28번 타종을 한다.


관음전(觀音殿)

관음전.jpg

극락보전 위쪽 언덕에 위치한 관음전에는 여인의 인자하고 정숙한 모습의 관세음보살을 봉안하고 있다.


후불탱화인 관음탱화에는 관세음보살님으로 좌측에 남순동자 우측에 해상용왕이 관세음보살을 좌우보처로 보좌하고 있다.


관음탱화는 서울시 지정문화재로 지정된 극락보전의 후불탱화인 영산회상도와 같은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될 정도로 그 그림의 섬세 수려함이 정말 아름답다.


묘승전(妙勝殿)

묘승전.jpg


묘승전은 팔작지붕으로 정면 4칸, 옆면 2칸의 건물이다.


근대의 양식을 갖추고 있으며, 지금의 묘승전은 법준스님이 중건하였다. 안에는 1867년에 조성된 지장탱화(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00호)가 봉안되어 있고, 비교적 상세한 화기(畵紀)도 함께 기록되어 있어 당시의 보문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묘승전의 지장탱화는 구도에서 매우 독특한 면을 보여주고 있는데, 화면 중앙에 커다란 원을 그리고 그 안에 지장삼존을 묘사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커다란 원 좌우에는 도명존자와 무독귀왕을 그리고 위, 아래 두 줄로 시왕을 나누어 배치하였고, 위와 아래 네 곳에는 석류를 비록한 지물을 지닌 동자, 동녀를 각각 배치하였으며, 아래쪽에는 판관, 녹사, 우두와 마두, 나찰, 사자 등이 역시 위, 아래 두 줄로 대칭을 이루며 서있다.


색상은 붉은색이 주조를 이루고 있으나, 인상적인 것은 화면 중앙에 지장삼존불을 감싸고 있는 전신광의 역할을 하는 커다란 원 안에 칠해진 금니이다.


이 탱화는 조선후기 지장탱화 가운데서 구도의 특이함이나 시왕의 복색 등 여러 면에서 특색이 있는 작품으로 주목된다. 또한 1916년에 조성된 신중탱화 그 외에 현왕탱화, 그리고 근대의 화승(畫僧)인 금어(金魚) 만봉(萬奉)스님이 그리신 아미타 후불탱화, 감굴탱화가 봉안되어있다.


시왕전(十王殿)

시왕전.jpg

시왕전은 사람이 죽은 뒤에 죄와 복을 다스리는 열 분의 대왕님을 모신 당우이다.


1970년에 조성된 시왕전에는 지장보살상과 청동 부조(浮彫)로 모신 지장탱, 시왕탱이 좌우벽면을 감싸고 있다. 각 시왕도 하단에는 지옥장면도 도설화 되있어 권선징악(勸善懲惡)과 연기법을 그림으로 법문하고 있다. 법당 출입구쪽에는 부조로 금강역사(인왕상) 사자(使者)가 조성되어 명부(冥府)세계를 표현하였다.


시왕사상은 본래 인도의 토속신앙이었던 염라대왕이 중국의시왕신앙과 융화되어 이루어진 것인데 시왕탱화는 바로 그 시왕을 불화의 형식으로 그린 것이다.


호지문(護持門)

호지문.jpg

큰 절에 들어 가려할 때 일주문· 불이문 또는 해탈문 · 금강문 또는 인왕문 · 사천왕문 등 네 문을 거쳐서 들어가야 비로서 대웅전을 참배하게 된다.


하지만 서울이라는 지역적 특성 때문에 일주문 혹은 불이문과 같은 역할을 하는 문이 호지문(護持門)이다.


이 전각의 2층에는 부조탱(浮彫竀) 사천왕상이 봉안되어 있고 1층은 일주문으로 활용되고 있다. 붉은 기둥에 흰 주련이 유난히도 그 빛을 발하는데 거기 청룡과 황룡이 불타오르는 여의주를 놓고 포용하는 모습의 가히 한 폭의 작품이다.


보광전(普光殿)

보광전.jpg

1970년에 조성된 보광전은 본래 만세루(萬歲樓)였으나 지금은 법당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보통의 누각이 목조건물로 조성되는데 보광전은 누각의 형식을 취한 법당의 건물로 조선시대 후기에 조성한 아미타불과 후불탱화, 신중탱화가 봉안되어 있다. 법당과 누각을 합성하여 조성되어 동, 서, 남, 북 모든 문을 개방 할 수 있어 예수제 등 큰 행사에는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만불전(萬佛殿)

만불전.jpg

만불전은 동원정사 5층에 조성된 당우이다.


동원정사는 1977년 은영스님이 지었는데, 1996년 서울특별시 도시계획사업으로 현재의 위치에 다시 준공되었다. 이때 ‘1인 1원불(願佛) 모시기 운동’의 하나로 만불전을 조성하게 되었다.


안에는 삼존불(석가모니불, 문수보살, 보현보살)을 봉안하였고, 불단 뒤로는 만분의 불상이 자리한다. 서울 안 사찰 중에는 이곳처럼 만불이 조성된 경우가 드물어 만불전의 의미는 더욱 깊다고 하겠다.



심우당(尋牛堂)

심우당.jpg

기존에 있던 심우당을 보수 공사해서 2008년에 스님들의 참선 수행을 위해 새롭게 조성된 당우이다.


‘심우(尋牛)’ 란 수행자가 수행을 통해 본성을 깨달아 가는 과정을 잃어버린 소를 찾는 일에 비유해서 10단계로 수행의 과정을 구분해 놓은 것이다.


보유 문화재

  • 보물 제 1164-2호
링크 http://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3&region=1&searchCondition=%eb%ac%98%eb%b2%95%ec%97%b0%ed%99%94%ea%b2%bd&searchCondition2=&s_kdcd=12&s_ctcd=11&ccbaKdcd=12&ccbaAsno=11640200&ccbaCtcd=11&ccbaCpno=1121111640200&ccbaCndt=&ccbaLcto=&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99&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pageNo=1_1_1_0&sngl=Y
자료 분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
자료 명칭 묘법연화경 권3~4, 5~7 (妙法蓮華經 卷三~四, 五~七)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98호
링크 http://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region=2&searchCondition=%EB%B3%B4%EB%AC%B8%EC%82%AC&searchCondition2=&s_kdcd=21&s_ctcd=11&ccbaKdcd=21&ccbaAsno=00980000&ccbaCtcd=11&ccbaCpno=2111100980000&ccbaCndt=&ccbaLcto=&stCcbaAsno=98&endCcbaAsno=98&stCcbaAsdt=&endCcbaAsdt=&ccbaPcd1=99&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pageNo=1_1_1_0&sngl=Y
자료 분류 불도
자료 명칭 보문사 석가불도 (普門寺 釋迦佛圖)

교통

지도를 불러오는 중...

Google Maps 비상업적 이용 - 공정 이용 가능

  • 대중교통

대중교통이용

경주시내에서 불국사까지 자주 다니는 시내버스를 이용하시면 되고 경주역과 버스터미널에서 불국사행 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버스 : 10, 11번



  • 자가 운전

경주 시내에서 7번 국도를 따라 울산 쪽으로 가다보면 불국사역 앞 구정동 삼거리가 나온다. 여기서 좌회전해 902번 지방도를 따라 2.5Km 가면 불국사 앞 관광단지 주차장에 이릅니다.

경주시내에서 4번 국도를 따라 보문단지를 지나 감포방면으로 가면 덕동호 못미쳐 있는 삼거리에서 우회전해서 민속공예촌을 지나 5분 정도 가면 역시 불국사 앞 관광단지 주차장에 닿습니다.

불국사 가는 길은 이정표가 잘 되어 있어 찾아가기가 무척 쉽습니다.

관련 자료

  • 보물 제959-2-26호
링크 https://hoy.kr/bdeao
자료 유형 기록물
자료 명칭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 - 묘법연화경 권7
라이센스 공공누리 제1유형
  • 보물 제905-21호
링크 https://hoy.kr/CCoPs
자료 유형 기록물
자료 명칭 김성일 종가 전적 - 매월당시집
라이센스 공공누리 제1유형
  • 국보 제306-2호
링크 https://hoy.kr/M6mQ3
자료 유형 기록물
자료 명칭 삼국유사
라이센스 공공누리 제1유형


  • 신라인이 완성한 부처의 나라, 불국사 1697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w10L1siyX5A&feature=emb_title
자료 유형 비디오
게시자 EBSCulture
라이센스 CC BY
  • 지식채널e 문화유산 시리즈 비례, 균형, 조화의 불국사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Nh_6Q0ggMsc&feature=emb_title
자료 유형 비디오
게시자 Nell Lim
라이센스 CC BY
  • 사시불공(불국사)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qBybCj80iXA&feature=emb_title
자료 유형 비디오
게시자 한국불교 대표방송 BTN
라이센스 CC BY

참고문헌/출처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양희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