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석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22번째 줄: 122번째 줄:
 
파일:삼성각.png|삼성각
 
파일:삼성각.png|삼성각
 
</gallery>
 
</gallery>
 +
==관련 영상==
 +
*'''자연경관'''
 +
<youtube>s6bdOjk7hlY</youtube>
 
[[분류:한국의 건축문화재]][[분류:국보]]
 
[[분류:한국의 건축문화재]][[분류:국보]]

2020년 12월 4일 (금) 23:51 판



소개

창건시기

신라 문무대왕 16년(676년)에 의상이 왕명을 받아 세운 화엄종 사찰

위치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봉황산 중턱

지도를 불러오는 중...

유래

의상은 용이 바위로 변하여서 절을 지을 수 있도록 하였다고 해서 절 이름을 부석사로 하였다고 한다

구조

무량수전

무량수전.png

  • 지정종목

국보

  • 지정번호

제 18호

  • 소재지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사로 345 (부석면, 부석사)

지도를 불러오는 중...
  • 종류

건축물

  • 크기

정면 5칸, 측면 3칸

  • 요약

부석사(浮石寺)의 본전으로서 의상대사가 왕명을 받들어 창건하였으며 무량수전은 남향에 위치하고 있다.

건물 구조 : 추녀의 네 귀를 8각 활주로 받쳐주고 있다. 전면 기둥 사이에는 중앙어간과 양협간에 분합문을 달아 출입하도록 하고 단간에는 창문을 달았다. 기둥에는 알맞은 배흘림이 안정감을 주며 간결한 두공과 우주에 보이는 귀솟음 수법은 건물 전체를 한층 더 돋보이게 한다. 자잘한 정자살 분합문 위에 시원스런 포벽, 그 위에 가늘고 긴 기왓골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1]

안양루

안양루2.png

  • 성격

누정, 누각, 누문

  • 건립 시기

조선후기

  • 건물 구조

정면 3칸, 측면 2칸인 다포계 겹처마 팔작지붕건물이다. 부석사의 무량수전의 바로 앞에 세운 2층 누각 건물로서, 2단으로 쌓은 높고 거대한 석축 위에 세워져 있다. 앞쪽 2줄의 기둥은 아랫기단 위 자연석 주춧돌에 놓여 있고, 뒷줄의 짧은 기둥은 윗기단에 놓이게 하였다.[2]

  • 사진자료

이 외 구조

구조명 내용
선묘각(善妙閣) 무량수전 북서쪽 모서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의상조사의 창건 설화와 관련된 선묘라는 인물을 모신 건물이다.
조사당(祖師堂) 대한민국의 국보 제 19호로 무량수전에서 북쪽으로 약간 떨어진 산 중턱에 위치하며 의상과 역대 조사를 기리는 곳이다.
취현암(醉玄庵) 조사당 동쪽 바로 옆에 있다. 1997년도에 복원되어 2002년까지 선원으로 활용되다 현재 부석사 산내암자로서 쓰이고 있다.
응진전(應眞殿) 무량수전 영역의 북편 위쪽에 떨어져 위치해 있으며, 자인당과 함께 거의 일렬로 남향하여 일곽을 이루며 배치되어 있다.
자인당(慈忍堂) 선방의 용도로 사용되던 건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집이다.
단하각(丹霞閣) 최근세 지어진 것으로, 응진전 뒤쪽에 위치한다."단하"(丹霞)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모른다고 한다.
범종루(梵鐘樓) 누각식 문 구조로, 2층 정면 3칸, 측면 4칸으로 이루어졌다.
선열당(禪悅堂) 범종각과 안양루 사이에 위치하며, 스님들이 거처하는 요사채로 이용되고 있다.
응향각(凝香閣) 취현암 앞에 위치하며 원래는 강원 건물이었다고 한다. 무량수전으로 오르는 계단 오른쪽에 위치했었는데,1980년 철거하고 뒤로 물려서 신축하였다.
삼성각(三聖閣) 무량수전 서쪽 석축 아래에 위치해 있다. 원래는 축화전(祝花殿)이라 불렀는데 영조 때 대비의 원당으로 지은 건물이라 한다.
종각(鐘閣) 범종을 보관하는 건물로, 1980년의 보수공사 이후 신축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익공계 맞배집으로, 기둥만 새우고, 기둥 사이는 홍살로 막았다.
  • 사진자료

관련 영상

  • 자연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