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북한산성)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4번째 줄: 4번째 줄: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낙산'''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북한산성(北漢山城)'''
 
|-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문화재낙산3.jpg|300px|]] '''<br/>[http://archive.much.go.kr/data/JD008/folderView.do?jobdirSeq=320&idnbr=2016014164 대한민국역사박물관],<br/>'''공공누리 제4유형'''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북한산성1.jpg|300px|]] '''<br/>[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5_1_1_0&ccbaCpno=1333101620000# 문화재청],<br/>'''공공누리 제4유형'''
  
 
|-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명칭''' || 낙산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명칭''' || 북한산성
 
|-  
 
|-  
| style="text-align:center;"|'''위치''' ||
+
| style="text-align:center;"|'''위치''' || 경기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산1-1번지
서울 종로구 낙산길 41
 
 
|-  
 
|-  
 +
| style="text-align:center;"|'''시대''' || 삼국시대
 +
|-
 +
| style="text-align:center;"|'''수량/면적''' || 515,224.9㎡
 +
|-
 +
| style="text-align:center;"|'''지정(등록)일''' || 1968.12.05
 +
|-
 
|}
 
|}
 
</onlyinclude>
 
</onlyinclude>
 
  백제가 수도를 하남 위례성으로 정했을 때 도성을 지키던 북방의 성이다.
 
  백제가 수도를 하남 위례성으로 정했을 때 도성을 지키던 북방의 성이다.
 +
 +
===북한산성의 위치===
 +
{{
 +
#display_map:
 +
Seoul City;
 +
37.6469557,126.9710531
 +
|service=googlemaps3
 +
|width=400
 +
|height=300
 +
|type=normal
 +
|overlays=videos-1,wikipedia
 +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zoom=14
 +
}}
 +
 +
====가는 방법====
 +
 +
*구파발에서 송추행 버스를 이용하거나 불광동터미널에서 의정부행 시외버스로 산성 입구 하차
 +
구파발3거리 → 북한산성길로 우회전 → 북한산성 입구
 +
===역사===
 
백제 개루왕 5년(132)에 세워진 곳으로, 11세기 초 거란의 침입이 있을 때 현종이 고려 태조의 관을 이곳으로 옮겨 오기도 했다. 고려 고종 19년(1232)에 몽고군과의 격전이 있었고, 우왕 13년(1387)에 성을 다시 고쳐지었다. 조선시대에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도성 외곽을 고쳐짓자는 의견이 일어나 숙종 37년(1711) 왕명으로 토성을 석성으로 고쳐지었다.
 
백제 개루왕 5년(132)에 세워진 곳으로, 11세기 초 거란의 침입이 있을 때 현종이 고려 태조의 관을 이곳으로 옮겨 오기도 했다. 고려 고종 19년(1232)에 몽고군과의 격전이 있었고, 우왕 13년(1387)에 성을 다시 고쳐지었다. 조선시대에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도성 외곽을 고쳐짓자는 의견이 일어나 숙종 37년(1711) 왕명으로 토성을 석성으로 고쳐지었다.
 
성의 규모는 대서문, 동서문, 북문 등 13개의 성문과 불을 피우던 곳으로 동장대, 남장대, 북장대가 있었다. 성내에는 중흥사를 비롯한 12개의 사찰과 99개의 우물, 26개의 작은 저수지, 그리고 8개의 창고가 있었다. 현재 북한산성에는 삼국시대의 토성이 약간 남아 있기는 하나 대개 조선 숙종 때 쌓은 것으로 여장은 허물어 졌고, 대서문과 장대지·우물터·건물터로 생각되는 방어시설 일부가 남아있다.
 
성의 규모는 대서문, 동서문, 북문 등 13개의 성문과 불을 피우던 곳으로 동장대, 남장대, 북장대가 있었다. 성내에는 중흥사를 비롯한 12개의 사찰과 99개의 우물, 26개의 작은 저수지, 그리고 8개의 창고가 있었다. 현재 북한산성에는 삼국시대의 토성이 약간 남아 있기는 하나 대개 조선 숙종 때 쌓은 것으로 여장은 허물어 졌고, 대서문과 장대지·우물터·건물터로 생각되는 방어시설 일부가 남아있다.
22번째 줄: 47번째 줄:
  
  
===역사===
+
===사진===
조선 시대에는 풍수지리상 명당이라 하여 한양에 수도가 입지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하였다. 낙산은 남산, 인왕산, 북악산과 함께 내사산(內四山)을 이루며, 주산인 북악산의 좌청룡(左靑龍)에 해당하고 우백호(右白虎)인 인왕산과 마주본다. 한양도성이 능선에 축성되었다.
+
<gallery>
조선 시대 도성 5대 명승지에 이름을 올린 낙산은 조선시대 때 문인들이 별장을 짓고 살 만큼 풍광이 아름답기로 널리 알려져 왔다. 조선시대에는 삼청(三淸)·인왕(仁王)·쌍계(雙鷄)·백운(白雲)·청학(淸鶴)을 도성 안의 5대 명승지로 손꼽았는데, 이 중 현재의 이화동에 있던 쌍계동이 기묘한 암석과 울창한 수림에 두 줄기의 맑은 시냇물까지 있다 하여 세 번째로 꼽혔다.
 
일제는 1920년부터 펼쳐진 조선민립대학 설립운동을 봉쇄하기 위해 동숭동에 1924년에 경성제국대학 예과를 설립했고 1926년에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와 의학부를 설립했다. 해방된 뒤에 이곳은 서울대학교 문리대, 법대, 의대로 바뀌었다. 해방 뒤에 이승만과 박정희의 독재가 계속되자 서울대 학생들은 권력에 맞서 싸웠고, 학생들이 거리로 몰려나오면 종로의 교통이 막혀 시민들은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쉽게 알 수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75년에 흩어져 있던 서울대를 통합해서 관악산 자락으로 옮겼고, 그 뒤 서울대 터는 마로니에 공원을 중심으로 공원화되었다. 낙산은 마로니에 공원에서 반대편의 나지막한 언덕으로 보이는 곳이다.
 
  
===지명 유래===
 
  
산의 모습이 낙타 등처럼 볼록하게 솟았다고 하여 낙산 또는 낙타산(駱駝山)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고려 시대에 우유를 담당하는 우유소(牛乳所)라는 기관이 조선 시대에 타락색(駝酪色)으로 바뀌었는데, 낙산 일대에 궁중에 우유를 보급하던 왕실 직영 목장이 있어 타락산(駝酪山)으로도 불렸다. 낙산의 서쪽 동네는 동숭동이다. 조선 시대에는 낙산 자락에서 잣나무를 많이 길렀다 하여 본래 ‘백동’(栢洞)이라고 불렸는데, 1914년에 일제의 경성부가 동명을 만들면서 ‘숭교방 동쪽에 있는 동네’라고 하여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하였다.
+
파일:북한산성3.jpg|300픽셀| |'''북한산성1(by 심상구)'''<br/>[https://gongu.copyright.or.kr/gongu/wrt/wrt/view.do?wrtSn=11248605&menuNo=200018 공유마당],<br/>'''CC BY-NC-ND'''
 +
파일:홍지문1.jpg||'''홍지문1 '''<br/>[https://www.flickr.com/photos/koreanet/13884837119/in/photolist-n9Xqkr-nrasLF-azaJ8y-azaFyo-n9XqSr-n9XszY-rhwLKw-azaGgW-7dQcAS-azzn9r-az7XfR-azaDJC-az81oZ-7m3uh9-azaBJU-2hNonuj-h1ZziY-T5AGpA-azaEPN-az82iF-az7YJi-azaHnj-az7YsF-7dLhSK-azaEA5-7dLBea-7dQneY-azaKPU-2bUngqL-azaGU5-az86Ra-azaJR5-az81Cx-azaKeU-az83Tc-azaK3S-azaCFA-azaAK7-azaArL-7dLBQZ-az83hF-azaHTm-azaDVL-9669jX-az7XHr-azaGqN-az86Ep-az7ZmX-7dLovF-az85zB flickr],<br/>'''CC BY-SA'''
 +
파일:북한산성4.jpg|300픽셀| |'''북한산성2(by 이응준)'''<br/>[https://gongu.copyright.or.kr/gongu/wrt/wrt/view.do?wrtSn=327705&menuNo=200018 공유마당],<br/>'''CC BY-NC-ND'''
 +
파일:북한산성성벽.jpg|300픽셀| |'''북한산성성벽'''<br/>[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3,01620000,31&pageNo=5_1_1_0# 문화재청],<br/>'''공공누리 1유형'''
 +
</gallery>
  
===사진===
+
===성문의 종류===
<gallery>
 
  
파일:문화재낙산1.jpg|300px| |'''낙산에서 본 한성대 모습'''<br/>[http://archive.much.go.kr/data/JD008/folderView.do?jobdirSeq=320&idnbr=2016014164 대한민국역사박물관],<br/>'''공공누리 제1유형'''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파일:문화재낙산2.jpg|300픽셀| |'''낙산공원1'''<br/>[http://archive.much.go.kr/data/JD008/folderView.do?jobdirSeq=320&idnbr=2016014164 대한민국역사박물관],<br/>'''공공누리 제1유형'''
+
|+ 성문
 +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left|
 +
!성문||가사당암문, 대남문,대동문,대서문 ,대성문, 보국문,백운봉암문 ,부왕동암문, 북문 ,서암문 ,수문 ,용암문 ,중성문,청수동암문
  
파일:문화재낙산3.jpg|300픽셀||'''낙산공원2 '''<br/>[http://archive.much.go.kr/data/JD008/folderView.do?jobdirSeq=320&idnbr=2016014164 대한민국역사박물관],<br/>'''공공누리 제4유형'''
+
|-
  
파일:문화재낙산4.jpg||'''낙산공원 야경(by 김승호) '''<br/>[https://gongu.copyright.or.kr/gongu/wrt/wrt/view.do?wrtSn=11272119&menuNo=200018 공유마당],<br/>'''CC BY-NC-ND '''
+
|}
  
 +
====대서문====
  
파일:문화재낙산5.jpg| ''' 낙산공원3 ''' <br/>[https://www.flickr.com/photos/frame_/41775024741/in/photolist-26DvVrg-fDchDL-26DvVeT-25y6nLw-23Ty1jP-26DvVxi-26DvV9n-9vwvC1-25h45r2-9vtuzx-9vttLD-9vttzX-as48Cz-9vtsPi-as47CM-9vttYD-9vtuki-9vtsZk-9vttcZ-as6Jrm-as6J7m-26DvVDk-9vwuQs-9vwweU-as6Ghd-4W964a-wCm2n-as43BB-eUAVVj-wCm39-as46AR-wCm1p-as49pv-wCm2a-6uV9rr-4quyVX-as464t-as6Kr7-as499a-as6GLu-wCm2F-as47YB-wCm4k-wCm3J-wCm3Z-wCm1V-UcP6EK-2efTDwS-aRrSEe-23TxXKa Flickr],<br/> '''CC BY'''
+
대서문(大西門)은 북한산성에 있는 성문이다. 조선 시대 단위로 높이 11척, 넓이 13척이며, 홍예문으로 만들었다.  
  
 +
북한산성에는 6개의 대문과 7개 암문 1개 수문이 설치되었는데, 그 중 대동문(현 대성문) 다음으로 규모가 큰 문이 대서문이다. 대서문은 의상봉과 수문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성내부로 통하는 주 출입구로 사용되고 있다. ‘북한지’에 의하면 문은 홍예(虹蜺)로 만들어졌고, 초루가 설치되었다. 현재 성문의 육축부는 폭 19m, 높이 6m, 문지폭 7.9m이다. 타원형 홍예 출입구는 높이 4m, 폭 3.3m 이다. 홍예 양쪽에는 문루의 배수시설로 짐승의 얼굴을 형상화한 누혈을 하나씩 설치하였다. 문의 바깥쪽 홍예 안쪽에는 문비를 달았던 원형의 돌확구멍과 장군목을 건너질렀던 방형 구멍이 남아있다. 육축은 3단의 기초석을 쌓아 평지를 조성한 후 8단을 석축하였으며, 그 위로 미석을 한줄로 놓고 여장을 설치하였다. 여장은 하나의 화강암을 깍아서 만들었으며, 그 가운데 20×30cm의 총안이 하나씩 뚫려있다. 육축부의 서쪽에는 성벽을 약간 밖으로 내어 쌓았다. 현재의 문루는 1950년대에 복원된 것이다. <br/>[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C%84%9C%EB%AC%B8 위키백과],<br/>
  
파일:문화재낙산6.jpg||'''낙산공원 야경2(by김은주) '''<br/>[https://gongu.copyright.or.kr/gongu/wrt/wrt/view.do?wrtSn=9067920&menuNo=200018 공유마당],<br/>'''CC BY-NC-ND '''
+
<gallery>
 
 
파일:문화재낙산7.jpg||'''낙산공원4(by형지은) '''<br/>[https://gongu.copyright.or.kr/gongu/wrt/wrt/view.do?wrtSn=1002541&menuNo=200018 공유마당],<br/>'''CC BY-NC-ND '''
 
  
 +
파일:북한산성2.jpg|300px| |'''1959년 서울 북한산성 대서문'''<br/>[https://gongu.copyright.or.kr/gongu/wrt/wrt/view.do?wrtSn=13154166&menuNo=200018  공유마당],<br/>'''CC BY'''
 
</gallery>
 
</gallery>
  
===교통===
 
 
{{
 
{{
 
#display_map:
 
#display_map:
 
Seoul City;
 
Seoul City;
37.5804152,127.0066683
+
37.6109337,126.8825064
 
|service=googlemaps3
 
|service=googlemaps3
 
|width=400
 
|width=400
64번째 줄: 91번째 줄:
 
|zoom=14
 
|zoom=14
 
}}
 
}}
 +
 +
 +
====대동문====
 +
대동문(大東門)은 북한산성의 문으로, 초기의 이름은 소동문(小東門)이었다. 규모는 조선 시대 단위로 높이 9척, 너비 10척이다. 현재의 문루는 1993년도에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복원된 것이다.
 +
 +
<gallery>
 +
파일:대동문1.jpg|300px| |'''대동문 복원전'''<br/>[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3,01620000,31&pageNo=5_1_1_0#  문화재청],<br/>'''공공누리 제1유형'''
 +
파일:대동문2.jpg|300px| |'''대동문 복원후'''<br/>[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3,01620000,31&pageNo=5_1_1_0#  문화재청],<br/>'''공공누리 제4유형'''
 +
</gallery>
 +
  
 
===관련 영상===
 
===관련 영상===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t0z4dPgiiU8</youtube>
+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o3ijqNnp3rE</youtube>
 +
'''<br/>[http://www.k-heritage.tv/brd/board/229/L/CATEGORY/2372/menu/393?brdType=R&bbIdx=11845 문화재청],<br/>'''공공누리 제4유형'''
 +
 
 +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dO71_xoAbYg</youtube>
 +
'''<br/>[http://www.k-heritage.tv/brd/board/229/L/CATEGORY/2337/menu/373?brdType=R&bbIdx=11114 문화재청],<br/>'''공공누리 제4유형'''
 +
 
 +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JjV2LKH54sI</youtube>
 +
'''<br/>[http://www.k-heritage.tv/brd/board/229/L/CATEGORY/2337/menu/373?brdType=R&bbIdx=11115 문화재청],<br/>'''공공누리 제4유형'''
 +
 
 +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vw8hKdZt61g</youtube>
 +
'''<br/>[http://www.k-heritage.tv/brd/board/229/L/CATEGORY/2378/menu/372?brdType=R&bbIdx=12060 문화재청],<br/>'''공공누리 제4유형'''
 +
 
 +
=='''출처'''==
 +
 
  
'''CC-BY''' by: 서울시 · Seoul
 
  
 +
* [http://www.cha.go.kr/main.html 문화재청]'''공공누리 제1유형''','''공공누리 제4유형'''
 +
* [https://grafolio.naver.com/rhddbakekd 공유마당]'''CC BY''','''CC BY-NC-ND'''
  
*'''대중교통'''
+
* [https://www.flickr.com/ flickr]'''CC BY-SA'''
'''지하철'''
+
* [https://www.youtube.com Youtube]
*혜화역 2번 출구 도보 9분
+
* [https://www.google.co.kr/maps/place/%EC%84%9C%EC%9A%B8%ED%8A%B9%EB%B3%84%EC%8B%9C+%EC%84%B1%EB%B6%81%EA%B5%AC/@37.6023243,126.9902165,13z/data=!3m1!4b1!4m5!3m4!1s0x357cbc914445e619:0x6c9b1237a957b524!8m2!3d37.589116!4d127.0182146?hl=ko Google Maps] '''비상업적 이용 - 공정 이용 가능'''
*한성대입구 4번 출구 도보 24분
 
*창신역 1번 출구 도보 25분
 
*혜화역 마로니에 공원 도보 9분
 
  
'''버스'''
+
[[분류:북한산성]] [[분류:지식의 공유]] [[분류:대한민국의 성 ]]
*간선- 100,  102,  104,  106,  107,  108,  109,  140,  143,  150,  160,  162,  273,  301,  710,  N16
 
*지선 - 2112
 
*순환 - 91s투어
 
*마을 - 종로07, 종로08
 

2019년 12월 2일 (월) 15:41 기준 최신판

북한산성

백제가 수도를 하남 위례성으로 정했을 때 도성을 지키던 북방의 성이다.

북한산성의 위치

지도를 불러오는 중...

가는 방법

  • 구파발에서 송추행 버스를 이용하거나 불광동터미널에서 의정부행 시외버스로 산성 입구 하차

구파발3거리 → 북한산성길로 우회전 → 북한산성 입구

역사

백제 개루왕 5년(132)에 세워진 곳으로, 11세기 초 거란의 침입이 있을 때 현종이 고려 태조의 관을 이곳으로 옮겨 오기도 했다. 고려 고종 19년(1232)에 몽고군과의 격전이 있었고, 우왕 13년(1387)에 성을 다시 고쳐지었다. 조선시대에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도성 외곽을 고쳐짓자는 의견이 일어나 숙종 37년(1711) 왕명으로 토성을 석성으로 고쳐지었다. 성의 규모는 대서문, 동서문, 북문 등 13개의 성문과 불을 피우던 곳으로 동장대, 남장대, 북장대가 있었다. 성내에는 중흥사를 비롯한 12개의 사찰과 99개의 우물, 26개의 작은 저수지, 그리고 8개의 창고가 있었다. 현재 북한산성에는 삼국시대의 토성이 약간 남아 있기는 하나 대개 조선 숙종 때 쌓은 것으로 여장은 허물어 졌고, 대서문과 장대지·우물터·건물터로 생각되는 방어시설 일부가 남아있다. 이 지역은 고구려, 백제, 신라가 서로 차지하기 위해 쟁탈전을 벌였던 곳이며, 조선시대에는 도성을 지키는 중요한 곳이었다.


사진

성문의 종류

성문
성문 가사당암문, 대남문,대동문,대서문 ,대성문, 보국문,백운봉암문 ,부왕동암문, 북문 ,서암문 ,수문 ,용암문 ,중성문,청수동암문

대서문

대서문(大西門)은 북한산성에 있는 성문이다. 조선 시대 단위로 높이 11척, 넓이 13척이며, 홍예문으로 만들었다. 

북한산성에는 6개의 대문과 7개 암문 1개 수문이 설치되었는데, 그 중 대동문(현 대성문) 다음으로 규모가 큰 문이 대서문이다. 대서문은 의상봉과 수문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성내부로 통하는 주 출입구로 사용되고 있다. ‘북한지’에 의하면 문은 홍예(虹蜺)로 만들어졌고, 초루가 설치되었다. 현재 성문의 육축부는 폭 19m, 높이 6m, 문지폭 7.9m이다. 타원형 홍예 출입구는 높이 4m, 폭 3.3m 이다. 홍예 양쪽에는 문루의 배수시설로 짐승의 얼굴을 형상화한 누혈을 하나씩 설치하였다. 문의 바깥쪽 홍예 안쪽에는 문비를 달았던 원형의 돌확구멍과 장군목을 건너질렀던 방형 구멍이 남아있다. 육축은 3단의 기초석을 쌓아 평지를 조성한 후 8단을 석축하였으며, 그 위로 미석을 한줄로 놓고 여장을 설치하였다. 여장은 하나의 화강암을 깍아서 만들었으며, 그 가운데 20×30cm의 총안이 하나씩 뚫려있다. 육축부의 서쪽에는 성벽을 약간 밖으로 내어 쌓았다. 현재의 문루는 1950년대에 복원된 것이다.
위키백과,

지도를 불러오는 중...


대동문

대동문(大東門)은 북한산성의 문으로, 초기의 이름은 소동문(小東門)이었다. 규모는 조선 시대 단위로 높이 9척, 너비 10척이다. 현재의 문루는 1993년도에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복원된 것이다.


관련 영상


문화재청,
공공누리 제4유형


문화재청,
공공누리 제4유형


문화재청,
공공누리 제4유형


문화재청,
공공누리 제4유형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