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막도시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심우승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6월 16일 (수) 13:32 판 (새 문서: =='''시 소개 및 해설'''== {|class="wikitable" |[https://www.yyg.go.kr/jihun/scent/impressions?mode=view&idx=43 지훈문학관 홈페이지]로 시를 확인 가능합니다. |}...)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시 소개 및 해설

지훈문학관 홈페이지로 시를 확인 가능합니다.

이 작품에서 시인은 우리 자신의 모습이 언제 어디서나 볼 수 있는 풀잎과 별반 다를 것이 없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 풀잎과 같은 연약한 존재이면서 한편으로는 이 넓은 세상 안에 태어나 조그만 바람결에도 흔들리고 번뇌하며 서로 얼굴을 마주하고 교류하면서 살아간다. 이런 풀잎의 모습에서 새로운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게 만든다.

시인 소개

이름:김광균(金光均), 호는 우사(雨社) 또는 우두(雨杜)

1914년 (당시)경기도 개성 출생으로 시인이자 기업가이다. 1926년 『중외일보』에 「가신누님」을 발표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1930년대 『시인부락』과 『자오선』의 동인으로 활동을 하였으며 1938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설야」가 당선되면서 문단에서 확고한 위치를 확보하였다. 모더니즘 시인으로 활발히 활동하다가 6.25전쟁 이후 집안 사정으로 건설 사업을 운영하였다. 그는 1980년대 초부터 다시 작품활동을 시작하였는데 시집 『추풍귀우』(1986), 『임진화』(1989)는 성북동에 거주했던 시기에 간행한 것으로 여기에 수록된 작품 중 일부에는 성북동과 그의 집이 묘사되어 있다.

시와 관련된 이야기

시인은 집에서 시내로 나갈 때 성북동에서 혜화동으로 넘어가는 언덕에 난 길을 이용해야 했는데 성터가 남아있던 그 길을 오가며 시상을 떠올렸을 것으로 추측된다. '성터'와 '바위'는 모두 오랜 시간이 담긴 사물이다. 이에 반해 '풀잎'과 '나'는 약한 바람에도 영향을 받는 물리적으로 연약한 대상이면서 동시에 다음 구절에서 등장하는 '태초의 생명'과 '한떨기 영혼'을 내면에 담고 있는 존재이기도 하다.

시의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