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학교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기임미인지이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12월 16일 (일) 23:43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성균관대학교

소개

성균관대.png

설립자 김창숙
개교 1398년 성균관 설립 / 1946년 성균관대학교 설립
인문사회과학캠퍼스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25-2
자연과학캠퍼스 주소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서부로 2066
슬로건 Unique Origin, Unique Future
분류 사립대학교
링크 성균관대학교 공식홈페이지

교시/교목

교시

  • 仁義禮智 (인의예지)

성균관대학교의 교시인 仁義禮智는 유교의 근본정신을 말해 주고 있는 기본개념이며, 인간이 본래적으로 가지는 마음과 행동과 옳음과 슬기의 본질을 나타내 주고 있는 4가지 덕목이다.

이것은 모두 인간의 마음은 착하다는 性善的 본질을 말해 주고 있는 것으로 교육은 결국 이 성선적 마음의 본질을 열고 싹트게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仁은 사랑, 義는 옳음 ,禮는 실천, 智는 슬기이다.

교목

  • 은행나무

성균관(成均館) 안에 온 뜰을 차지하고 구름같이 솟아 퍼진 커다란 은행나무를 볼 수 있다. 한말(韓末) 우리 겨레의 설움을 보았을 뿐 아니라 임진왜란(壬辰倭亂)도 겪고 좀 더 젊어서는 국태민안(國泰民安)한 시절, 나라의 준총이 청운(靑雲)의 뜻을 품고 명륜당(明倫堂)에 모여 글 읽던 것을 본 기억도 가진 나무다. 이젠 하도 늙어 몇 아름 되는 줄기 한 구석에는 동혈(動血)이 생겨 볼상 없이 시멘트로 메워져 있지만, 원기는 여전히 왕성하여 묵은 잎새 거센 가지에 웬만한 바람이 불어서는 끄떡도 하지 않는 품이, 쓴맛 단맛 다 보고, 청탁을 가리지 않고 모든 것을 받아들이는 거룩한 성자의 모습이다. - 이양하의 '나무의 위의(威儀)' 중에서

  1. 강인한 생명력이다.
  2. 올곧은 선비의 기품이다.
  3. 널리 인간에게 이로운 弘益人間(홍익인간)의 정신이다.

건학이념

  • 修己治人(수기치인)

성균관대학교는 인간의 존엄성을 토대로 자기 완성과 인류평화의 달성을 목표로 하는 수기치인의 유교정신을 건학이념으로 하고 있다. 유교정신은 현실생활에 있어서의 실천도덕과 철저한 인본주의 사상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인격도야와 학문연마를 통하여 인륜대도를 밝히고 인류공동의 이념구현에 공헌할 수 있는 국가동량의 인재를 길러내는데, 교육의 목표를 두고 있다.

심볼마크

심볼마크.jpg

  • 은행잎

성균관대의 교목은 은행나무로, 명륜당에는 600년이 넘은 은행나무가 있다. 은행잎은 역동의 발판이 되는 성균관대의 유구한 역사와 훌륭한 정신을 의미한다.

  • 4개의 빛

은행잎에 있는 초록색 빛은 성균관대의 교시인 인의예지를 상징한다. 나아가 인의예지 정신을 현대적으로 계승하여 미래를 혁신적으로 개척하는 것을 의미한다.

  • 1398

1398년, 태조 이성계는 서울의 숭교방에 국립최고학부인 성균관을 설립하였다. 이를 시작으로 성균관대학교는 600년이 넘는 역사를 이어오고 있다.

  • S

은행잎과 연결되는 S는 Sungkyunkwan, Spirit, Success의 이니셜인 'S' 를 상징한다. 이는 역사와 미래 그리고 성균관대와 세계를 연결하는 다리이자, 급변하는 세계변화에 능동적으로 앞장서는 진취적인 성균인을 의미한다.

직접 찍은 성균관대 모습들

1111111.jpg 2222222.jpg 3333333.jpg

4444444.jpg 5555555.jpg

6666666.jpg 7777777.jpg 8888888.jpg

역사

약사

우리나라 국립 최고학부에 관한 가장 오래 된 기록은 고구려 소수림왕 2년(서기 37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이 해 수도에 태학을 설립해서 자제들을 교육하기 시작한 것으로 되어 있다. 왕조시대 유일한 국립대학이었던 본교의 역사는 바로 이 고구려의 태학과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그러나 본교에서는 건학원년을 서기 1398년으로 잡고 있다. 그 이유는 성균관이라는 교명과 현 학교 위치를 고려해서이다. 즉 조선조 개국후 태조 이성계는 한양에 도읍을 정하고 중앙의 국립최고학부의 개설을 서둘러 동북방 숭교방(현 명륜캠퍼스 위치)에 성균관을 설립했으니, 이가 바로 본 대학교의 개교다.

유교를 건국이념으로 해서 국립 최고학부로 설립된 본 대학교는 역사의 변천에 따라 크게 고전대학시대와 근대대학시대로 나눌 수 있다. 그 중에 고전대학시대는1398년에서 1894년까지를 말하며, 그 시대에는 전통적인 유학교육이 행해졌고, 제도적 운영도 고전적이었다. 그리고 근대대학시대는 1895년에서 현재까지를 말하며, 이 시대에는 유교이념에 기본을 두고 학문분야를 확대하여 유학 이외에 근대학문이 요구하는 광범위한 교육이 행해지고 제도적 운영도 근대적인 것으로 전환 발전하여 왔다.

고전대학시대 다시 고전대학시대를 다음과 같이 3기로 나눌 수 있다. 제1기는 건학기로 1398년에서 1494년까지, 즉 태조때 성균관의 건립로부터 성종때까지가 이에 해당된다. 그 시기에는 성균관의 건립과 더불어 제도상의 정비, 운영상의 시책이 적극적으로 베풀어져 최고 국립대학의 체제가 완성되었다.

제2기는 정체기로 1495년에서 1724년까지, 즉 연산군 때부터 경종때 까지가 이에 해당한다. 그 시기에는 연산군의 폭정 가운데 하나로 성균관을 한때 유연소로 삼았다가 중종이 즉위하면서 그것을 복구한 한심스러운 일이 있었다. 또 선조때에는 임진왜란으로 성균관이 온통 소실되었다가 선조34년에 문묘가 재건되고 다시 5년 후에는 명륜당이 중건되는 곡절을 겪었다.

제3기는 부흥기로 1725년에서 1894년까지, 즉 영조 때부터 갑오경장 때까지가 이에 해당된다. 이 시기에는 정치적, 문예적 부흥기를 맞아 성균관의 교육도 자못 활기를 띠었고, 또 실학자들에 의하여 교육제도에 대한 개혁론도 활발히 전개되었다.

근대대학시대 근대대학시대도 크게 3기로 나눌 수 있는데 제1기는 개화기, 제2기는 수난기, 제3기는 발전기로 나눌 수 있다. 그 중에 개화기는 1895년에서 1910년까지, 즉 을미년 성균관이 근대적인 대학으로 발족한 때부터 일제에 의한 국권침탈 때까지가 이에 해당된다.

1895년 칙령으로 성균관에 3년제 경학과를 설치하고 역사학, 지리학, 수학 등 각종 강좌를 개설하는 동시에 교수임명제, 입학시험제, 졸업시험제를 실시하고 학기제, 연간의 수업일수, 주당 강의시간수를 책정하는 등, 제도상 근대적인 개혁을 단행하였다. 그리하여 성균관은 고전대학으로부터 근대대학으로 일대 전환을 이루게 되었다.

수난기는 1910년 일제에 의하여 경학원 안에 명륜학원이 설치되고, 다시 명륜전문학원이 되었다가 1939년 명륜 전문학교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이 고등학교기관은 과거 최고국립대학인 성균관의 정통을 계승한 것으로는 볼 수 없다. 그 정통의 계승은 후에 성균관대학의 설립으로 실현되는 것이다. 그조차도 명륜전문학교는 민족해방 1년전인 1944년 명륜연성소로 개편되어 그 빛을 잃게 되었다.

현대대학시대 발전기는 1945년 민족해방으로부터 현재까지이다. 제1시기는 성장기, 제2시기로 발전기, 제3시기로 확충기를 들 수 있다.

성장기는 단과대학시대라 할 수 있는데, 1945년에서 1953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발전하기 직전까지가 이에 해당된다. 이 시기에는 우선 1945년 9월 민족해방과 더불어 명륜전문학교를 부활시켰다. 명륜전문학교는 과거 성균관의 정통을 계승한 것은 아니었지만 형식상 절차로 어찌할 수가 없었다. 그리하여 1945년 11월 전국유림대회가 열리고, 뒤이어 과거 성균관의 정통을 계승할 대학의 수립을 위하여 성균관대학 기성회가 조직되어 심산 金昌淑선생이 대표가 되었다.

이러한 성균관대학이 출범하려는 데에 있어서 학봉 李錫九선생이 재단법인 학린사의 거대한 토지재산을 희사하게 되고, 거기에 종전의 명륜전문학교 재단을 통합하여 재단법인 성균관대학을 조직하게 되어, 1946년 9월 25일 문교부로부터 성균관대학이 정식으로 인가되었다.

이렇게 과거 성균관의 정통을 계승하여 출범한 성균관대학은 문학부와 정경학부의 2개학부였는데 동양철학과, 문학과(국문학전공, 영문학전공, 불문학전공), 사학과가 문학부에 속하고 법률학과, 정치학과, 경제학과가 정경학부에 속하였다. 그러나 1950년 6·25전란으로 대학은 부산으로 피난하여 부산고등학교 안의 임시 천막교사로, 부산시 동대신동의 임시교사로 전전하지 않을 수 없었다.

위인

이황.png 퇴계이황 1501(연산군 7)∼1570(선조 3).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퇴도(退陶)·도수(陶馬). 경상도 예안현(禮安縣) 온계리(溫溪里 :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에서 좌찬성 식(埴)의 7남 1녀 중 막내아들로 태어났다. 생후 7개월에 아버지의 상(喪)을 당했으나, 현부인이었던 생모 박씨의 훈도 밑에서 총명한 자질을 키워 갔다. 12세에 작은아버지 우(屛)로부터 ≪논어≫(論語)를 배웠고, 14세 경부터 혼자 독서하기를 좋아해, 특히 도잠(陶潛)의 시를 사랑하고 그 사람됨을 흠모하였다.
이이.png 율곡이이 1536(중종 31)∼1584(선조 17). 조선 중기의 학자·정치가.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숙헌(叔獻), 호는 율곡(栗谷)·석담(石潭)·우재(愚齋). 강릉 출생. 아버지는 증 좌찬성 원수(元秀)이며, 어머니는 현모양처의 사표로 추앙받는 사임당 신씨(師任堂申氏)이다. 아명을 현룡(見龍)이라 했는데, 어머니 사임당이 그를 낳던 날 흑룡이 바다에서 집으로 날아 들어와 서리는 꿈을 꾸었다 하여 붙인 이름이다. 그 산실(産室)은 몽룡실(夢龍室)이라 하여 지금도 보존되고 있다.
정약용.png 다산 정약용 1762(영조 38)∼1836(헌종 2). 조선 후기의 실학자. 자는 미용(美鏞). 호는 다산(茶山)·사암(俟菴)·여유당(與猶堂)·채산(菜山). 근기(近畿) 남인 가문 출신으로, 정조(正祖) 연간에 문신으로 사환(仕宦)했으나, 청년기에 접했던 서학(西學)으로 인해 장기간 유배생활을 하였다. 그는 이 유배기간 동안 자신의 학문을 더욱 연마해 육경사서(六經四書)에 대한 연구를 비롯해 일표이서(一表二書 : 經世遺表·牧民心書·欽欽新書) 등 모두 500여 권에 이르는 방대한 저술을 남겼고, 이 저술을 통해서 조선 후기 실학사상을 집대성한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신채호.png 단재 신채호 1880(고종 17)∼1936. 조선 말기·일제강점기의 역사가·언론인·독립운동가. 본관은 고령(高靈). 호는 일편단생(一片丹生)·단생(丹生) 혹은 단재(丹齋). 필명은 금협산인(錦頰山人)·무애생(無涯生)·열혈생(熱血生)·한놈·검심(劍心)·적심(赤心)·연시몽인(燕市夢人), 가명은 유맹원(劉孟源). 충청남도 대덕군 산내에서 출생하였고, 충청북도 청원에서 성장하였다. 신숙주(申叔舟)의 후예로 아버지는 광식(光植)이다.
김창숙.png 심산 김창숙 선생의 본관은 의성(義城), 이름은 창숙(昌淑), 심산(心山)은 그의 호(號)이다. 훗날 왜경에 잡혀 옥고를 치르던 중 고문으로 하체가 부자유스러워지자 남들이 벽옹(앉은뱅이 노인)이라 불렀는데 선생도 따라서 스스로를 벽옹이라 하였다.


위치

지도

지도를 불러오는 중...

캠퍼스맵

캡퍼스맵선딴거.png

  • 자세히 보면 캠퍼스맵따라 그려진 빨간 선이 삐뚤빼뚤거리는데 손으로 그려서 그렇다.....

건물

정문.jpg 정문 성균관대학교 인문사회과학캠퍼스의 정문이다.
명륜당.jpg 명륜당 보물 제141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맹자』 등문공편(滕文公篇)에 “학교를 세워 교육을 행함은 모두 인륜을 밝히는 것이다.”라 한데서 유래하여 '명륜당'이라 명명하였다. 조선시대 성균관 유생들의 강의와 시험 장소, 국왕의 강연과 과거, 왕세자 입학 같은 중요한 행사를 이곳에서 행했다.
대성전.jpg 대성전 공자의 위패를 모신 곳으로, 전국 231개의 향교 중 성균관 대성전은 특별히 남북으로 4영(楹), 동서로 5영(楹)의 20칸 규모에 전당후실(前堂後室) 양식을 지닌 사당이다. 보물 제 141호.
비천당.jpg 비천당 조선시대 성균관의 별당으로, 성균관 재생(齋生)들의 학습장소로 사용되거나 임금이 성균관에 친림(親臨)하여 과거를 시행할 때 시험장소로 사용되던 곳이다.
킹고하우스.jpg 킹고하우스(K-하우스) 성균관대학교 K-하우스는 여학생 및 법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을 위한 기숙사로, 약 260여명의 학생을 수용할 수 있으며, 학교와 도서관이 매우 가깝게 위치하고 있다.
인터내셔널하우스.jpg 인터내셔널하우스(I-하우스) 성균관대학교 I-하우스는 외국인 교환학생 전용 기숙사이며, 100여명의 학생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이다. 2인실로 이루어져 있으며 안락한 분위기와 학교와 가깝다는 장점이 있다.
금잔디광장.jpg 금잔디광장 경영관 앞마당에 조성된 광장으로, 사계절 푸르른 잔디밭을 자랑하고 있다. 매년 개최되는 대동제(축제)나 주요 외부 행사를 개최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옥류정.jpg 옥류정 성균관대학교 후문 근처에 위치하고 있는 정자이다. 종로03 버스의 종점이기도 하다.
유림회관.jpg 유림회관 성균관의 유림회관으로, 현재 성균관사무처 및 파티움성균관(웨딩홀), 우리은행 성균관대학교지점이 위치해있다.
후문.jpg 후문 성균관대학교 인문사회과학캠퍼스의 후문이다. 와룡공원과 맞닿아 있다.
600주년 기념관.jpg 600주년 기념관 건학 6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서 1999년 11월에 완공되었다. 총장실, 부총장실을 비롯한 대학본부가 자리잡고 있으며, 각종 행사를 위한 대규모 공연장인 새천년홀과 조병두국제홀이 있다. 이 밖에 패컬티식당과 은행골, SUBWAY와 도미노피자가 입점해 있고, 수시로 전시회를 개최하는 박물관과 동아시아 연구의 메카인 동아시아학술원이 위치하고 있다.
법학관.jpg 법학관 법학전문대학원 및 글로벌리더학부가 위치한 건물로 2004년에 준공되었으며, 지하 3층 및 지상 5층의 규모를 자랑한다. 모의법정, 법학도서관, 법고을식당, 명인만두 등이 자리하고 있다.
교수회관.jpg 교수회관 1964년 건립되었으며, 강의실과 교수연구실, 옥류천식당이 위치해 있다.
호암관.jpg 호암관 1969년 건립된 지상 12층 규모의 건물로 학부대학과 사범대학, 교육대학원이 사용한다. 강의공간 및 학군단, 교수 연구실이 위치해 있으며, 대학언론사무국과 성대방송국이 자리잡고 있다.
중앙학술정보관.jpg 중앙학술정보관 조선 제9대 성종 6년(1475)에 국학의 문고로 건축되어 유생들의 학문연구를 뒷받침해온 우리나라 최초의 도서관인 존경각(尊經閣). 이를 모체로 하는 중앙학술정보관은 국내서 약 65만권, 국외서 약 40만권으로 120만권에 가까운 많은 도서를 소장하고 있으며, 디지털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복합문화공간이자, 지능정보사회에 걸맞는 도서관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학생회관.jpg 학생회관 총학생회, 학생복지위원회 등 학생자치기구 사무실과 70여개에 이르는 동아리연합회 소속의 동아리방들이 자리잡고 있다. 아픈 교내 구성원들을 위한 건강센터와 휴게실도 마련되어 있다.
국제관.jpg 국제관 국제관은 2009년에 준공되었으며, SKK GSB/GSC 및 글로벌경영/경제학과 학생들의 강의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신식 멀티미디어 강의실과, 30여 개가 넘는 세미나룸, 약 200명까지 수용이 가능한 리셉션홀 등이 마련되어 있어 학생들의 학업과 그룹프로젝트 뿐만 아니라 국제세미나 및 리셉션 등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양현관.jpg 양현관 국가에 이바지하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행정관료, 기술관료, 외교관, 공인회계사, 변리사, 언론인 등이 되고자 노력하는 학생들의 면학과 수험생활을 지원하기 위하여 1986년 처음 설립되었다. 2016년 리모델링을 마쳐 훨씬 더 쾌적한 환경에서 약 600여명의 성균인들이 학업에 정진하고 있다.
퇴계인문관.jpg 퇴계인문관 조선 최고의 학자인 동시에 교육자였던 퇴계(退溪) 이황 선생의 뜻을 기리기 위해서 1993년 건립된 건물로, 지상 7층 규모를 가진다. 유학/문과대학 학생들이 주로 사용하며, 다산경제관 2층부터 5층까지 매 층마다 연결되어 있고, 교수 연구실과 다양한 규모의 강의실, 학생회실 및 CU 편의점이 마련되어 있다.
다산경제관.jpg 다산경제관 시대를 앞선 탁월한 정치경제 사상가였던 다산(茶山) 정약용 선생의 정신과 업적을 기리기 위해 1993년에 건립되었다. 교수 및 대학원생들의 연구실, 학생회실 및 휴게실, Creative-Smart Zone, 학생 상담을 위한 카운슬링센터 및 인권센터 등이 위치하며, 한국어 및 외국어 강좌를 운영하는 성균어학원이 자리잡고 있다.
경영관.jpg 경영관 2000년 1월 건립되었으며, 지하 4층, 지상 5층 건물에 현대식 학습시설을 갖춘 첨단강의실과 경영대학 및 IMBA,EMBA의 강의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학생들의 취업 전반을 돕는 학생인재개발팀과 경제/경영대학행정실이 위치하고 있으며, 세미나실 및 도서관 등의 학습공간과 성균마당, 금잔디식당, 맘스터치, 국대떡볶이, 카페(ttt,사랑방), 서점, 사진관, 박준뷰티랩 등의 편의시설과 소극장, 원형극장, 체력증진센터 등 다양한 복지시설이 자리한다.
수선관.jpg 수선관 예술대학과 사회과학대학이 사용하는 건물로 1974년 준공되었다. 사진실, 스튜디오, 편집실, 화실 등의 다양한 실습공간 및 강의실이 위치하며, 옥상공원 및 매점 등의 쉼터가 조성되어 있다. 1996년에 별관이 신축되어 무용장, 검도장 등의 체육시설 및 최신식 세미나실이 들어섰다.

편의 및 복지

식당

  • 패컬티 식당 (600주년기념관 6층)
  • 은행골 (600주년기념관 지하1층)
  • 법고을 식당 (법학관 2층)
  • 옥류천 식당 (교수회관 1층)
  • 금잔디 식당 (경영관 지하2층)

카페

  • 사랑방 (경영관 지하3층 카페(사랑방))
  • 마이도시 (경영관 지하2층 학생식당)
  • 팬도로시 (국제관 1층 카페)
  • Take-Out 커피점 (다산경제관 1층)
  • 레브 (수선관(별관) 1층)

셔틀버스

정류장

혜화역 1번출구

→ 학교진입로 앞 정류소(올레AS센터 성균관대입구점 맞은편)

→ 성균관대학교 정문

→ 600주년 기념관

→ 정차소(농구장옆)

요금

현금 300원

회수권 300원(농구장 옆 매표소 판매)

교내에서 학생증 충전시 300원

운행시간

평일 07:00 ~ 23:00

토요일 07:00 ~ 19:00

꿀팁

공부하기 좋은 장소

  • 경영관 사랑방

- 넓은 공간(70석)

- 실내 좌석 석

- 콘센트 별 쪽 좌석에 설치(12석)


  • 카페 팬도로시

- 국제관 1층

- 넓은 공간

- 실내 95석, 실외 16석


  • 국제관 라운지

- 약 20석

- 팀플 및 과제하기 적합

- 콘센트는 기둥 옆에 1~2구 씩 붙어있음.


  • 법학 도서관

- 컴퓨터 24대 - 좌석 32석, 자유좌석

- 자료 대출 가능

- 매우 조용한 분위기


  • 인문관 열람실

- 3인용 독서실 책살, 다인용/1인용 책상

- 배정 없이 자유 착석

- 총 45석

- 노트북 사용 금지


  • 경영관 열람실

- 독서실 책상 형태 열람실

- 학부열람실은 총 492석

- 좌석 배정 후 사용

- 책상 별 스탠드 비치


  • 중앙학술정보관

관련 영상

내 친구의 학교에 놀러 가봤다! 성균관대편 / [대학내일]

[성균관 유생의 일상 EP.05] 성균관대학교 투어 📚 + 미니 하울 / skku tour + mini haul

[하이틴TV] 하늘에서 본 대학_성균관대학교(인문사회캠퍼스)

[본격 대학투어, 캠프어스] 성균관대학교편 EP.01, 연고대보다 높네?

교통

버스

  • 종로 02번 (왕복, 수선관위 후문 앞 옥류천정류장 출발)

후문옥류천 → 감사원 → 정독도서관(신한은행) → 안국전철역(2번출구) → 낙원상가 → 종각전철역(2,3번출구) → 인사동 → 낙원상가 → 안국전철역 → 정독도서관(신한은행) → 감사원 → 후문옥류천

  • 종로 08번 (편도, 양현관 앞 출발)

명륜3가 → 양현관 →명륜새마을금고 → 아남아파트 → 혜화역(4번출구,혜화동사무소앞) → 종로5가역 → 혜화역(1번출구,학교셔틀정류장) → 명륜새마을금고 → 양현관 → 명륜3가

  • 대학로 07번 (4호선 혜화역 1번출구 출발)
  • 간선(파랑) 버스

102, 104, 106, 107, 108,109, 140, 143, 149, 150, 151, 160, 162, 171, 172, 272, 273, 301

  • 지선(초록) 버스

2112

지하철

  • 지하철 4호선 혜화역 4번 출구

출구로 나와서 도보로 가거나 1번 출구로 나오셔서 셔틀버스를 이용하면 된다.
  • 지하철 3호선 안국역, 종각역

안국역 2번 출구로 나오거나 종각역 2,3번 출구로 나와서 마을버스 종로-2번을 이용하여 학교 내부까지 가면 된다.

주변

주변 대학교

  • 성신여자대학교
  • 서울대학교 연건캠퍼스
  • 홍익대학교 대학로캠퍼스
  • 가톨릭대학교
  • 서울여자대학교 대학로캠퍼스
  • 상명대학교

주변 명소

-마로니에공원

-아르코미술관

-혜화필리핀마켓

-이화마을

출처

  • 위대한 성균인 사진

https://www.skku.edu/skku/about/s620/sub06_01.do

  • 건물 사진

https://www.skku.edu/skku/about/campusInfo/campusMap.do

  • 직접 찍은 성균관대 사진

기임미인지이의 핸드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