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등장 작품)
37번째 줄: 37번째 줄:
 
경연에는 연로한 대신 뿐 아니라 나이가 어린 문신들이 많이 참여하였기 때문에 경연에서의 현안 논의는 대신이 아닌 신진관원들의 의견을 국왕이 직접 들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었다.
 
경연에는 연로한 대신 뿐 아니라 나이가 어린 문신들이 많이 참여하였기 때문에 경연에서의 현안 논의는 대신이 아닌 신진관원들의 의견을 국왕이 직접 들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었다.
 
이러한 경연에서의 국정논의는 성종대 경연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성종의 문치주의(文治主義)를 잘 보여주는 예시였다.
 
이러한 경연에서의 국정논의는 성종대 경연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성종의 문치주의(文治主義)를 잘 보여주는 예시였다.
 +
 +
=='''활동'''==
 +
성종은 이전의 국왕들과 달리 불교에 대해 상당히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대표적인 것이 승려가 될 수 있는 자격증인 도첩 발급을 혁파한 것이었다. 승려가 되고자 하는 사람이 일정한 금액을 나라에 내면 이에 대해 승려가 될 수 있는 자격증, 즉 도첩을 내려주는 것이 당시의 제도였다. 경우에 따라서는 나라에 토목공사 등이 있을 경우 무허가 승려들을 모아 공사를 진행한 후에 대가로 도첩을 발행해주는 경우도 있었다. 이에 대해 유교적 지식인들 대부분이 비판적인 입장이었지만, 대비를 비롯한 왕실은 불교에 호의적이었기 때문에 도첩제도는 쉽사리 폐지되지 않았다. 그러나 성종은 도첩제도의 중지를 결정하였고, 이에 따라 조선에서는 합법적 방식으로 승려가 될 수 있는 길이 차단되었다. 이에 대해 인수대비가 재고해 줄 것을 청하기도 하였으나, 결국 폐지하는 것으로 결정하게 되었다. 도첩제 폐지는 성종에 대한 후대의 평가에서 성종을 유교에 충실한 군주로 칭하게 되는 중요한 근거가 되는 일이었다
  
 
=='''계승'''==
 
=='''계승'''==

2018년 12월 9일 (일) 22:46 판

소개

조선 제9대 왕 출생-사망 1457년 ~ 1494년

재위기간 1469년 ~ 1494년

가족관계 왕비 공혜왕후(恭惠王后), 정현왕후(貞顯王后), 아버지 덕종(德宗), 어머니 소혜왕후(昭惠王后)

출생

성종의 이름은 혈(娎)이며, 1457년(세조 3년) 세조의 큰 아들이었던 덕종(조선)(德宗)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뒷날 인수대비(仁粹大妃)가 된 한씨로, 좌의정을 역임하였던 한확(韓確)의 딸이었다. 성종은 태어난 지 두 달 만에 아버지인 의경세자가 사망하였는데, 세자는 성종을 매우 총애하여 궁중에서 성종을 양육하였다. 성종은 다섯 살이 되던 1461년(세조 7년) 자산군(者山君)에 봉해졌다. 1468년(예종 즉위년)에는 세 살 위인 형 월산군(月山君)과 더불어 종친 직품 중 최고등급인 정1품 현록대부(顯祿大夫)에 올랐다.

생애

성종은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학문을 게을리 하지 않았는데, 국정을 운영하는 것에도 성종의 이러한 성향이 잘 드러났다.

성종은 하루 세 번 경연을 열어 관원들과 학문을 토론하였다. 본래 하루 세 번 경연은 세종대 실시된 바 있었다. 그러나 이후 세조대에는 세조 스스로가 학문을 좋아하지 않아 경연 자체가 자주 열리지 못하였다. 성종은 왕위에 오른 직후부터 꾸준히 경연에 참석하였고, 조강, 주강, 석강의 하루 세 번 경연을 정례화하였다.

특히 성종대 경연의 특징은 국정 현안의 문제들을 경연의 자리에서 논의하였다는 것이다. 주로 경연에서 교재를 읽고 토론하는 것을 마친 후에, 혹은 당시 현안과 관련되는 내용이 경연 내용으로 제시될 때 당시 참여한 경연관들에게 의견을 묻고 경청하였던 것이다.

경연에는 연로한 대신 뿐 아니라 나이가 어린 문신들이 많이 참여하였기 때문에 경연에서의 현안 논의는 대신이 아닌 신진관원들의 의견을 국왕이 직접 들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었다. 이러한 경연에서의 국정논의는 성종대 경연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성종의 문치주의(文治主義)를 잘 보여주는 예시였다.

활동

성종은 이전의 국왕들과 달리 불교에 대해 상당히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대표적인 것이 승려가 될 수 있는 자격증인 도첩 발급을 혁파한 것이었다. 승려가 되고자 하는 사람이 일정한 금액을 나라에 내면 이에 대해 승려가 될 수 있는 자격증, 즉 도첩을 내려주는 것이 당시의 제도였다. 경우에 따라서는 나라에 토목공사 등이 있을 경우 무허가 승려들을 모아 공사를 진행한 후에 대가로 도첩을 발행해주는 경우도 있었다. 이에 대해 유교적 지식인들 대부분이 비판적인 입장이었지만, 대비를 비롯한 왕실은 불교에 호의적이었기 때문에 도첩제도는 쉽사리 폐지되지 않았다. 그러나 성종은 도첩제도의 중지를 결정하였고, 이에 따라 조선에서는 합법적 방식으로 승려가 될 수 있는 길이 차단되었다. 이에 대해 인수대비가 재고해 줄 것을 청하기도 하였으나, 결국 폐지하는 것으로 결정하게 되었다. 도첩제 폐지는 성종에 대한 후대의 평가에서 성종을 유교에 충실한 군주로 칭하게 되는 중요한 근거가 되는 일이었다

계승

세 왕비와 여덟 후궁에게서 아들 19인과 딸 11인을 낳았다.

제10대 왕 연산군은 폐비 윤씨의 아들이며 제11대 중종이 된 진성대군(晉城大君) 이역(李懌)은 정현왕후 윤씨의 아들이다.

등장 작품

TV속의 작품

《사모곡》 (TBC, 1972년 배우:이묵원)

《설중매》 (MBC, 1984년~1985년 배우:길용우)

《한명회》 (KBS, 1994년 배우:박진성, 아역:최강원, 고동현)

《장녹수》 (KBS, 1995년 배우:현석)

《왕과 비》 (KBS, 1998년~2000년 배우:이진우, 아역:김민우)

《왕과 나》 (SBS, 2007년~2008년 배우:고주원, 아역:유승호)

《인수대비》 (JTBC, 2012년~2013년 배우:백성현, 아역:최원홍, 이태우)

《역적》 (MBC, 2017년 배우:최무성)

《7일의 왕비》 (KBS, 2017년 배우:김정학)


영화

윤순홍 - 1985년 《어우동》 영화

윤양하 - 1988년 《연산일기》 영화

유장영 - 2015년 《어우동》 영화

참고문헌

한국민족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9554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A1%B0%EC%84%A0_%EC%84%B1%EC%A2%85#평가와_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