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하일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저자' 박지원(朴智元))
17번째 줄: 17번째 줄:
  
 
==='저자' 박지원(朴智元)===
 
==='저자' 박지원(朴智元)===
[[파일:박지원.jpg|300픽셀]]'''박지원 초상화'''<ref>위키백과 CC0 https://ko.m.wikipedia.org/wiki/%EB%B0%95%EC%A7%80%EC%9B%90_(1737%EB%85%84)</ref>  
+
[[파일:박지원.jpg|300픽셀]]<ref>위키백과 CC0 https://ko.m.wikipedia.org/wiki/%EB%B0%95%EC%A7%80%EC%9B%90_(1737%EB%85%84)</ref>  
 +
'''박지원 초상화''' 
  
 
조선 후기, 정조 대의 실학자 겸 소설가이다.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미중(美仲) 또는 중미(仲美), 호는 연암(燕巖), 연상(煙湘), 열상외사(洌上外史)이고, 시호는 문도(文度)이다.  
 
조선 후기, 정조 대의 실학자 겸 소설가이다.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미중(美仲) 또는 중미(仲美), 호는 연암(燕巖), 연상(煙湘), 열상외사(洌上外史)이고, 시호는 문도(文度)이다.  

2019년 12월 2일 (월) 12:46 판

개요

열하일기.jpg[1]

[2]


≪열하일기(熱河日記)≫는 조선시대 정조시기의 실학자인 연암 박지원이 저술한 기행문집이다. 1780년(정조 4) 저자가 청나라 건륭제(乾隆帝)의 칠순연(七旬宴)을 축하하기 위하여 사행하는 삼종형 박명원(朴明源)을 수행하여 청나라 고종의 피서지인 열하를 여행하고 돌아와서, 청조치하의 북중국과 남만주일대를 견문하고 그 곳 문인·명사들과의 교유 및 문물제도를 접한 결과를 소상하게 기록한 연행일기이다.

연민 이가원이 소장하여 오다가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사상가 및 서화가들이 남긴 서적 서화골동품등 문화재급 유품 3만여점을 1986년 12월 22일 기증한 자료 중에 하나인데 단국대학교 연민문고에 친필본이 소장되어 있다.

간본(刊本)으로는 1901년 김택영이 ≪연암집≫ 원집에 이어 간행한 동 속집 권1·2(고활자본)에 들어 있고, 1911년 '광문회'에서 A5판 286면의 활판본으로 간행하였다.

1932년 박영철이 간행한 신활자본 ≪연암집≫ 별집 권11∼15에도 전편이 수록되어 있다. 보유편도 있고 1956년 자유중국의 대만대학에서 동 대학 소장본을 영인한 것도 있다.

열하일기 전문(한국고전종합DB)

'저자' 박지원(朴智元)

박지원.jpg[3] 박지원 초상화

조선 후기, 정조 대의 실학자 겸 소설가이다.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미중(美仲) 또는 중미(仲美), 호는 연암(燕巖), 연상(煙湘), 열상외사(洌上外史)이고, 시호는 문도(文度)이다. 한양의 명문 양반가에서 태어났다. 그의 조부 박필균(朴弼均)은 지돈녕부사 등 고위 관직을 지냈으며, 장간(章簡)이라는 시호까지 받은 인물이다. 박지원은 젊은 시절부터 뛰어난 문학적 재능을 드러내어 장래가 매우 촉망되었다. 그러나 혼탁한 정치현실과 양반사회의 타락상을 혐오해서 과거에 응시하지 않고, 오랫동안 재야의 선비로 지내면서 창작과 학문에만 전념했다. 50대 이후 비로소 벼슬길에 나서 안의 현감, 면천 군수, 양양 부사 등을 역임했다.

당시 홍대용·박제가 등과 함께 중상주의를 주장하며 청나라의 문물을 배워야 한다는 이른바 북학파(北學派)의 영수로 이용후생의 실학을 강조하였으며, 특히 자유기발한 문체를 구사하여 여러 편의 한문소설을 발표, 당시의 양반계층 타락상을 고발하고 근대사회를 예견하는 새로운 인간상을 창조함으로써 많은 파문과 영향을 끼쳤다. 이덕무·박제가·유득공·이서구 등이 그의 제자들이며 정경대부가 추증되었다. 저서에 《연암집》 《과농소초》, 《한민명전의)》 등이 있고, 작품에 《허생전》, 《호질》, 《마장전》, 《예덕선생전》, 《민옹전》, 《양반전》 등이 있다.

내용 및 구성

열하일기는 총 26권 10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권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강록>은 압록강으로부터 랴오양(遼陽)에 이르는 15일간의 기록으로 성제(城制)와 벽돌 사용 등의 이용후생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성경잡지>는 십리하(十里河)에서 소흑산(小黑山)에 이르는 5일간에 겪은 일을 필담(筆談) 중심으로 엮고 있다.

<일신수필>은 신광녕(新廣寧)으로부터 산하이관(山海關)에 이르는 병참지(兵站地)를 중심으로 서술되어 있다.

<관내정사>는 산하이관에서 연경(燕京)에 이르는 기록이다. 특히 백이(伯夷)·숙제(叔齊)에 대한 이야기와 <호질>이 실려 있는 것이 특색이다.

<막북행정록>은 연경에서 열하에 이르는 5일간의 기록이다.

<태학유관록>은 열하의 태학(太學)에서 머무르며 중국학자들과 지전설(地轉說)에 관하여 토론한 내용이 들어 있다.

<구외이문>은 고북구(古北口) 밖에서 들은 60여 종의 이야기를 적은 것이다.

<환연도중록>은 열하에서 연경으로 다시 돌아오는 6일간의 기록으로 교통제도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금료소초>는 의술(醫術)에 관한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옥갑야화>는 역관들의 신용문제를 이야기하면서 허생(許生)의 행적을 소개하고 있다. 뒷날에 이 이야기를 <허생전>이라 하여 독립적인 작품으로 거론하였다.

<황도기략>은 황성(皇城)의 문물·제도 약 38종을 기록한 것이다.

<알성퇴술>은 순천부학(順天府學)에서 조선관(朝鮮館)에 이르는 동안의 견문을 기록하고 있다.

<앙엽기>는 홍인사(弘仁寺)에서 이마두총(利瑪竇塚)에 이르는 주요명소 20군데를 기술한 것이다.

<경개록>은 열하의 태학에서 6일간 있으면서 중국학자와 대화한 내용을 기록하였다.

<황교문답>은 당시 세계정세를 논하면서 각 종족과 종교에 대하여 소견을 밝혀놓은 기록이다.

<행재잡록>은 당시 청나라 고종의 행재소(行在所)에서 견문한 바를 적은 것이다. 그 중 청나라가 조선에 대하여 취한 정책을 부분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반선시말>은 청나라 고종이 반선(班禪)에게 취한 정책을 논한 글이다.

<희본명목>은 다른 본에서는 <산장잡기> 끝부분에 있는 것으로 청나라 고종의 만수절(萬壽節)에 행하는 연극놀이의 대본과 종류를 기록한 것이다.

<찰십륜포>는 열하에서 본 반선에 대한 기록이다.

<망양록><심세편>은 각각 중국학자와의 음악에 대한 토론내용과 조선의 오망(五妄), 중국의 삼난(三難)에 대한 것을 기록한 것이다.

<곡정필담>은 주로 천문에 대한 기록이다. <동란섭필>은 가악(歌樂)에 대한 잡록이며, <산장잡기>는 열하산장에서의 견문을 적은 것이다.

<환희기><피서록>은 각각 중국 요술과 열하산장에서 주로 시문비평을 가한 것이 주요내용이다.

특징 및 평가

현재 남아있는 《열하일기》의 필사본은 아홉 종. 당시 이 책이 얼마나 대단한 인기를 끌었는지를 보여준다. 연암은 조선의 토속적인 속담을 섞어 쓰거나 하층 사람들과 주고받은 농담까지도 아무렇지 않게 기록했다.

당대에 '점잖은 글'이랍시고 일상에서 상투적으로 쓰던 판에 박힌 것 같은 글과는 전혀 다른 문체, 한문 문장에 중국어나 소설의 문체를 쓰기도 하고 거기다 특유의 해학과 풍자를 가미해 독자들의 흥미를 유발시켰다는 분석이 있다. 무엇보다도 당대의 현실에 대한 철저한 고민이 《열하일기》에는 절실히 녹아 있었던 점이 지식인들에게 어필되었을 것이라고 보기도 한다.

당시의 현실에 대한 철저한 고민뿐 아니라 문체나 그 내용의 파격성으로 《열하일기》는 당대에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 정조가 패관잡기를 불온시하며 순정문으로 돌아갈 것을 촉구하는, 이른바 문체반정의 서곡을 올린 중심에도 《열하일기》가 있었다. 정조는 직접 하교까지 내려서 박지원의 문장을 저속하다고 지적하고 있다.또한 정조는 문체가 나빠진 까닭이 박지원의 《열하일기》탓이라며 박지원에게 반성문을 쓰게 하였다.

요즘 문풍이 이따위로 된 것은 박 아무개의 죄가 아닌 것이 없다. 《열하일기》는 과인도 벌써 익숙하게 읽어봤는데 어찌 감히 속이고 숨길 것인가? 《열하일기》가 세상에 유행하더니 문체가 이 따위로 변했다. 마땅히 사고를 친 자가 해결해야 할 것이다. 속히 한 가지 순정한 글을 지어 곧바로 올려보내어 《열하일기》의 죄를 속죄한다면, 비록 남행(南行)의 글이라 한들 어찌 아까울 것이 있으랴?

정조의 이같은 호령에 박지원은 변명이라고 격식을 잔뜩 갖춘 속죄문을 써서 정조에게 바쳤는데, 이 글이 또 보기 드문 명문이라서 정조가 또 웃고 말았다는 일화가 있다. 《열하일기》는 연암이 세상을 떠난지 약 80년이 지난 뒤인 19세기 후반에 가서야 다시 주목을 받게 되었다.

오늘날 《열하일기》는 학술 서적으로서뿐 아니라, 한국 문학사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특히 이 책은 조선 왕조 일대를 통하여 수많은 ‘연행문학’(북경 사신 및 그 일행이 사신행을 하면서 지은 문학) 중에서 백미적(白眉的)인 위치를 점하는 책이다. 실학의 대표학자로 박지원은 중국의 문물을 유심히 관찰하며 앞선 기술을 배우고 선진 제도를 본받으려 하였다 [4]

기록된 주요장소

백탑

백탑1.jpg[5]

지도를 불러오는 중...


'도강록'편에 기록되어있는 불탑으로, 현재 중국 랴오닝성의 랴오양시(요양)에 있는 광우사에 위치해 있다. 남송시기의 금나라에서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규모로는 8각의 한 변의 길이가 아랫부분이 약 7 m, 전체 높이 약 71 m이다.

박지원은 이 불탑을 두고 '탑 꼭대기에는 구리북 세 개가 놓였고, 층마다 처마 네 귀퉁이에 풍경을 달았는데, 그 크기가 물들통만 하고, 바람이 일 때마다 풍경이 울어서 그 소리가 멀리 요동벌에 울린다'고 기록하였다.

또한 박지원은 이 탑을 구경하던 도중 두 만주인을 만나 땅에 글자를 써가며 필답을 하였다고 기록하였다. 그들은 박지원에게 그가 처음 들어보는 책들을 소지하고 있는지 물어보았는데, 이에 박지원은 이들을 수재(과거 응시생)들이라고 짐작하였다.

참고로 박지원은 백탑으로 가는 도중에 만주벌판을 바라보며 그 유명한 '호곡장론'을 설파하였는데, 이 또한 도강록에 기록되어있다.

선양고궁

[6]

지도를 불러오는 중...

'성경잡지'편에 기록되어있는 중국 랴오닝성의 성도인 선양에 있는 청나라 때의 고궁이다. 청나라 초대 황제인 누르하치와 2대 황제 태종이 선양에 건립한 궁으로 1625년에 착공하여 1636년 완공되었다. 면적은 약 6만㎡이며, 72만㎡인 자금성에 비하면 12배 이상이나 규모가 작다. 수도의 황궁으로 건립되었으나 3대 황제 성종 때 베이징(북경)으로 천도한 뒤로는 황제가 둥베이 지역을 순회할 때 머무는 곳으로 이용되었다.

선양(당시 성경)에 도달한 박지원은 이곳을 방문하여 궁궐 건물들을 관찰하며 세세하게 기록하였다.

한편 그는 선양의 점포들을 구경하던 중, 골동품점인 '예속재'와 비단점인 '가상루'에 드나들며 이곳을 운영 중이었던 문인 출신들과 함께 밤 중에 필담을 나누었던 일을 따로 기록해놓았는데 <속재필담>과 <상루필담>이 바로 그것이다.


산해관

산해관(1).jpg[7] 산해관(2).jpg[8]

지도를 불러오는 중...


'일신수필'편에 기록된 산해관(山海關)은 만리장성의 동쪽끝에 자리하고 있는 중요한 관문의 하나이다.

명대 이후 북경이 수도가 되면서 인근한 산해관의 군사적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어 북방 이민족의 침입을 방어하는 중요한 군사적 요충이 되었다.

박지원은 이곳을 방문하며, 산해관의 역사와 지역에 대한 세세한 기록과 함께, 이곳의 번화함에 대한 감탄을 남기었다.


유리창(연경)

류리창1.jpg[9] 류리창2.jpg[10]

지도를 불러오는 중...

'관내정사'편에 기록된 유리창(琉璃厂)은 북경에 위치한 번화가로, 청(淸)나라 초기에는 베이징 외성(外城)의 상업이 날로 번창하여 한족(漢族) 관리들이 쉬안우문[宣武門] 밖에 저택을 짓고 살았다.

이로써 외지고 쓸쓸했던 유리공장 일대가 점차 번성하여 고서적, 골동품, 탁본한 글자와 그림, 문방사옥 등을 중개판매하는 특색있는 상점거리가 형성되었으며, 상인·관리·학자·서생 등이 끊이지 않는 문화의 거리로 명성이 자자했던 곳이다.

이곳을 방문하였던 박지원은 '대개 정양문에서부터 가로 뻗어 선무문에 이르기까지의 다섯 거리가 모두들 유리창이었고, 국내와 국외의 모든 보화가 이에 쌓였다'고 기록하였다.

또한 그는 열하에서 북경으로 복귀할 때, 이곳에 위치해있는 천주당에 대해서도 기록을 남기었다.


피서산장

열하행궁.jpg[11] 열하행궁1.jpg[12]

지도를 불러오는 중...


'태학유관록'편에 주로 기록되어있는 피서산장(避暑山莊)은 중국에서 가장 큰 황실 정원이다. 피서산장 또는 이궁(離宮)이라고 불리며, 중국 허베이 성,청더(承德市)에 있다. 청나라 때 별궁으로, 여름에는 황제의 집무를 이곳에서 보면서 피서별궁과 열하행궁으로 불렸다. 중국 사대 정원 중의 하나이다. 총면적 5,460평방미터로, 주위의 성벽은 10킬로미터나 된다. 피서산장 주위에는 외팔묘라 하여, 총 8개의 불교 사찰이 있었다고 한다.

당시 조선 사행단이 연경에 건륭제가 있다고 착각하여 급히 일정이 변경되었지만, 최종적으로 도착하여 건륭제를 맞이하였던 장소이다. 빡빡한 일정 내에 열하로 가던 중 박지원은 그 유명한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와 야출고북구기(夜出古北口記)를 남기기도 하였다.

주목할만한 일화로서는, 당시 불교신자였던 건륭제는 피서산장에서 티베트의 법황(판첸 라마)을 조선 사신들에게 소개해주어 절을 하도록 지시하였는데, 조선사신들은 이를 어렵사리 거부하는 모습의 기록이다.

그리고 박지원은 열하에서도 여러 중국 인사들과 만남을 가지면서 음악, 예절, 과학 등 많은 주제에 걸쳐서 필담을 나누기도 하였는데, 특히 지동설과 같은 천문학에 관한 필담은 매우 흥미롭게 볼 수있는 부분이다.


  1. 나무위키. CC0 https://namu.wiki/w/%EC%97%B4%ED%95%98%EC%9D%BC%EA%B8%B0
  2. 고려대학교 CC BY https://www.youtube.com/watch?v=w7_Va83oPkA&feature=emb_title
  3. 위키백과 CC0 https://ko.m.wikipedia.org/wiki/%EB%B0%95%EC%A7%80%EC%9B%90_(1737%EB%85%84)
  4. 위키백과 CC-BY-SA https://ko.wikipedia.org/wiki/%EC%97%B4%ED%95%98%EC%9D%BC%EA%B8%B0
  5. flicker. Brian Yap (葉) CC BY-NC https://www.flickr.com/photos/yewenyi/342152737/in/photolist-bVtRed-bVu2Ed-bVtQnY-bVu3sE-bVu53y-bVuaME-bVu5WA-bVtVVb-bVu8q5-bVtNCh-bVtYqC-bVtV2f-bVtUa3-bVtWKE-bVtMKS-bVu7No-bVtT2A-bVu96h-bVu6wE-bVtZej-bVtXAU-bVu7bY-bVtS99-bVtHpb-bVtJjL-bVtLQG-bVtKdL-bVtGuU-8NWm2S-bVu5Rw-bVtKZj-ifeRjP-7hnYNR-8HEpfz-ifei9D-weC68-ifenHZ-ifeU2z-ifeZ9X-iffHav-ifeuNk-iffngW-ifePSk-ij7ZF1-y32d8M-y32dTp-xnDdmD-y2VvBW-yhd5fy-yjwD8D
  6. Douglas Morato CC BY https://www.youtube.com/watch?v=lhhl1OMG6mM&feature=emb_title
  7. flicker. Daniel Ng CC BY https://www.flickr.com/photos/galaygobi/184853674/in/photolist-hkqyj-hkpVM-hkpMz-hkqiW-hkqap-hkqhL-hkpNC-hkqw7-hkqsm-hkqza-ipfPh-hkqdM-8QXf6g-ipgAB-ipgha-69UmBN-hkqwL-hkpS3-ava4QH-avcLMy-av9jyM-av9jLK-avcKuQ-avcLCU-ava67c-avc2Nw-avccyJ-av9mcn-ava1xD-av9ZG6-avcBLb-avcd9j-avce4w-avceU3-avcJVJ-avc3bh-avcemq-avc3G1-ava2Nx-avceB3-avcdxG-ava3MZ-av9X9a-avcHqN-avcfcQ-avcBx3-av9m2K-avcFkW-av9wTn-av9wo6
  8. flicker. NH53 CC BY https://www.flickr.com/photos/nh53/5148464839/in/photolist-8QXeea-apfKMb-5n9Z7o-4w9H5G-apcZak-apcZG2-apLRGo-apfKjb-7nvvEf-7PuuE1-7PuthM-5n9ZUQ-7nvvEA-dxcKYZ-dxig8C-5n5JEr-69Qcni-89FNLf-dxiftj-7SgZxD-dxcLiV-dxcM8p-dxcMsa-dxifMo-4FWnz-dxcLPX-7PHe8w-89CumV-2A8Nt-6A1D8D-aupKod-rEpqc-aupJVY-aupJTQ-aun6Kn-aupKwh-aun6nH-89Fpi9-aun6GZ-aun6pR-aupKq5-7QEynd-89Fv3w-89CdcF-89CBeP-89Citv-89FpRS-89Ceek-89CfjB-7PyqKb
  9. flicker. Helene CC BY-NC-ND https://www.flickr.com/photos/todays_pixels/206516658/in/photolist-jfsd3-jfsc4-jfsdK-jfsar-gaYfBU-5raQLT-5raQkv-gaYMLg-5rf9py-5raMFD-5rf91j-5raReT-5raLjZ-5raRuV-5rf6m3-5rfa8U-gaYfMJ-5raN3B-5rf7cU-5rf67o-gaYeC9-5rf7nC-5rfbeN-5rfawU-5raNS6-5raNur-5rf7Zq-5rfaTs-5rf9W1-A8zLF-gaYkzG-5raRG8-5rfaGN-5rf6Rd-dVqGaX-4A8pRa-A8zF8-gaY6Dz-A8zHb-5raM68-5raPCD-dU1t99-4MsXyC-4MoSha-4MoE4D-4MoMYZ-4MoQsM-4MsU9u-4MoKjB-4Mt293
  10. flicker. Antoine Lacroix CC BY https://www.flickr.com/photos/antoinelacroix/2910259555/in/photolist-5raQLT-5raQkv-gaYMLg-5rf9py-5raMFD-5rf91j-5raReT-5raLjZ-5raRuV-5rf6m3-5rfa8U-gaYfMJ-5raN3B-5rf7cU-5rf67o-gaYeC9-5rf7nC-5rfbeN-5rfawU-5raNS6-5raNur-5rf7Zq-5rfaTs-5rf9W1-A8zLF-gaYkzG-5raRG8-5rfaGN-5rf6Rd-dVqGaX-4A8pRa-A8zF8-gaY6Dz-A8zHb-5raM68-5raPCD-dU1t99-4MsXyC-4MoSha-4MoE4D-4MoMYZ-4MoQsM-4MsU9u-4MoKjB-4Mt293-4MsWNh-4MoPf8-4MsSKW-4MsRa9-4MspWs
  11. flicker. tak.wing CC BY-SA https://www.flickr.com/photos/takwing/5067314874/in/photolist-8HMjaQ-JBgWvx-8HHT44-8HMiY1-8HMbCG-8HMe3d-8HMdQL-8HMdxs-b4JM88-b4JH9t-8HM62h-8HJbXR-b4JP5c-8HM5KQ-8HJaYR-8HM6eE-8HM3MS-8HJbsZ-8HJ3An-8HM9Bb-b4JRWv-8HMjCU-8HHZTB-8HMfPh-8HHYf8-8HJ1EK-8HMjuL-8HJao6-b4JKyH-8HMfCG-8HHUN8-8HM8zG-8HJ3QR-8HMaP3-8HMgHb-8HMbRm-8HMjP5-8HM9LW-8HJ1gR-8HMc7A-8HJ2uM-8HJawT-8HMh7o-8HMg6Y-JFp7nc-5YNw6B-5YST3u-5YNrsv-5YSK2w-8HHZFk
  12. flicker. █ Slices of Light █▀ ▀ ▀ CC BY-NC-ND https://www.flickr.com/photos/justaslice/39074294344/in/photolist-22wRYo5-4UDTf9-4UzDb2-23EHEgR-2aXvNan-22vghem-29PkXuK-7EvLHD-2aT5hqs-b4JAue-b4JBzM-HF9fb1-8HMavq-b4Jxbt-b4JvX8-JbzRPs-JbzLqG-HF9g3S-b4JCPB-b4JDRc-b4JQq6-JusgJk-8HM6WY-JbzG4L-JbzMA7-fyVRFZ-Jyfxe3-JbzJNy-JHWK9K-HF9hSo-HF9hC5-JbzKWq-Jsi82S-JBgVTv-JBgQdx-JBgVfg-JbzG8J-fyVn1H-Jusp1z-JFp7RP-JBgQyT-JbzRb3-Jsiiah-JbzGMj-HF9ewW-HF9jdE-HF9fsU-5KVTgf-JbzPau-JbzTi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