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인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7번째 줄: 7번째 줄:
  
 
==일인극의 역사==
 
==일인극의 역사==
 +
18세기에 루소의 <피그말리온>(1762) 같은 작품을 통해 성행했다. 독일의 배우 겸 극작가 요한 브란데스가 시작해 1775-80년경 독일에서 유행했으며, 여러 가지 구경거리를 채워 넣기 위해서 사용되었다.당시에는 음악 반주에 맞추어 합창대가 줄거리를 노래하고, 배우가 몸짓에 의해 시각화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A. 체호프의 <담배의 해독에 대하여>(1886)와 J. 콕토의 <목소리>(1930)가 유명하다. 특수한 예로 러시아의 극작가 N.에프레이노프는 ‘희곡은 내적 자아의 투영(投影)이어야 하고, 한 사람의 인간은 여러 가지 실체를 지녔으므로 그것을 등장인물들이 연기함으로써 주관적인 존재로서의 인간이 객관화되어 저마다 관객과의 결합이 생기는 것이다’라는 독자적인 모노드라마론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20세기에는 여배우 루스 드레이퍼가 공연한 것과 같은 1인극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한국 현대극에서는 추송웅의 <빨간 피터의 고백>(1977), 김동훈의 <롤러 스케이트를 타는 오뚜기>(1969), 박정자의 <위기의 여자>(1986) 등이 유명하다. 오늘날에는 좀 더 내면성을 중시하여 한 인물의 심리적 변화를 정확히 또는 상징적으로 그려내는 드라마를 가리킨다.
  
 
==일인극의 특성==
 
==일인극의 특성==
  
 
==일인극 작품==
 
==일인극 작품==
 +
 +
  
 
해당 용어의 뜻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필요한 목차를 자유롭게 구성하고, 관련 내용을 기술합니다.
 
해당 용어의 뜻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필요한 목차를 자유롭게 구성하고, 관련 내용을 기술합니다.

2018년 6월 19일 (화) 13:37 판

일인극[一人劇]


정의

일인극은 한 명의 배우가 홀로 하는 연극으로 독백,방백등으로 이루어진다. 모노드라마[monodrama],독백극[獨白劇]으로도 불린다.


일인극의 역사

18세기에 루소의 <피그말리온>(1762) 같은 작품을 통해 성행했다. 독일의 배우 겸 극작가 요한 브란데스가 시작해 1775-80년경 독일에서 유행했으며, 여러 가지 구경거리를 채워 넣기 위해서 사용되었다.당시에는 음악 반주에 맞추어 합창대가 줄거리를 노래하고, 배우가 몸짓에 의해 시각화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A. 체호프의 <담배의 해독에 대하여>(1886)와 J. 콕토의 <목소리>(1930)가 유명하다. 특수한 예로 러시아의 극작가 N.에프레이노프는 ‘희곡은 내적 자아의 투영(投影)이어야 하고, 한 사람의 인간은 여러 가지 실체를 지녔으므로 그것을 등장인물들이 연기함으로써 주관적인 존재로서의 인간이 객관화되어 저마다 관객과의 결합이 생기는 것이다’라는 독자적인 모노드라마론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20세기에는 여배우 루스 드레이퍼가 공연한 것과 같은 1인극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한국 현대극에서는 추송웅의 <빨간 피터의 고백>(1977), 김동훈의 <롤러 스케이트를 타는 오뚜기>(1969), 박정자의 <위기의 여자>(1986) 등이 유명하다. 오늘날에는 좀 더 내면성을 중시하여 한 인물의 심리적 변화를 정확히 또는 상징적으로 그려내는 드라마를 가리킨다.

일인극의 특성

일인극 작품

해당 용어의 뜻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필요한 목차를 자유롭게 구성하고, 관련 내용을 기술합니다.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주어(S) 목적어(O) A는 B를 ~하다(P)

참고문헌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