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연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53번째 줄: 53번째 줄:
 
* '''가무희(歌舞戱)'''
 
* '''가무희(歌舞戱)'''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26317&ref=y&cid=56785&categoryId=56785 처용무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26317&ref=y&cid=56785&categoryId=56785 처용무]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26429&ref=y&cid=56785&categoryId=56785 황창무]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26429&ref=y&cid=56785&categoryId=56785 황창무]

2018년 6월 17일 (일) 21:22 판

전통연희[傳統演戱]


정의

전통연희는 근현대 이전의 전통사회에서 전문적인 연희자들에 의해 전승되던 줄타기,솟대타기,땅재주,환술등 산악·백희(散樂百戱)의 종목들과 가면극,판소리,창극,꼭두각시놀이등 연극적 양식의 종목들로서 직업적인 연희자들이 특정한 시기와 관계없이 영리를 목적으로 관중들을 위해 연행하는 공연물을 가르킨다. 그 외에도 교방가무희(궁중정재), 무극(巫劇, 무당굿놀이), 범패(梵唄)·작법무(作法舞), 그리고 남사당패 등 직업적 유랑예인집단들의 풍물 및 지신밟기와 두레 등에서 연행되는 농악 등도 전통연희의 범주에 포함된다. 줄다리기,고싸움,연날리기,횃불싸움 등 세시풍속의 하나로 마을 주민들이 자족적으로 즐기기 위해 전승하던 연희들은 전통연희라고 부를 수 없다,

전통연희의 역사

상고시대의 연희는 상고 사회의 제천의식에서 연행된 가무활동, 그리고 여러 유물·유적과 암각화 등을 통해서 그 흔적을 살펴볼 수 있다. 기원 전후 남만주와 한반도에 거주했던 우리 민족은 풍요를 기원하는 농경의식과 종교적인 제천의식에서 가무희를 연행했다.

청동기시대의 암각화에서도 상고시대 연희의 흔적을 살펴볼 수 있다. 울주군(蔚州郡) 대곡리(大谷里) 반구대(盤龜臺)의 암각화는 거대한 바위에 각종 동물과 물고기·인물 등이 2백여 점이나 조각되어 있는, 우리나라 최대의 선사(先史)시대 조각품이다.

삼국시대부터 우리의 공연예술은 주변 여러 나라와의 교류를 통해 그 독자성과 우수성을 갖추어왔다. 고구려·백제·신라는 중국과 서역의 공연예술을 받아들여, 우리의 공연문화를 풍부하게 가꾸어 나간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에 중국·서역으로부터 산악·백희가 전래하기 이전부터 자생적인 전통의 산악·백희 종목들이 존재했다. 그리고 새롭고 수준 높은 산악·백희의 종목들이 중국과 서역으로부터 다수 유입됨으로써, 기존에 존재하던 연희 종목들도 중국·서역의 뛰어난 연희자들에 의해 공연되는 수준 높은 연희의 영향으로 인해 더욱 발전하였다.

통일신라시대에는 처용무(處容舞)와 최치원(崔致遠, 857-?)의 〈향악잡영오수(鄕樂雜詠五首)〉에 묘사된 금환(金丸), 월전(月顚), 대면(大面), 속독(束毒), 산예(狻猊)의 다섯 가지 연희를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백희가무(百戱歌舞), 사선악부(四仙樂部), 용봉상마거선(龍鳳象馬車船), 오방귀무(五方鬼舞), 사자춤, 입에서 불토해내기, 칼삼키기, 서역의 호인희(胡人戱), 줄타기, 처용무, 각종 동물로 분장한 가면희, 수희, 우희(優戱), 골계희, 가면인잡희(假面人雜戱), 교방가무희(敎坊歌舞戱) 등이 연희가 있다.

조선시대에는 조선시대에는 나례, 중국 사신 영접행사, 문희연(聞喜宴), 수륙재, 우란분재, 관아행사, 읍치제의(邑治祭儀, 군 단위로 지내는 제사), 동제(洞祭, 마을 단위로 지내는 제사), 사대부가의 잔치 등에서 공연예술을 연행했다. 조선 후기에는 국가적 행사인 나례, 중국 사신 영접행사, 궁정 중심의 각종 행사들이 크게 위축되거나 소멸되었다. 반면에 국가행사와 궁정행사에 동원되던 연희자들이 민간에 퍼져 공연 활동을 벌이게 되었다. 이에 따라 조선 후기의 공연문화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우선 기존의 연희들을 바탕으로 혁신적으로 재창조한 본산대놀이 가면극, 판소리, 꼭두각시놀이 등 새로운 연극적 양식들이 성립되었다.

다양한 전통연희

  • 곡예와 묘기

줄타기

농환

땅재주

무륜

각저희

마상재

농침

  • 환술

토화

탄도

  • 가면희

공작희

표희

  • 골계희(滑稽戱)

(주유희

  • 가무희(歌舞戱)

처용무

황창무

교방가무희

  • 인형극

발탈

  • 가면극

봉산탈춤

강령탈춤

은율탈춤

송파산대놀이

양주별산대놀이

퇴계원산대놀이

  • 판소리

심청가

흥보가

무숙이타령

강릉매화타령

  • 무극(巫劇)

양주소놀이굿

거리굿

전상놀이

탈굿



전통연희 의의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주어(S) 목적어(O) A는 B를 ~하다(P)

참고문헌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