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72번째 줄: 72번째 줄:
 
|-
 
|-
 
| 홍염 || 최서해 || A를 B가 집필했다 ||
 
| 홍염 || 최서해 || A를 B가 집필했다 ||
 +
|-
 
| 홍염 || 신경향파 문학 || A는 B로 분류된다 ||  
 
| 홍염 || 신경향파 문학 || A는 B로 분류된다 ||  
 +
|-
 
| 홍염 || 문서방 || A는 B를 주인공으로 한다 ||  
 
| 홍염 || 문서방 || A는 B를 주인공으로 한다 ||  
| 홍염 || 바이허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
 +
| 홍염 || 간도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
 
| 홍염 || 빈궁문학 || A는 B로 분류된다 ||  
 
| 홍염 || 빈궁문학 || A는 B로 분류된다 ||  
 +
|-
 
| 홍염 || 현대문학 || A는 B로 분류된다 ||  
 
| 홍염 || 현대문학 || A는 B로 분류된다 ||  
 +
|-
 
| 홍염 || 단편소설 || A는 B로 분류된다 ||  
 
| 홍염 || 단편소설 || A는 B로 분류된다 ||  
 
|}
 
|}

2019년 6월 16일 (일) 13:27 판


홍염


개요

갈래: 단편소설
배경: 1920년대 서간도 바이허의 조선인 이주민 마을
경향: 신경향파 문학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
문체: 속도감과 강렬한 인상을 주는 간결체
주제: 서간도 조선 이주민의 비참한 생활과 악독한 지주에 대한 소작인의 저항


등장인물 및 구성

  • 문서방 - 간도로 이주하여 중국인의 땅을 경작하는 소작인.
  • 문서방의 처 - 딸을 빼앗긴 후 화병으로 병들어 '용례'를 부르며 죽는다.
  • 용례 - 문서방의 외동딸. 빚 값으러 '인가'에게 잡혀감.
  • 인가 - 중국인 지주. 탐욕스럽고 악독함.


  • 발단 - 빈농인 문서방이 서간도로 이주하여 인가의 소작인이 됨.
  • 전개·위기 - 소작료 체납으로 인가에게 외동딸 '용례'를 빼앗김. 이로 인하여 아내가 죽음.
  • 절정·결말 - 문서방은 인가의 집에 방화하고 인가를 죽임.


줄거리

서간도 한 귀퉁이에 있는 가난한 촌락 바이허. 문 서방은 인가[殷哥]가 사는 달리소로 향한다. 그는 죽어가는 아내가 인가에게 빼앗긴 딸 '용례'를 데려다 달라고 애원하던 것을 생각한다.

문 서방은 본래 경기도 어느 곳의 소작인이었다. 10여 년 소작인 생활에 지친 그는 남부여대로 딸 하나를 앞세우고 서간도 바이허로 이주했다. 그러나 여기서의 생활도 나아진 것이 없었다. 중국인 지주인 인가의 소작인이 된 것이다. 겹친 흉년으로 인가에게 소작료를 납부하지 못하자, 인가는 그것을 빌미로 딸 '용례'를 욕심내었다. 결국, 빚을 못 갚아 빚 대신 외동딸을 빼앗긴 문 서방 내외는 절망에 빠졌고, 화병으로 몸져누운 문 서방의 아내는 '용례'를 한번이라도 만나 보기를 원했다.

한겨울, 죽어가는 아내의 소원을 들어주고자 문 서방은 지금 인가를 찾아가는 길이다. 그러나 인가는 '용례'를 보여 주지도 않았다. 지전 몇 장을 주며 야박하게 내쫓는다. 그리고 집에 돌아온 그의 앞에서 아내는 '용례'를 부르다가 피를 토하며 죽는다.

아내가 죽은 이튿날 밤, 세찬 바람과 추위도 아랑곳하지 않고, 인가의 집 근처에 문 서방이 나타난다. 그는 달려드는 개들을 먹이로 달래 놓고 인가의 집 뒤에 쌓아 놓은 보릿짚 더미에 불을 지른다. 치솟아 오르는 '홍염(紅焰)'을 바라보며 문 서방은 쾌감에 젖는다. 이어 불붙은 집에서 뛰쳐나온 인가를 도끼로 찍어 죽이고, 문 서방은 딸을 품에 안는다.


해설

1927년 1월 《조선문단》에 발표된 작품이다. 백두산 서북편 서간도의 바이허라는 가난한 마을에 사는 소작인 문서방이 중국인 지주에게 빚 대신 딸을 빼앗겨 아내가 죽자 지주집에 불을 지르고 딸을 되찾는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작가의 체험에 근거한 박진감 넘치는 묘사를 통해 만주 체험의 극한적 상황을 더욱 효과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작가의 대표작으로 손꼽힌다.

이 작품에서 중국인 지주에게 딸을 빼앗기며 살아가는 문서방의 모습에는 식민지 시대 만주로 이민을 떠난 한민족의 극한적인 상황이 전형적으로 드러나 있다. 조선에서 소작인으로 전락하여 고향을 떠난 농민은 만주에서도 여전히 소작인 신세를 벗어날 수가 없다. 자신들의 이익을 지켜줄 국가가 없기 때문에 중국과 일본의 틈바구니에서 고욕의 삶을 살아가지 않으면 안된다.

이 작품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극한적인 궁핍과 이에 대한 저항은 최서해의 소설에 반복적으로 등장하고 있는 특징이다. 이 소설의 결말에서 볼 수 있듯이 “이렇게 슬픈 중에도 그의 마음은 기쁘고 시원하였다. 하늘과 땅을 주어도 그 기쁨을 바꿀 것 같지 않았다” 라고 하는 대목은 주인공이 방화와 살인을 통해 굴욕과 억압을 청산하는 기쁨으로 가득차 있다. 이것은 궁핍과 고통에 시달려온 하층민의 투쟁의지와 새로운 세계에 대한 간절함을 그려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최서해의 문학에 있어서 폭력은 반항의 변증법이며 굶주린 자의 적의로 본능적인 행동이다. 그리고 이런 결정적인 순간에는 주인공들은 어떤 시각의 환상 또는 착란 상태를 으레 겪게 되는데, 이러한 환상은 가해관계에 있다고 믿는 대상과 피해자의 음영들이다. 여기에서 그의 문학이 단순한 빈궁문학의 영역을 넘어서 프로문학과도 맥이 닿는 이념의 실마리를 찾게 된다.


관련영상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항목A와 항목B의 관계 비고
홍염 최서해 A를 B가 집필했다
홍염 신경향파 문학 A는 B로 분류된다
홍염 문서방 A는 B를 주인공으로 한다
홍염 간도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홍염 빈궁문학 A는 B로 분류된다
홍염 현대문학 A는 B로 분류된다
홍염 단편소설 A는 B로 분류된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현대문학 위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