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몽문학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 17~18세기 유럽의 반봉건적 ·합리주의적 사상을 배경으로 한 문학
  • 전통적인 인습에 젖은 무지한 사람들에게 새로운 지식, 사고, 비판력 따위를 깨우쳐 주려고 하는 문학

역사

계몽문학은 계몽주의 문학이라고도 불리는데, 계몽주의를 나누어 볼 때의 한 측면이다.
계몽주의 : 인류의 무한한 진보를 위하여 이성의 힘으로 현존 질서를 타파하고 사회를 개혁하려는 시대적인 사조 우리나라의 계몽주의는 계몽사상·애국계몽운동·계몽주의문학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계몽주의문학은 18, 19세기의 실학파(實學派)에게까지 소급하여 살필 수 있겠으나,
1900년대에서 1910년대까지 뚜렷한 모습을 드러냈다고 하는 견해가 일반화되어 있다.
그런데 그 기간에는 의식과 문화의 근대화를 기본적인 노선으로 삼으면서 이와 함께 일제의 침략에 맞서 국권을 수호하는 것이
또한 긴요한 과제였으므로, 이 두 가지 과제를 어떻게 연결시키는가 하는 데 따라 계몽주의문학이 두 가지로 나타났다.

첫 번째의 계몽주의문학
신채호·박은식·장지연 등이 중심이 되어 일으킨 첫 번째의 계몽주의문학은 근대화를 통하여 국권을 수호하자는 것을 기본 노선으로 삼았다.
흔히, 애국계몽운동이라고 일컬어지는 운동을 언론과 출판을 통하여 전개하면서, 성리학적인 명분론에서 벗어나 민족의 위기를 바로 깨닫고 개혁과 구국의 의지를 가다듬자고 하였다.
주동자들은 한문학에 대하여 깊은 소양을 가지고 있었으나, 새 시대의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국한혼용문(國漢混用文)을 기본 문체로 택하여 광범위한 독자를 끌어들이며,
민족사에 대한 재인식을 근거로 당대의 문제를 다루어 민족적 각성을 촉구하고자 하였다. 그렇게 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긴요한 장르는 역사적 영웅의 행위를 찬양하는 전기였으며,
신채호의 『을지문덕』 등이 그 좋은 예이다. 구국의 영웅에 대한 소재를 밖에서도 구하여 박은식은 『서사건국지 瑞士建國誌』를, 장지연은 『애국부인전』을 내놓았다.
이와 함께, 가사의 형식을 개조하여 친일과 매국 책동을 비판하고 풍자하는 노래를 신문을 통해서 다수 발표하여 전통의 현대적 계승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의 계몽주의문학
첫 번째 단계의 계몽주의문학이 1910년 식민지화와 더불어 직접적인 탄압의 대상이 되자 이와는 다른 두 번째 단계의 운동이 확대되었는데, 그 주동자는 최남선(崔南善)과 이광수(李光洙)였다.
이들은 민족의 수난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지 않고 문학 표현의 근대화를 기본과제로 삼았다.
또한 민족의 전통을 계승하는 것보다는 서양 또는 일본 근대문학의 전례를 이식하는 것이 더욱 긴요한 방법이라고 하였다.
그래서 최남선은 신체시(新體詩)를 시험하고, 이광수는 「무정 無情」 등의 새로운 소설을 마련하였다.
구시대의 속박에서 벗어난 젊은이가 감정의 자유로운 발산을 주장하며, 문명개화가 이룩될 미래에 대하여 낙관적인 기대를 가져 마땅하다는 생각을 언문일치의 국문 문체로 나타내었다.
이렇게 하여 전통적 가치를 부정하는 충격을 일으켰으나, 그 노선이 민족 해방의 의지와 어긋났으며
지적으로 성숙되지 않은 단순논리에 의거하고 있었으므로, 1919년 이후의 문학운동이 등장하자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한편에서는 식민지적 현실의 인식과 비판이 강조될 때, 이광수는 민족의 정신개조가 선행과제라면서 「민족개조론 民族改造論」을 내놓아 더욱 궁지에 몰리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공통점
두 단계의 계몽주의문학은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가지 공통점이 있다.
작가는 시대의 선각자이고 민족의 지도자라고 하였다. 문학은 독자의 정신적인 각성을 촉구하는 것을 사명으로 한다고 하였다.
작가는 문학창작의 예술적인 과업을 담당해야 한다거나, 현실 인식과 민중생활에서의 문제 발견을 위하여 자기비판을 앞세워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자, 계몽주의문학은 설득력을 잃었다.
어느 쪽이든지 문학창작방법의 개척을 축적하지 못한 것도 공통적인 한계이다.

대표작가 및 작품

이인직

혈의누.jpg

귀의성.jpg


안국선

금수회의록.jpg

공진회.jpg

신채호

우기전

강감찬전.jpg

RDF

항목A 항목B 관계
계몽문학 계몽주의 A는 B의 한측면이다.
계몽문학 반봉건적 사상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계몽문학 합리주의적 사상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계몽문학 혈의 누 A에 B가 속한다.
계몽문학 귀의 성 A에 B가 속한다.
계몽문학 금수회의록 A에 B가 속한다.
계몽문학 공진회 A에 B가 속한다.
계몽문학 을지문덕전 A에 B가 속한다.
계몽문학 강감찬전 A에 B가 속한다.

네트워크 그래프

출처

지식백과 계몽문학
국어사전 계몽문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계몽주의

작성자

김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