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도교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동학을 1905년 제3대 교주 손병희가 천도교로 개칭한 종교이다.

동학농민운동이 외세에 의해 진압된 뒤, 제2대 교주인 최시형(崔時亨)이 처형되자 동학은 손병희(孫秉熙)에게 전수되었다. 손병희는 초기에 정치와 종교 간의 불가분리적 관계를 강조하면서 여러 가지 개혁적인 시도를 감행했으나 실패하고, 도리어 일제에 의해 역이용될 수 있음을 깨닫게 되면서 정교분리의 원칙을 내걸고 1905년 교명을 천도교로 개칭하여 새로운 교리와 체제를 확립하였다.

내용

창립 및 발전과정

1898년 4월 5일 최시형이 붙잡혀 6월 2일 순교한 뒤, 손병희는 사태를 수습하고 조직을 재정비하는 데 힘썼다. 그러나 관헌의 추적이 심하자 1901년 3월 일본으로 피신했고, 그 해 9월 일시 귀국했다가 일제의 방해로 일본에 머물게 되었다. 그곳에서 망명중이던 개화파 지식인들과 교유하여 새로운 인식을 얻는 한편, 국내와 연락하면서 교인들을 규합, 동학을 재정비하였다. 손병희의 도일과 일본 체류로 인하여 사상적 폭이 넓어지고 새로운 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탄력성이 증대된 반면, 일본의 제국주의 세력에 대한 동학교도들의 민족적 저항력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에 손병희는 교정일치론(敎政一致論)을 철회하고 정치적 관심을 포기, 종교로서의 동학을 고수하는 방침으로 바꾸었다. 따라서 1905년 12월 1일 동학을 천도교로 세상에 널리 알리고, 이듬해 1월 귀국하여 교회를 재조직하는 데 착수했으며, <천도교대헌(天道敎大憲)>을 반포하고 새로운 교단조직을 만들었다.

서울에 중앙총본부를 두고 대도주(大道主)가 다스렸으며, 지방은 72개 대교구로 분할, 교령(敎領)이 관할하게 하였다. 또한 인쇄소인 보문사(普文社)를 창설한 후 수많은 교서를 발간하여 동학 이래의 사상체계를 확립하였고, 1910년부터 포교활동과 더불어 출판교육 등의 문화운동을 전개하여 교세의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오게 되었다. 또 사범강습소(師範講習所)를 두어 교리와 서양의 학술을 가르치고 『천도교월보(天道敎月報)』를 발간하여 국민들의 사회교육을 통한 민족정신 함양에 노력한 결과 천도교는 1919년의 3·1운동 때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었다.

3·1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손병희를 비롯한 많은 교도들이 옥고를 치르고 일제의 탄압을 받았으나, 일제의 정책이 문화정치로 바뀌는 것을 이용하여 1919년 9월 천도교청년교리강연부를 설립하였고, 1920년 3월에는 이를 천도교청년회로 개편하여 전국 지부를 결성하였다. 그 해 6월부터는 『개벽(開闢)』이라는 종합잡지를 발행하고, 이어 『신여성』·『학생』·『어린이』 등의 월간잡지도 간행하였다. 『개벽』은 일제의 탄압으로 1926년 8월 통권 72호를 간행하면서 폐간되기까지 천도교 교리를 통하여 민중의 주체적 자각과 근대 문물을 섭취하는 데 많은 공헌을 하였다.

1923년에는 천도교청년회의 조직과 명칭을 개편하여 천도교청년당을 창립하고 학술연구부를 두어 『자수대학강의(自修大學講義)』를 발행하였으며, 다방면에 걸친 대학 교양 과정을 지면 강의함으로써 한국 청년의 지적 향상을 꾀하였다.

1953년 서울 수복 후에 중앙총부를 서울로 옮겼으며, 1961년에는 최시형과 손병희의 법설(法說)이 포함된 『천도교경전』을 간행하였다. 현재의 수운회관(水雲會館)은 1972년 준공된 것으로, 천도교의 상징적인 건물로서 중심 역할을 하고 있다.


역대 교주

1대

  • 수운 최제우

Woo.jpg

2대

  • 해월 최시형

Hyung.png

3대

  • 손병희

Hee.jpg

4대

  • 춘암 박인호

Ho.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