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 임시정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1번째 줄: 1번째 줄:
 +
 
{|class="metadata" style="width:300px; font- size:89%; border:1px dotted #4641D9;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2" align="right"  
 
{|class="metadata" style="width:300px; font- size:89%; border:1px dotted #4641D9;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2" align="right"  
 
|-  
 
|-  
21번째 줄: 22번째 줄:
  
  
 +
==개요==
 +
1920년 3월 5일 창간된 신문사로 대한민국에 현존하는 신문사 중 두 번째로 오래되었으며, 창립 당시 일본에 저항하고 독립을 위해 힘썼다.
 +
한글 신문 중에는 첫번째로 오래되었다. 2021년 기준, 유료 부수가 유일하게 100만부를 넘었다.
  
 
+
==연표==
 
+
1920년 3월 5일 [[대정실업친목회]]에 의해 창간
 
+
1920년 4월 28일 [[영친왕]]과 [[마사코]]와의 결혼 비판 기사로 인해 압수
 
+
1920년 8월 15일 자본금 불입으로 [[유문환]]이 2대 사장으로 취임.
 
+
1920년 8월 27일 미국 의원단 방한을 환영하는 기사로 1주간 정간
 
+
1920년 9월 5일 [["당국의 소위 문화 통치는 기괴치 아니한가"]]라는 논설로 무기 정간
 
+
1921년 4월 8일 [[조선총독부]]가 조선일보를 인수해 [[송병준]]에게 위임하려 했으나 거절해, 3대 사장은 [[남궁훈]]이됨.
 
+
1924년 9월 13일 [[신석우]]가 조선일보를 인수. 4대 사장으로 [[이상재]]가 취임함. 신간회 결성 주도 및 한글 교재 무상 배포
 
+
1925년 1월 러시알가 일본과 외교관계를 맺자, 김준연을 5대 사장 신석우
 
+
1931년 7월 조선일보 6대 사장으로 [[안재홍]]이 취임.
 
+
1931년 [[안재홍]]이 재만동포 자금 횡령 사건에 연류됨.
 
+
7대 사장 [[유진태]]
 
+
8대 사장 [[조만식]]
 
+
9대 사장 [[방응모]] [[교육 필화]]로 인해 총독부에게 기사 압수
 
+
1940년 조선총독부의 [[민족 말살정책]]으로 조선일보 발간 중단
 
+
1945년 11월 23일 미국의 지원을 받아 다시 속간
 
+
1947년 ~ [[이승만]]의 대한민국 정부 수립 노선 지지
 
+
1948년 ~ 1950년 6월 24일 [[이승만]] 정부의 출범 지지 , 반민족 행위자 강력 처벌과 처단 주장, 국가 보안법 제정당시 남용소지 비판 및 국가 보안법 사용 규범 제시
 
+
1950년 6월 25일 북한에게 조선일보가 넘어가면서 인민군 기관지가 됨.  
 
+
1950년 10월 1일 전세가 역전되어 대한민국의 기관지가 되어 한국 전쟁 이슈를 다룸
 
+
1951년 ~ 이승만 정부와 대한민국 국근을 지지, 그러나 국민방위군 사건 등과 같은 국군에게 불리한 내용은 다루지 않음.  
==개요==
+
1954년 ~ 자유진영 지지
1919년 중국 상하이에서 한국독립운동가들이 수립했던 임시정부.  
+
1955년 ~ 1959년 이승만 정부의 부산 정치 파동은 다루지 않음.
 
 
==역사==
 
<<연표>>
 
임시정부란 정식정부를 수립하기 위한 준비정부를 가리키는 말이다. 국내외에서 3·1운동이 전민족운동으로 확산될 때, 독립정신을 집약하여 우리 민족이 주권국민이라는 뜻을 표현하고, 독립운동을 능률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조직하였다.그 뒤 1945년 8·15광복까지 27년 동안 상하이[上海]를 비롯한 중국 각처에서 한국인의 독립과 자유를 위해 투쟁하였다. 그런데 정부라고 하면 국제법상 통치권이 미치는 국토와 국민이 있어야 하는데, 통치권을 행사할 대상이 없었으므로 일반 정부와는 성격이 달랐다.그리고 망명정부도 아니었다. 대한제국과 시간적 연속성이 없고 주체세력이 다르고 이념이 달랐으므로 망명정부가 될 수 없었다. 그러나 전민족운동이었던 3·1운동에 의해 수립된 임시정부였으므로 전민족의 의지와 이념적 기반 위에 설립된 정부적 조직임에는 틀림없었다. 따라서, 국제적으로는 주권국민의 대표기관(정부)으로서, 또 대내적으로는 독립운동의 통할기구로서의 구실을 가지고 탄생하였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2022년 6월 16일 (목) 01:51 판


개요

1920년 3월 5일 창간된 신문사로 대한민국에 현존하는 신문사 중 두 번째로 오래되었으며, 창립 당시 일본에 저항하고 독립을 위해 힘썼다. 한글 신문 중에는 첫번째로 오래되었다. 2021년 기준, 유료 부수가 유일하게 100만부를 넘었다.

연표

1920년 3월 5일 대정실업친목회에 의해 창간 1920년 4월 28일 영친왕마사코와의 결혼 비판 기사로 인해 압수 1920년 8월 15일 자본금 불입으로 유문환이 2대 사장으로 취임. 1920년 8월 27일 미국 의원단 방한을 환영하는 기사로 1주간 정간 1920년 9월 5일 "당국의 소위 문화 통치는 기괴치 아니한가"라는 논설로 무기 정간 1921년 4월 8일 조선총독부가 조선일보를 인수해 송병준에게 위임하려 했으나 거절해, 3대 사장은 남궁훈이됨. 1924년 9월 13일 신석우가 조선일보를 인수. 4대 사장으로 이상재가 취임함. 신간회 결성 주도 및 한글 교재 무상 배포 1925년 1월 러시알가 일본과 외교관계를 맺자, 김준연을 5대 사장 신석우 1931년 7월 조선일보 6대 사장으로 안재홍이 취임. 1931년 안재홍이 재만동포 자금 횡령 사건에 연류됨. 7대 사장 유진태 8대 사장 조만식 9대 사장 방응모 교육 필화로 인해 총독부에게 기사 압수 1940년 조선총독부의 민족 말살정책으로 조선일보 발간 중단 1945년 11월 23일 미국의 지원을 받아 다시 속간 1947년 ~ 이승만의 대한민국 정부 수립 노선 지지 1948년 ~ 1950년 6월 24일 이승만 정부의 출범 지지 , 반민족 행위자 강력 처벌과 처단 주장, 국가 보안법 제정당시 남용소지 비판 및 국가 보안법 사용 규범 제시 1950년 6월 25일 북한에게 조선일보가 넘어가면서 인민군 기관지가 됨. 1950년 10월 1일 전세가 역전되어 대한민국의 기관지가 되어 한국 전쟁 이슈를 다룸 1951년 ~ 이승만 정부와 대한민국 국근을 지지, 그러나 국민방위군 사건 등과 같은 국군에게 불리한 내용은 다루지 않음. 1954년 ~ 자유진영 지지 1955년 ~ 1959년 이승만 정부의 부산 정치 파동은 다루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