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 필 육상묘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파일:육상묘도1.jpg]]
  
 +
보물 제873호 '''육상묘도'''
  
 
==기본정보==
 
==기본정보==
8번째 줄: 10번째 줄:
  
 
|-
 
|-
|지정유형||'''보물'''
+
|지정유형||'''[[보물]]'''
 
|-
 
|-
 
|지정일||1986년 10월 15일
 
|지정일||1986년 10월 15일
14번째 줄: 16번째 줄:
 
|크기||가로 63cm, 세로 93cm
 
|크기||가로 63cm, 세로 93cm
 
|-
 
|-
|종류||유물 / 일반회화 / 산수화
+
|종류||[[유물]] / [[일반회화]] / [[산수화]]
 
|-
 
|-
|시대||조선 영조 15년(1739)
+
|시대||[[조선시대]] 영조 15년(1739)
 
|-
 
|-
 
|소재지||대전광역시 서구
 
|소재지||대전광역시 서구
26번째 줄: 28번째 줄:
 
==소개==
 
==소개==
  
-1986년 10월 15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크기는 63×93cm이고, 견본수묵담채화(絹本水墨淡彩畵)이다. 1739년(영조 15)에 제작되었다.
+
-1986년 10월 15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정선]]이 그린 그림이며 크기는 63×93cm이고, 견본수묵담채화(絹本水墨淡彩畵)이다. 1739년(영조 15)에 제작되었다.
  
 
-상단에는 육상묘의 '''영건(營建)'''에 참가했던 관리들(18명)의 명단인 부묘도감좌목(祔廟都監座目)이 쓰여 있고, 하단에는 초가인 육상묘의 그림이 '''겸재화법(謙齋畵法)'''으로 그려져 있으며, 그림 왼쪽 위에는 '기미중춘 겸재사(己未中春謙齋寫)'라고 쓰여 있다.
 
-상단에는 육상묘의 '''영건(營建)'''에 참가했던 관리들(18명)의 명단인 부묘도감좌목(祔廟都監座目)이 쓰여 있고, 하단에는 초가인 육상묘의 그림이 '''겸재화법(謙齋畵法)'''으로 그려져 있으며, 그림 왼쪽 위에는 '기미중춘 겸재사(己未中春謙齋寫)'라고 쓰여 있다.
32번째 줄: 34번째 줄:
 
-이 그림은 현재 소유자인 이재곤의 9대조인 이광의(李廣義:당시 제용감판관)도 좌목(座目)에 들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이광의가 정선에게 의뢰하여 그리게 한 것으로 추정되며, 그후 가전(家傳)되어 온 것으로 보인다. 상태는 비교적 좋은 편이다.
 
-이 그림은 현재 소유자인 이재곤의 9대조인 이광의(李廣義:당시 제용감판관)도 좌목(座目)에 들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이광의가 정선에게 의뢰하여 그리게 한 것으로 추정되며, 그후 가전(家傳)되어 온 것으로 보인다. 상태는 비교적 좋은 편이다.
  
 +
-정선의 그림 중 남종화법의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조선조 [[남종화풍]]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분류:대전]][[분류:조선]][[분류:유물]][[분류:산수화]][[분류:보물]]
+
==소재지==
 +
 
 +
{{
 +
#display_map:
 +
36.280152, 127.345140~[[대전광역시 서구]]
 +
|service=googlemaps3
 +
|width=300
 +
|height=300
 +
|type=normal
 +
|overlays=videos-1,wikipedia
 +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
 +
 
 +
==참고문헌==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47286&cid=46660&categoryId=46660 네이버지식백과]
 +
 
 +
[[분류:대전]][[분류:조선시대]][[분류:유물]][[분류:산수화]][[분류:보물]][[분류:정선]][[분류:일반회화]]
  
 
작성자:[[강윤지]]
 
작성자:[[강윤지]]

2022년 12월 8일 (목) 23:56 기준 최신판

육상묘도1.jpg

보물 제873호 육상묘도

기본정보

지정유형 보물
지정일 1986년 10월 15일
크기 가로 63cm, 세로 93cm
종류 유물 / 일반회화 / 산수화
시대 조선시대 영조 15년(1739)
소재지 대전광역시 서구
소유(관리) 이재곤

소개

-1986년 10월 15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정선이 그린 그림이며 크기는 63×93cm이고, 견본수묵담채화(絹本水墨淡彩畵)이다. 1739년(영조 15)에 제작되었다.

-상단에는 육상묘의 영건(營建)에 참가했던 관리들(18명)의 명단인 부묘도감좌목(祔廟都監座目)이 쓰여 있고, 하단에는 초가인 육상묘의 그림이 겸재화법(謙齋畵法)으로 그려져 있으며, 그림 왼쪽 위에는 '기미중춘 겸재사(己未中春謙齋寫)'라고 쓰여 있다.

-이 그림은 현재 소유자인 이재곤의 9대조인 이광의(李廣義:당시 제용감판관)도 좌목(座目)에 들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이광의가 정선에게 의뢰하여 그리게 한 것으로 추정되며, 그후 가전(家傳)되어 온 것으로 보인다. 상태는 비교적 좋은 편이다.

-정선의 그림 중 남종화법의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조선조 남종화풍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소재지

지도를 불러오는 중...

참고문헌

네이버지식백과

작성자:강윤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