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7번째 줄: 7번째 줄:
 
|-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이름''' || [[김광보]]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이름''' || [[김광보]]
|-
 
| style="text-align:center;"|'''한자''' || 한자
 
|-
 
| style="text-align:center;"|'''생년''' || ~
 
|-
 
| style="text-align:center;"|'''출생지''' || 출생지
 
 
|-  
 
|-  
 
| style="text-align:center;"|'''직업''' || [[연극연출가]], [[극단대표]]
 
| style="text-align:center;"|'''직업''' || [[연극연출가]], [[극단대표]]
 
|-  
 
|-  
 
| style="text-align:center;"|'''학력''' || [[금성고등학교]] 졸업
 
| style="text-align:center;"|'''학력''' || [[금성고등학교]] 졸업
 +
|-
 +
| style="text-align:center;"|'''관련단체''' || [http://sjartgroups.or.kr/intro/theater 서울시극단]
 
|-  
 
|-  
 
|}
 
|}
23번째 줄: 19번째 줄:
 
'''김광보'''
 
'''김광보'''
 
==생애==
 
==생애==
김광보는 대한민국의 [[연극연출가]]이자 [[극단대표]]이다.
+
김광보는 대한민국의 [[연극연출가]]이자 [[극단]]대표이다. 현재 [[서울시극단]] 단장이다.
  
 
==작품세계(활동내역) ==
 
==작품세계(활동내역) ==
작가(예술가)작품 세계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이곳에 기술합니다.
+
김광보는 [[희곡]]을 성실하게 섬기면서 그 의미를 무대에 드러내는 것에 최종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텍스트를 꼼꼼히 읽으며 그 안의 인간들의 생각과 행위를 쫓아 삶의 모습을 그려내는 데에 초점을 맞춘다. 그러기에 그의 무대에는 언제나 배우가 중심에 있어 왔다. [[희곡]] 텍스트에 대한 의미 부여와 작품에 따라 자유자재로 변모하는 전업 [[연출가]]자유로움이 그의 연출 방식을 일괄할 수 있는 설명인 것 같다. 그래서 그는 사실 비슷한 연배의 어느 [[연출가]]보다도 부피감 있는 굵직한 많은 작품들을 만나왔고 끊임없는 변화를 이어가고 있다. 흔히들 세간의 평들은 그의 무대에서 상업성과 예술성을 동시에 확인한다. 그의 무대는 정련된 배우들에게서 발산되는 집중된 에너지를 토대로 하며 연기와 조명을 철저히 통제하고 조정하며 자신의 의도대로 무대를 만들어 간다. 거기에 관객을 넘겨보며 그들마저도 자신의 의도로 끌어당길 수 있는 시야까지 갖춘 상태이다. 그의 이러한 태도는 [[희곡]]을 진지하게 섬기되 거기에 결박당하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명으로 읽힌다.
  
작가가 아닌 사람의 경우에는 주요한 업적을 중심으로 기술합니다.
+
==연출작==
 +
*[[바람의 나라]] (2001년)
 +
*[[프루프]] (2003년)
 +
*[[에쿠우스]] (2004년)
 +
*[[억척어멈과 그자식들]] (2006년)
 +
*[[발자국 안에서]] (2007년)
 +
*[[블라인드 터치]] (2008년)
 +
*[[죠반니]] (2008년)
 +
*[[인간의 시간]] (2008년)
 +
*[[산소]] (2009년)
 +
*[[훔불트의 정원]] (2009년)
 +
*[[루시드 드림]] (2010년)
 +
*[[내 심장을 쏴라]] (2010년)
 +
*[[주인이 오셨다]] (2011년)
 +
*[[개와 그녀와 이웃 일본인]] (2011년)
 +
*[[지하생활자들]] (2011년)
 +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 (2012년)
 +
*[[내 이름은 강]] (2012년)
 +
*[[싸움꾼들]] (2013년)
 +
*[[그게 아닌데]] (2013년)
 +
*[[스테디 레인]] (2013년)
 +
*[[은밀한 기쁨]] (2014년)
 +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 (2014년)
 +
*[[여우인간]] (2015년)
 +
*[[옥상 밭 고추는 왜]] (2017년)
  
==작품 및 저서==
+
==수상내역==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1996년 [[한국연극협회]] 선정 96년을 이끌어갈 젊은 연극인 연출분야 1위
*[[바람의 나라]]
+
*1996년 오늘의 젊은예술가상 (문화체육부)
*[[프루프]]
+
*1998년 [[한국연극협회]] '올해의 연극 베스트5' 신인 연출상 〈[[뙤약볕]]
*[[에쿠우스]]
+
*1999년 [[백상예술대상]] 신인 연출상 〈[[뙤약볕]]
*[[억척어멈과 그자식들]]
+
*2000년 [[한국연극협회]] '올해의 연극 베스트5' 〈[[오이디푸스, 그것은 인간]]
*[[발자국 안에서]]
+
*2001년 [[연극평론가협회]] '올해의 연극 베스트3' 〈[[인류 최초의 키스]]
*[[블라인드 터치]]
+
*2004년 포항 바다국제연극제 작품상, 연출상 〈[[웃어라 무덤아]]
*[[햄릿]]
+
*2004년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올해의 예술상' 연극부문 우수상 〈[[웃어라 무덤아]]
*[[죠반니]]
+
*2007년 일본 삿포로 씨어터 페스티벌 비경연부문 심사위원 특별상 〈[[발자국 안에서]]
*[[인간의 시간]]
+
*2007년 [[서울연극제]] 대상, 연출상 〈[[발자국 안에서]]〉
*[[산소]]
+
*2007년 일본 삿포로 씨어터 페스티벌 심사위원 특별상 〈[[발자국 안에서]]
*[[여우인간]]
+
*2008년 일본 타이니 알리스 페스티벌 특별상 〈[[발자국 안에서]]
*[[옥상 밭 고추는 왜]]
+
*2009년 일본 삿포로 씨어터 페스티벌 연출상 〈[[게와 무언가]]
 
+
*2011년 월간 한국연극 '올해의 연극 베스트7' 〈[[주인이 오셨다]]
==기타(수상내역 등)==
+
*2011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
*1996년 한국연극협회 선정 96년을 이끌어갈 젊은 연극인 연출분야 1위
+
*2012년 [[동아연극상]] 작품상, 연출상 〈[[그게 아닌데]]〉
*1996년 오늘의 젊은예술가상(문화체육부)
+
*2012년 대한민국 연극대상 대상, 연출상 〈[[그게 아닌데]]〉
*1998년 한국연극협회 '올해의 연극 베스트5' 신인 연출상 <[[뙤약볕]]>
+
*2012년 연극평론가협회 '올해의 연극 베스트3' [[그게 아닌데]]
*1999년 [[백상예술대상]] 신인 연출상 <[[뙤약볕]]>
+
*2012년 히서 연극상 올해의 연극인상
*2014년 동아연극상 작품상, 연출상 <[[줄리어스 시저]]>
+
*2012년 월간 한국연극 '올해의 연극 베스트7' 〈[[그게 아닌데]]
 +
*2014년 PAF 예술상 연극연출상 〈[[사회의 기둥들]]
 +
*2014년 [[동아연극상]] 작품상, 연출상 [[줄리어스 시저]]
  
 
==관련항목==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주어(S)]] || [[목적어(O)]] || A는 B를 ~하다(P) ||
 
 
|-
 
|-
 
| [[김광보]] || [[이강백]] || A는 B와 작업했다 ||  
 
| [[김광보]] || [[이강백]] || A는 B와 작업했다 ||  
 
|-
 
|-
| [[김광보]] || [[여우인간]] || A는 B를 연출했다 ||  
+
| [[김광보]] || [[여우인간]] || A는 B를 연출했다 || 2015년
 
|-
 
|-
 
|}
 
|}
70번째 줄: 90번째 줄:
 
*작성자: [[전은지]]
 
*작성자: [[전은지]]
  
[[분류:인물]][[분류:연극연출가]][[분류:극단대표]][[분류:금성고등학교]][[분류:전은지]][[분류:기여자이름]]
+
[[분류:인물]][[분류:연극]][[분류:연극연출가]][[분류:극단대표]][[분류:전은지]][[분류:김새한솔]]

2018년 6월 24일 (일) 17:30 기준 최신판


김광보

생애

김광보는 대한민국의 연극연출가이자 극단대표이다. 현재 서울시극단 단장이다.

작품세계(활동내역)

김광보는 희곡을 성실하게 섬기면서 그 의미를 무대에 드러내는 것에 최종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텍스트를 꼼꼼히 읽으며 그 안의 인간들의 생각과 행위를 쫓아 삶의 모습을 그려내는 데에 초점을 맞춘다. 그러기에 그의 무대에는 언제나 배우가 중심에 있어 왔다. 희곡 텍스트에 대한 의미 부여와 작품에 따라 자유자재로 변모하는 전업 연출가의 자유로움이 그의 연출 방식을 일괄할 수 있는 설명인 것 같다. 그래서 그는 사실 비슷한 연배의 어느 연출가보다도 부피감 있는 굵직한 많은 작품들을 만나왔고 끊임없는 변화를 이어가고 있다. 흔히들 세간의 평들은 그의 무대에서 상업성과 예술성을 동시에 확인한다. 그의 무대는 정련된 배우들에게서 발산되는 집중된 에너지를 토대로 하며 연기와 조명을 철저히 통제하고 조정하며 자신의 의도대로 무대를 만들어 간다. 거기에 관객을 넘겨보며 그들마저도 자신의 의도로 끌어당길 수 있는 시야까지 갖춘 상태이다. 그의 이러한 태도는 희곡을 진지하게 섬기되 거기에 결박당하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명으로 읽힌다.

연출작

수상내역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광보 이강백 A는 B와 작업했다
김광보 여우인간 A는 B를 연출했다 2015년

참고문헌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