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작성자 및 기여자)
(내용을 "==생애== ==작품== ==문학사적 의의=="(으)로 바꿈)
1번째 줄: 1번째 줄:
<onlyinclude>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이상화'''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이상화.jpg|200px]]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이름''' || [[이상화]]
 
|-
 
| style="text-align:center;"|'''한자''' || 李相和
 
|-
 
| style="text-align:center;"|'''생몰년''' || 1901~1943
 
|-
 
| style="text-align:center;"|'''출생지''' || [[대구]]
 
|-
 
| style="text-align:center;"|'''직업''' ||  [[시인]], [[작가]]
 
|-
 
| style="text-align:center;"|'''학력''' || 일본 도쿄 외국어학교 불어학과 중퇴
 
|-
 
| style="text-align:center;"|'''활동분야''' || [[현대문학]]
 
|-
 
| style="text-align:center;"|'''관련단체''' || [[백조]], [[파스큘라]],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
 
|}
 
</onlyinclude>
 
 
 
'''이상화(1901~1943)'''
 
==개요==
 
이상화(李相和)는 일제 강점기의 문학인이다. 본관은 경주(慶州)이고, 호는 상화(尙火, 想華), 무량(無量), 백아(白啞)이다. 작가 [[현진건]]과는 같은 대구 출신으로 태어나 친분관계를 맺다가 동일한 해와 날짜에 사망하였다. 초기 [[낭만주의]]적 성향이 강하며 [[친일문학]]이 만연했던 시대에 항일 민족 문학을 창작하였다는 점을 높게 평가받는다.
 
 
 
==생애==
 
==생애==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이상화(1901~1943)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left|출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D%B4%EC%83%81%ED%99%94&ridx=0&tot=8]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C%83%81%ED%99%94_(%EC%8B%9C%EC%9D%B8)]
 
!날짜||내용
 
|-
 
|1901.05.22|| 경상북도 대구부 서문로에서 출생
 
|-
 
|1918|| 경성 중앙학교 중퇴
 
|-
 
|1921||[[현진건]]의 소개로 [[박종화]]를 만나〈[[백조]]〉동인에 참여
 
|-
 
|1922|| 파리 유학을 목적으로 일본 동경의 아테네 프랑세 어학원에서 2년간 프랑스어와 프랑스 문학을 공부.
 
|-
 
|1925||[[파스큘라]] 문학연구단체 조직에 가담,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의 창립회원으로 참여.
 
|-
 
|1927|| 의열단(義烈團) 이종암(李鍾巖)사건에 연루되어 구금.
 
|-
 
|1933|| 교남학교(지금의 대륜고등학교) 교사로 근무
 
|-
 
|1934|| 조선일보사 경상북도총국을 경영하였으나 1년 만에 실패, 교사로 복직.
 
|-
 
|1937|| 3월 형 이상정(李相定)을 만나러 만경(滿京)에 3개월간 다녀왔다가 일본관헌에게 구금되어 11월 말경 석방.
 
|-
 
|1940|| 교사직 퇴임, 「춘향전」의 영어 번역과「국문학사」·「불란서시정석」의 한글 번역 시도.
 
|-
 
|1943|| 위암으로 사망.
 
|}
 
 
==작품 및 저서==
 
이상화의 작품은 시기에 따라 그 성격이 나뉘어 지는 특징이 있다. 작품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초기 작품===
 
[[백조]]의 동인으로서 문단 데뷔를 함으로서 시작한 작품을 뜻한다. 현실을 부정하고 자아의 감정에 중심을 두며, 미지의 세계를 동경하는 [[낭만주의]]적 성향을 띄고 있다.
 
*백조(1922)
 
**「말세의 희탄(欷嘆)」
 
**「단조(單調)」
 
**「가을의 풍경」(백조, 1922)
 
 
*백조(1923)
 
**「이중(二重)의 사망」
 
**「나의 침실로」
 
 
*개벽(1925)
 
**「몽환병(夢幻病)」
 
**「비음(緋音)」
 
 
*「이별(離別)을 하느니」([[조선문단]], 1925)
 
 
===중기 작품===
 
주로 백조파(白潮派)의 낭만주의와 창조파(創造派)의 자연주의 경향을 비판하고 일어난 [[사회주의]] 성격의 [[신경향파]] 성향의 문학을 창작하였다. 주로 시대에 대한 한탄과 소극적인 항일의 의지를 보여주는 작품이 쓰였다.
 
*개벽(1925)
 
**「가상」
 
**「구루마꾼」
 
**「엿장사」
 
**「거러지」
 
**「조소(嘲笑)」
 
**「선구자(先驅者)의 노래」
 
 
*개벽 (1926)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통곡(慟哭)」
 
**「조선병(朝鮮病)」
 
**「비갠 아침」
 
 
*「도-쿄에서」(문예운동, 1926)
 
*「파-란비」(신여성, 1926)
 
*「저므는 놀안에서」(조선문예, 1928)
 
 
===후기 작품===
 
작품 전체적으로 회의적인 관점과 좌절의 경향을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다.초기의 어둡고 감상적인 시와 중기의 저항적인 시에서 벗어나 민족의 비해를 자연으로 돌려 서정적인 면이 강해졌다.
 
*「역천(逆天)」(시원, 1935)
 
*「서러운 해조」(문장, 1941)
 
 
==관련 학술서==
 
*조은주. (2013). 계몽의 주체와 향락의 주체가 만난 자리. 한국현대문학연구, 40(), 123-155.
 
 
*권유성. (2010). 이상화의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재고. 어문학, 110(), 249-271.
 
 
*오세인. (2010). 식민지적 디아스포라와 유랑 의식. 어문론집, 45(), 7-36.
 
 
==관련 콘텐츠==
 
 
[[파일:뮤지컬_빼앗긴_들에도_봄은_오는가.jpg|200px]]
 
* [http://www.ticketlink.co.kr/product/27127 뮤지컬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2009)]
 
 
[[파일: 옛골목은살아있다.jpg|200px]]
 
* [https://m.blog.naver.com/dalseonggun/221307071876 연극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2018)]
 
 
==관련항목==
 
[[파일:이상화 시각화.png||500px]]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
 
|-
 
| [[이상화]] || 1901년 || A는 B에 태어나다
 
|-
 
| [[이상화]] || 1943년 || A는 B에 사망하다
 
|-
 
| [[이상화]] || [[대구]] || A는 B에서 출생하다
 
|-
 
| [[박종화]] || 1901년 || A는 B에 태어나다
 
|-
 
| [[현진건]] || 1943년 || A는 B에 사망하다
 
|-
 
| [[현진건]] || [[대구]] || A는 B에서 출생하다
 
|-
 
| [[이상화]] || [[백조]] || A는 B에 참여하다
 
|-
 
| [[현진건]] || [[백조]] || A는 B에 참여하다
 
|-
 
| [[박종화]] || [[백조]] || A는 B에 참여하다
 
|-
 
| [[백조]] || [[낭만주의]] || A는 B이다 
 
|-
 
| [[이상화]] || [[프랑스]] || A는 B에 유학가다
 
|-
 
| [[이상화]] || [[파스큘라]] || A는 B에 참여하다
 
|-
 
| [[파스큘라]] ||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A는 B에 소속하다
 
|-
 
| [[이상화]] || [[교남학교]] || A는 B에 근무하다
 
|-
 
| [[이상화]] || [[조선일보사]] || A는 B를 경영하다
 
|-
 
| [[이상화]]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A는 B를  창작하다
 
|-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뮤지컬]] || A는 B로 만들어지다
 
|-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연극]] || A는 B로 만들어지다
 
|-
 
|}
 
 
==참고문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D%B4%EC%83%81%ED%99%94&ridx=0&tot=8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C%83%81%ED%99%94_(%EC%8B%9C%EC%9D%B8) 위키백과]
 
  
*홍정희. (2009). 격정과 방황으로 살다 간 저항시인, 이상화. 문예운동, (), 67-87.
 
  
 +
==작품==
  
==작성자 및 기여자==
 
  
[[분류:인물]]
+
==문학사적 의의==
[[분류:장지원]]
 
[[분류:1901년 태어남]]
 
[[분류:1943년 죽음]]
 
[[분류:병사한 사람]]
 
[[분류:대한제국의 사회 운동가]]
 
[[분류:일제 강점기의 시인]]
 
[[분류:일제 강점기의 교사]]
 
[[분류:일제 강점기의 작가]]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
 
[[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분류:대구광역시 출신]]
 

2022년 5월 4일 (수) 15:34 판

생애

작품

문학사적 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