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단사절(위문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4번째 줄: 4번째 줄:
 
==개요==
 
==개요==
 
1939년 2월 초 중순경 조선총독부 학무국 사회교육과를 찾아간 김동인은 '문단사절'을 조직했다.
 
1939년 2월 초 중순경 조선총독부 학무국 사회교육과를 찾아간 김동인은 '문단사절'을 조직했다.
 +
 +
==동의어==
 +
황군위문조선문단사절, 황군위문작가단
  
 
==내용==
 
==내용==
김동인은 일제 강점기 말기 중일전쟁 발발 이후 변절했다. 그는 1939년 2월 초 중순경 조선총독부 학무국 사회교육과를 찾아가 문단사절을 조직해 중국 화북지방에 주둔한 황군을 위문할 것을 제안했다. 그 제안이 받아들여져 3월 위문사(문단사절)를 선출하는 선거에서 박영희 임학수와 함께 뽑혔고, 4월 15일부터 5월 13일까지 북지황군 위문 문단사절로 활동하여 중국 전선에 일본군 위문을 다녀와 이를 기록으로 남겼다.
+
김동인은 일제 강점기 말기 중일전쟁 발발 이후 변절했다. 그는 1939년 2월 초 중순경 조선총독부 학무국 사회교육과를 찾아가 문단사절을 조직해 중국 화북지방에 주둔한 황군을 위문할 것을 제안했다. 그 제안이 받아들여져 3월 위문사(문단사절)를 선출하는 선거에서 [[박영희]] [[임학수]]와 함께 뽑혔고, 4월 15일부터 5월 13일까지 북지황군 위문 문단사절로 활동하여 중국 전선에 일본군 위문을 다녀와 이를 기록으로 남겼다.
  
  
22번째 줄: 25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B%8F%99%EC%9D%B8 위키백과: 김동인]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B%8F%99%EC%9D%B8 위키백과: 김동인]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ookgram&logNo=220397588182&parentCategoryNo=&categoryNo=75&viewDate=&isShowPopularPosts=true&from=search 네이버 블로그: [16-8] 황군위문조선문단사절 속의 임학수]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0778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황군위문작가단]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및 기여자==
  
 
[[분류:]] [[분류:김동인]] [[분류:1930년대]] [[분류:사용자:1811050박지훈]]
 
[[분류:]] [[분류:김동인]] [[분류:1930년대]] [[분류:사용자:1811050박지훈]]

2019년 6월 4일 (화) 10:15 판

문단사절(위문사)

개요

1939년 2월 초 중순경 조선총독부 학무국 사회교육과를 찾아간 김동인은 '문단사절'을 조직했다.

동의어

황군위문조선문단사절, 황군위문작가단

내용

김동인은 일제 강점기 말기 중일전쟁 발발 이후 변절했다. 그는 1939년 2월 초 중순경 조선총독부 학무국 사회교육과를 찾아가 문단사절을 조직해 중국 화북지방에 주둔한 황군을 위문할 것을 제안했다. 그 제안이 받아들여져 3월 위문사(문단사절)를 선출하는 선거에서 박영희 임학수와 함께 뽑혔고, 4월 15일부터 5월 13일까지 북지황군 위문 문단사절로 활동하여 중국 전선에 일본군 위문을 다녀와 이를 기록으로 남겼다.


문단사절신문자료.png

위 사진은 1939년 4월 8일자 매일신보이다. 중일전쟁 당시 중국전선을 방문해 일본군을 위문하러 갔다왔다는 내용이다.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주어(S) 목적어(O) A는 B를 ~하다(P)

참고문헌

작성자 및 기여자

[[분류:]]